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권에서 나오는 책들하고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나오는 책들 사이에는  차이점이

몇 가지 있다.

 

1. 표지의 차이

영미권에서 나오는 책들은 대개 표지가 화려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적어도 매우 세련된 것들이다.

가령 이런 놈 한번 봐라 ...

유작으로 출간된 들뢰즈 논문 모음집의 영어 번역본인데, 책 제목하고 풍경하고 맞춘 것 봐라 ... 

철학책 디자인이 이 정도니, 뭐 다른 책이야 더 볼 것 있나? 아쉽다구? 그럼 하나 더 볼까?

매우 실험적인 철학 논문들을 모아놓은 논문집인데, 표지 한번 봐라 ... 미술 화집인 줄 알겠다.  

 

 

 

그럼 프랑스에서 나온 책들 한 번 볼까?

프랑스에서 가장 유서깊은 철학 전문 출판사로는 브랭Vrin 출판사가 있다. 소르본 대학 정문 앞에 보면

서점이 두 개 있는데, 하나는 하얀색 벽으로 된 브랭 서점(대개 출판사들은 서점을 같이 한다)이고,

 맞은 편에는 프랑스 학술 서적 전문 출판사인 퓌프PUF

(이건 프랑스 대학 출판부(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의 약자다)의 서점이 있다.

브랭에서 나오는 책들 표지 한 번 봐라.

이게 제일 세련된 디자인이다. 미색 표지로 된.

브랭에서 나오는 책들 중 거의 50%는 이것과 똑같은 디자인이다. 책 제목하고 저자 이름, 소개글만 다를 뿐.

 

이건 몇년 전부터 나오기 시작한 새 문고본 시리즈 표지다. 깔끔하죠? 지나치게 ... -_-a

물론 다른 책들도 똑같은 디자인이다.

 

그런데 이 표지들은 정말 발전한 거다. 옛날에 나온 책 표지 한번 볼까?

1974년에 나온 말브랑슈 전집 중 한 권이다. 표지는 마분지 잘라서 만들었다. 70년대의 책들이

이러니 옛날 책들은 말할 것도 없다. 어떤 책들은 정식으로 인쇄한 건데도, 글자를 읽기 힘들 정도로

인쇄상태가 조악한 것들이 있다.

요즘 책들이야 너무 잘 만드는 거지 ...

 

데리다가 자신의 거의 모든 책을 내던 갈릴레(Galilee) 출판사 책들은 어떤가 볼까?

이건 좀 옛날 디자인이다. (80년대)

 

 

여기에 상당한 변화를 준 90년대 디자인.

 

 

 

여기에 다시 변화를 준 2000년대 디자인.

 

색깔은 모두 미색이다. (그러고 보니까 브랭이나 갈릴레나 다 미색을 좋아하네 ...)

물론 갈릴레에서는 이런 검은색 표지로 된 책도 낸다.

 

진짜 징한 출판사가 하나 더 있다. 여기는 들뢰즈와 부르디외, 이리가레 같은 쟁쟁한 철학자, 이론가들이

책을 낸 출판사인데, 이름은 미뉘Minuit라고 한다(원래는 "자정", 곧 "밤 12시"라는 뜻이다).

이 출판사는 이 표지 하나로 수백권의 책을 냈다. 징한 넘들 ...

이건 들뢰즈 책(1969년).

이건 이리가레 책(1984년).

이건 데리다 책(1967년)

 

이 표지와 쌍벽을 이루는 이 표지도 있다. 이 표지로도 수백권을 냈다.

1989년에 나온 클로드 시몽의 소설.

 

2003년에 나온 들뢰즈 책.

 

그러다가 너무 심하다고 생각했는지, 최근에는 색을 넣어서 디자인을 바꿨다. 화려하지?

 

 

 

독일책들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더 징한 놈들도 있다. 가령 이런 놈들 ...

펠릭스 마이너Felix Meiner라는 철학서적 전문 출판사 표지다. 얘들도 초록색 하나로 수백권의 책을

찍어냈다. 약간의 변화를 주긴 했지만 ...

이건 80년대 나온 책 ...

 

이건 90년대 나온 책. 디자인이 좀 달라졌지?

 

이건 2000년대에 나온 책.

약간 차이가 느껴지지?

 

어쨌든, 영미권에서 나온 책의 표지들을 보다 보면, 유럽에서 나오는 학술 서적의 책표지들은

너무 단조롭고 따분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서는 책표지들이

상당히 다양하고 화려해지고 있다.

 

 

2. 영미권에는 하드커버와 페이퍼백이 함께 나오지만, 유럽의 책들 중에는 하드커버가 거의 없다.

대신 불어로는 "broché", 또는 독어로는 "broschiert"라고 부르는 책들과 문고판이 대종을 이룬다.

그런데 문제는 이 놈의  "broché"다. 원래의 뜻에 따른다면 "가철"이나 "가제본"이 되겠지만,

영미식 용어법에 따르면 하드커버와 문고판 책이 아닌 것들은 모두 이   "broché"에 속한다. (우리말로는

정확히 어떤 용어에 해당하는지 잘 모르겠다)

이 놈의  "broché"는 출판사마다 찍어내는 방식이 제각각 달라서, 어떤 출판사는 고급 양장본 못지 않게

실로 잘 꿰메서 튼튼하게 내는 데가 있는가 하면, 어떤 출판사는 그야말로 양심 저당 잡힌 수준으로

만들어내는 데도 있다.

무슨 말이냐구? 주문한 책이 집에 도착하면 부푼 마음을 안고, 책을 펼쳐보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책을 쫙 펼치는 순간, 투.드.드.득. 쩌~억! 하는 소리와 함께 책이 단번에 두 동강이 나버린다.

벌어진 두 쪽 사이로는 노란색 본드가 묻어 있는 책의 겉표지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흐이구~~ 본드나 쫌 두껍게 바르면 아무말도 안하지, 한번 슬쩍 칠한 다음 대충 말려서 붙인 듯하다.

그러니, 두 동강으로 그냥 갈라져 있으면 좋겠지만, 그게 가만히 붙어 있겠는가? 처음에는 두 동강이었다가

나중에는 네 동강으로, 그 다음에는 7-8동강으로 갈라지고, 그 다음부터는

한 장, 두 장씩 투둑 떨어진다.

 

책값이나 싸면 아무말 안하지. 하드커버가 아닌 이런 종류의 책은 대개 20 유로 내외, 비싸면 30유로 이상,

좀 싼 경우는 15 유로 정도 한다. 그러니까 우리 돈으로는 2만원에서 4만원 정도까지 한다. 이 정도의 책값을

받으면서 이렇게 허술하게 "뽄드"칠을 하는 놈들 ......

 

(새로 산 책 보는 데, 또 투두두둑 쩌~억 소리를 내면서 갈라지는 책 때문에 열 받아서 페이퍼 한 번 써봤음)


댓글(3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고싶다 2005-07-11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귀여운 뽀송뽀송 부엉이 발마스님의 절규 ... 표지는 뭐 미뉘 사도 깔끔하다고 봐줄만 하지만 본드는 -_-

사량 2005-07-11 0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저는 미뉘 출판사의 별사탕-_- 표지 심플하고 깔끔해서 참 좋아하는데... PUF의 뻘갱이문고나 국내 동문선출판사가 따라하는 듯한 쇠이유의 포앵문고, 독일 주어캄프의 초록색문고도.. ^^ 영미권 책들은 표지가 끝내주지만, 정작 본문의 글씨가 너무 빽빽해서 보기가 힘들더라구요.

MANN 2005-07-11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맨 위에 Desert Islands에서 섬을 거닐고 있는 인물이 들뢰즈라던데... 전혀 알아볼 수는 없지만요 ^^;;
깔끔한 표지는 좋다고 생각하는데 ^^;
새로 산 책이 툭툭 뜯어지다니 어느 출판사 책인지는 몰라도 심하네요 -_-

하이드 2005-07-11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난 왜 웃기지. 호호호
저는 미국책 옆에 보면 쥐뜯어놓은것처럼 잘라 놓은 것 보면, 황당하더라구요.

검둥개 2005-07-11 0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두꺼운 본드도 근데 굳으면 동강나는거 아시죠 ^^ ;;

딸기 2005-07-11 0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하하하하하하
유럽권 책표지들... 증말 단촐하군요

瑚璉 2005-07-11 08: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그냥 위에서 두 번째 그림의 원화를 알아볼 수 있다는 데서 만족할랍니다(-.-;).

그런데 펠릭스 마이너 사의 90년대와 2000년대 표지에 무슨 차이가 있나요? 제가 보기는 똑같아 보이네요.

chika 2005-07-11 0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전 원서를 본 적이 없어서...(아니, 구경은 해봤지만 읽어본 적은 없어서^^;) 잘 모르겠는데요, 분도출판사에서 나오는 책들이 거의 저런 형태였지요. 색표지에 제목만 꼴랑!(전 그래도 맘에 들던데..ㅎㅎ)
근데 책이 쩌억 갈라지는건 정말 ... 그런 의미에서 추천 하나 해드립지요. ㅎ

로드무비 2005-07-11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재밌어요.
퍼다놓고 볼게요.^^

stella.K 2005-07-11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웃겨요!!! 근데 발마스님의 재치있는 설명 때문인 것 같아요. 진짜 영미권은 관능적이리만치 멋있는데 유럽은 촌스 그 자체로군요. 추천 안하면 미워하실 것 같아 하고 갑니다. ㅎㅎㅎ.

killjoy 2005-07-11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투두두둑 쩌~억 소리가 귀에 들리는 듯 하네요. ^_*

마냐 2005-07-11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런걸 미니멀리즘이라 해야 하나요..ㅋㅋㅋ 정말 정서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납니다. 이런걸 포착한 발마스님께 박수~ ^^

숨은아이 2005-07-11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랑스나 독일에선 책의 내용이 가장 값비싸기 때문에 껍데기에 해당하는 것에는 돈을 들이지 않나 보군요. ^^ 주로 로고로 승부하네요. 그래도 건축이나 미술 쪽 책들 디자인은 좋던데... 글고 보면 한국처럼 책 껍데기에 공 많이 들이는 곳도 없는 듯...

숨은아이 2005-07-11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따우님, 국배판은 A4 용지만 한 책을 말합니다. 프랑스 책은 대개 국판(A5) 정도 하는 것 같던데요.

숨은아이 2005-07-11 1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왕 말한 김에... ^^ 발마스님, 따우님이 얘기한 무선(無線) 제책은 말 그대로 실을 사용하지 않은(실로 꿰매지 않은) 제책이란 뜻이지요. 실로 꿰매지 않으니 풀로 떡칠해 붙인다 해서 전문용어(^^)로는 "떡제본"이라고도 해요.

클리오 2005-07-11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징한 놈들... ㅋㅋ~ 재밌었어요.. 글구 비싼 원서 주문해서 촥 갈라지면 피가 확 솟아오르겠어요.. 그러고보면 우리나라 책들은 또 너무나 비싸고 좋기만 하고... ^^

balmas 2005-07-11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젯밤, 이 페이퍼 써놓고 담배 한 대를 피웠는데, 갑자기 머리가 빙글빙글 돌고 속이 울렁거려서

바로 쓰러져서 잠을 잤어요. 그런데 자고 일어나서도 계속 어지럽고 속이 거북해서 이비인후과에

다녀오는 길이랍니다.

 

리들러님/ 사량님/ 미뉘 출판사 표지는 나름대로 깔끔하죠. 그리고 문고본들도 각각 개성이

뚜렷하니까 괜찮죠.

MANN/ 문제는 그게 한 출판사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데 있다지 ... -_-a

유독 심한 것은 키메Kime라는 출판사에서 내는 책들이지. 이 출판사 책들도 "지나치게" 깔끔하지. ㅎㅎ

이 출판사에서 90년대 이후 스피노자 관련 도서들을 많이 내서 책을 여러 권 갖고 있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바로 "투드드득 쩌~억" 증세를 보이고 있어.

하이드님/ 웃긴 왜 웃어욧!!!!

쥐뜯어먹은 것처럼 잘라놓은 책들은 프랑스 책들 중에도 많아요. 사실은 페이지들이 붙은 채로 출판된 걸

보기좋게 뜯지 않았을 때, 그런 일이 생긴다죠 ...

검정개님/ 그, 그렇죠, 정말 ...

그래도 좀 두껍게 바르면 낫지 않을까요???

딸기님/ 단촐 그 자체죠. 그런데 요즘은 미국쪽을 나름대로 따라가려는 경향을 보이더라구요. 표지들이

상당히 컬러풀해지고 디자인도 다양해지고 있답니다. 그 대신 책값은 더 올랐죠 ... -_-a 

따우님/ 맞아요 ... 같이 꽂혀 있으면 헷갈리죠.

숨은아이님/ 그렇죠, 주로 색깔 하나하고 로고로 승부하죠, ㅋㅋㅋ.

그거에 비하면 우리나라 책들은 너무 하드커버가 많고 디자인도 화려해요. 굳이 그럴 필요가 없는 책의

경우에도 말이죠. 그렇다고 해도 고시용 책들처럼 관공서 냄새가 풀풀 나는 그런 표지는 절대 사절~~~

숨은아이님 말씀을 듣고 보니까 <broche>는 "무선제본"에 가까운 말인 듯하네요. 물론  <broche>도

제대로 잘 만든 책들은 다 실로 잘 꿰매서 제본했답니다. 브랭 출판사나 갈릴레 출판사 책들은 대개 다

그렇죠.

호정무진님/ 펠릭스 마이너에서 90년대에 나온 책과 2000년대 나오는 책은 거의 차이가 없는데, 실제

원본을 보면 색조나 표지 재질이 약간 다르답니다. :-)

치카님/ ㅋㅋ 예, 저도 분도출판사 책 몇 권 갖고 있어요. 저는 표지를 단순하게 해서 책값이 좀 싸진다면

그렇게 하는 게 훨씬 좋을 것 같아요. 추천 감사~~

로드무비님/ ㅋㅋ 재미있게 봐주시니 고맙사옵니다.

스텔라님/ 추천 감사.^^ 이러니 제가 스텔라님을 미워할 수 없죠. ㅎㅎ

그런데 요즘은 유럽 출판사들도 나름대로 표지에 신경을 쓰더라구요. 그래봤자 그게 그거지만 ... ^^;;

킬조이/ 오랜만이네. ㅎㅎ 새 책 받아서 펼쳤을 때 그 소리 들으면, 아, 정말 짜증난다구.

마냐님/ ㅋㅋ 박수까지야 ... ^^;;;

새벽별님/ 참 알다가도 모를 일이죠. 책값을 그 정도 받는데, 제본을 그렇게 허술하게 해서 쩍쩍 갈라지게

만든다는 게 이해가 잘 안돼요. 한 두권도 아니고 말이죠.

클리오님/ ㅋㅋ 제 말이 그 말입니다. 새 책 받아서 기분 좋은데, 펼치자마자 쩌~억 갈라지면, 그냥 ...

 

 


갈대 2005-07-11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책들이 그나마 가격대비 (껍데기)완성도가 좋은 거군요^^;

balmas 2005-07-11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아요. 요즘 영미권에서 나오는 페이퍼백은 싼 경우에는 1만 2천원에서 2만원, 좀 비싸면 2만 5-6천원 정도 하는데, 종이질이나 표지 디자인이 좋거든요. 따라서 생활수준의 차이를 고려해본다면, 우리나라 책들이 좋다고 하기는 어렵겠더라구요.

싸이런스 2005-07-11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꺼운 뽄드에 무한한 존경과 경외를!

릴케 현상 2005-07-11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민음사의 에로티즘이 문득 생각나네요 불끈!(저 민음사 세 번 가봤습니다)

balmas 2005-07-11 2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싸이런스님/ 존경과 경외까지야, 그것도 "무한한"까지 ... ㅋㅋ
산책님/맞아요, [에로티즘]!!!!! 그것도 한 장 한 장 뜯어지는 책이죠.

philliee 2005-07-11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답글다는거보니 좀 살만한가보네. 다나았냐? 글구 에로티즘...내책도 이미 낱장으로 분해. 다들 그렇구만 ㅎㅎ

balmas 2005-07-12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응, 이제 괜찮아.
어제 밤에는 앉아 있을 수도 없을 만큼 어지럽더니 약먹고 낮잠 좀 자고 했더니
훨씬 가뿐해졌어.

천재뮤지션 2005-07-12 0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jazzy102 였습니다.
별명을 개발했습니다.

balmas 2005-07-12 0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멋진 별명!! 천재님 ... ^^;;

stella.K 2005-07-12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아니 제가 미워할데가 어디있다고 그러세용!

balmas 2005-07-13 0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슬레이님/ 세 번씩이나 ...
따우님/ ㅋㅋ 알겠습니다, 절대 사지 않을게요.
스텔라님/ ㅎㅎ 제가 스텔라님을 미워하다뇨???

코마개 2005-07-20 15: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일 책들도 다 프랑스 책처럼 저렇던데...심지어 대학 학위논문도 저렇게 나오던데..
복사하려고 책을 쫙 펼치면 낱장이 되어버리는...

balmas 2005-07-21 0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그렇군요.
어떤책들은실로튼튼하게잘꿰멘반면,또어떤책들은낱낱이떨어지고...
그런데값은비슷하고...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