오늘 하루만에 2권 완독!
첫 페이지를 몇번이나 읽었다.
너무 감동적이어서가 아니라 오타가 있는 거 같아서.....
주요 등장 인물의 이름에서 14세기 인물과 20세기 인물을 섞어서 써놓은거다.
아! 이건 오타지?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오타가 하면서 표시해놓고 읽었는데 아닌 것이었다.
종교재판의 광기와 나치라는 악을 교차하고 연결해서 보여주는 작가의 의도였던 것이다.
와우!
영화로 치면 절묘한 교차편집이라고나 할까?
바로 이 시작 지점부터 작가는 언어로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환상적 경험을 보여준다.
대단한 작가 맞다!!!
내일은 3권 완독이다.

수도회는 총통의 명령에 대한 나의 절대적인 신념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자비로운 안젤름 코폰스 수사의 지도를 받던 수련 기간에 우리는 인간의 고통 앞에서 강인해지는 법을 배웠다. 모든 친위대원들은 총통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을 위해 자신의 인격을 완전히 희생하는 법을 알아야 했기 때문이다. - P30
수도회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바로 내부의 위험을 제거하는 거였다. 진정한 신념 앞에서 이단의 존재는 신앙을 부정하는 자들보다 훨씬 더 위험하다. 이단은 교회의 가르침을받고, 그 내부에 존재하지만, 동시에 전염성이 강한 독성을 품어 신성한 교회의 영적 요소들을 타락시킨다. 이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해 1941년 신성한 종교 재판을 더 이상 아이들놀이처럼 다루어서는 안 되며, 모든 유대인을 모조리 없애 버리라는 결정이 내려졌다. 그리고 공포가 필요하면 공포를 무한대로 발산할 것. 잔혹함이 필요하면 잔혹함을 무한대로 드러낼 것. 역사는 기록에 남는 것이기 때문이다. - P31
"악 말이야. 왜 너의 신이란 자는 그것을 허용하는 거야? 악을 막지 않는단 말이야. 악을 저지른 자들을 영원한 불길로 처벌하는 게 고작이잖아. 왜 악 자체를 막지 않아? 대답해 봐." - P67
최초의 모래 알갱이는 눈을 간지럽힌다. 그리고 손의 가시가 되더니 뱃속에서 불덩이로 변하고, 호주머니에서 걸리적거리기까지 하다가 좀 더 나쁜 운과 만나 양심의 가책에 무게를 더한다. 모든 것, 그러니까 모든 삶과 이야기는, 사랑하는사라, 이처럼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무해한 모래 알갱이로부터 시작되는 거였어. - P123
"왜냐하면 슬퍼하는 것을 멈추었다가는… 나와 가까운사람들의 기억에 대해 죄를 짓는다는 생각이 들어. 삼촌이라든가. 그리고…… 목숨을 잃은 사람들이 내 주변에는 많거든." - P3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