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데빌 빌로우 Shookum Hills, The Devil Below, 2020

감독 : 브래들리 파커

출연 : 알리시아 산스, 아담 칸토, 윌 패튼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3.01.18.


“이것은 인류의 존망을 건 전쟁의 서막인가?”

-즉흥 감상-


영화는 탄광 마을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살짝, 정체를 알 수 없는 ‘그것’으로부터 습격을 당하는 모습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 다른 장소에서 지도와 신문 스크랩자료를 살펴보며 각오를 다지는 여인에게 이야기의 바통을 넘기는데요. 버려진 탄광 마을로 희소 광물 자원을 찾아 연구하기 위한 사람들의 가이드로서 여행길에 함께 오르게 되었다는 것도 잠시, 그들의 앞을 가로막는 사람들을 피해 겨우 목적지에 도착하지만…….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의 의미가 궁금하다고요? 음~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미지의 존재가 눈앞에 나타난다면 어떤 생각을 하실까요? 일단 죽어라 도망칠까요? 아니면, 전쟁을 선포할까요? 그것도 아니라면 초능력을 달라고 부탁할까요? 아마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이번 작품의 탄광 마을 사람들은 ‘그것’이 생존을 위협하자 전쟁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이 위협을 외부에 알리기보다는 철저히 은폐하고 있었는데요. 그 와중에 ‘그것’에 대해 정의하기로, 읍! 읍! 휴. 하마터면 중요한 걸 적어버릴 뻔했습니다. 아무튼, 만약에 후속편이 나온다면, 과연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갈 것인지 궁금해지는군요.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고요? 음~ ‘The Devil Below’의 뜻을 구글 번역기에 물어보니 ‘아래의 악마’라고 알려줍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Shookum Hills’의 뜻을 물어보니 ‘슈큠 힐즈’라고만 알려주는데요. 영화의 공간적 배경이 ‘슈큼 힐즈’이니 처음에는 제목을 그렇게 적어놨다가, 뭔가 인상이 약할 거 같아 ‘The Devil Below’라고 적어둔 것이 아닐까 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한 진실을 알고 있는 분은 따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영화는 재미있었냐고요? 음~ 한편으로 끝내기에는 아까운 소재라고 생각했습니다. 잘만 만들면 영화 ‘디센트 The Descent, 2005’와도 세계관이 연결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였는데요. 후속작에 대한 소식이 보이지 않는 거로 봐서는 더 이상의 이야기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제가 발견하지 못한 정보를 알고 있는 분의 도움은 언제나 감사한대요. 영화 시작 부분에서 다양한 자료들이 나열되는 것을 봐서는 세계관을 확장해도 될 것 같은데, 혹시 다음 작품을 만든 생각이 있으실까요, 감독님?


방금 언급한 ‘디센트’ 말고도 이런 비슷한 영화들이 있었지 않냐고요? 음~ 있었던 것 같기는 한데 명확하게 떠오르는 작품이 없습니다. 그저 파편이나 다름없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떠올리며 이번 작품을 감상했는데요. 저의 불안정한 기억에 명확성을 더해주실 분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부터도 제 기억력을 의심하긴 했지만, 최근 들어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 증상이 더 심해진 것 같아서 답답하군요.


지표 아래에 정말 악마가 있었냐고요? 음~ 악마라기보다는 ‘지하의 생태계에 적응한 생명체’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의 모습이 보이는 장면만 화면을 심하게 일그러뜨려 놔서 정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요. 아무리 정신이 혼미한 사람의 시점을 담으려 했다지만, 아쉬웠습니다.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조금 가져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감독의 다른 작품이 뭐가 있을까 싶어 필모그라피를 확인해 보니 예전에 만난 영화 ‘체르노빌 다이어리 Chernobyl Diaries, 2012’가 보이는군요?

TEXT No. 3666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입] Colin Salmon - Prey For The Devil (The Devil's Light) (프레이 포 더 데블) (2022)(지역코드1)(한글무자막)(DVD)
Various Artists / LIONSGATE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프레이 포 더 데블 PREY FOR THE DEVIL, 2022

감독 : 다니엘 스탬

출연 : 재클린 바이어스, 콜린 살몬, 버지니아 매드슨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3.01.18.


“심연을 바라본 자, 심연 또한 그대를 바라볼 것이니.”

-즉흥 감상-


영화는 기도를 하고 있는 소녀의 방으로 들어오려는 엄마의 난폭한 언행은 잠시, 이제 성인이 되어 수녀로 살고 있는 여인이 응하고 있는 상담 현장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그리고 1835년 교황청에서 엑소시즘 의식을 수행하는 신부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를 로마에 설립했으며, 2018에는 악령에 홀린 사람에 대한 보고가 전 세계적으로 폭증하자 로마 밖에도 학교를 만들게 되었다는 설명은 살짝, 그런 역사 속에서도 엑소시즘 현장에서 수녀들의 위치를 설명하는군요. 그렇게 여느 날과 마찬가지로 악령에 홀렸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간호 봉사를 하고 있던 그녀는, 우연한 계기를 통해 구마 의식 현장에 발을 들이게 되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고요? 음~ 주인공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를 통해 구마 의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관리하고 있던 ‘홀렸던 이들’ 중 ‘소녀’를 중심으로 사건이 심화되었고, 그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했다고 생각했지만,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일 뿐이라는 마지막 장면을 통해 위의 즉흥 감상을 적어본 것인데요. 원형이 되는 문장이 어디에서 나온 건가 싶어 찾아보니 ‘니체-선악을 넘어서 中’에 나오는 문장으로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도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우리가 괴물의 심연을 들여다본다면, 그 심연 또한 우리를 들여다보게 될 것이다.’라고 하는데요. 흐음.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영화는 재미있었냐고요? 음~ 한번은 봐도 괜찮은 작품이라 생각되었습니다. 네? 이 장르에서도 ‘정치적 올바름’이 들어가는 것 같아 불편하시다고요? 으흠. 실제로 영화를 보면 논쟁이 시작될 만큼 그런 요소가 들어가 있다는 기분이 들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안 봐도 비디오 같은 내용보다, 이런 식으로 살짝 뒤튼 영화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감상하셨을지 궁금합니다.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고요? 음~ 구글 번역기에 물어보니 ‘PREY FOR THE DEVIL’을 ‘악마의 먹이’라고 알려주는데요. 이것 역시 ‘심연을 바라본 자의 말로이자 그 대가’로 해석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시 적어, 단지 잡아먹힐 것인가 싸워나갈 것인가가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요.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은 마음속의 어둠이 인사를 건넨다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만일 이어지는 이야기가 나온다면 어떤 내용이 나오길 바라냐고요? 음~ 개인적으로는 미드 ‘워리어 넌: 신의 뜻대로 Warrior Nun, 2020~2022’ 같은 내용으로 이어지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그 작품이 재미없었다는 것이 아니라, 나름 진지하게 진행되던 이야기가 성유물을 중심으로 판타지로 변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의미인데요. 굳이 판타지가 들어가야 한다면 영화 ‘콘스탄틴 Constantine, 2005’ 같은 형태면 그래도 기대가 될 것 같습니다! 크핫핫핫핫!!


이번 작품을 볼 때 생각해봐야 할 점이 있다면 알려달라고요? 음~ 그냥 편하게 만나보실 것을 권합니다. 연도가 표시되어있다고 해서 이것이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장치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이런 일이 실제의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그것 자체로도 문제가 될 것이니 말입니다.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조금 가져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혹시 서양에서 만들어진 동양의 퇴마의식 같은 작품을 알고 있는 분이 있다면 살짝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영화에서는 동서양의 조화(?)를 다룬 작품을 만나본 것 같지만, 서양 영화에서는 그런 만남에 대한 기억이 없어서 말이지요.

TEXT No. 3665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 오픈 더 도어 Tvar, Stray, 2019

감독 : 올가 고로데츠카야

출연 : 옐레나 랴도바,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23.01.18.

“그대가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즉흥 감상-

영화는 한 가정에 아이가 있었으며, 그 아이가 사망했다는 배경설명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 ‘3년 후’라는 안내와 함께 고아원에 도착한 부부는 아이를 입양하려 하지만 쉽지가 않던 차, 그곳의 관리인이 사망하고 그 자리에 짐승이나 다름없는 행동을 보이는 아이를 발견하는데요. 고아원의 다른 아이들보다 그 아이를 입양해 기르기로 마음먹습니다. 하지만 아이와 함께 하는 나날은 어딘가 기괴하고 섬뜩한 사건 사고가 연이어질 뿐이었는데…….

제목만 보면 뱀파이어가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영화는 어떤 내용이었냐고요? 음~ 질문한 분은 저와 비슷한 예상을 하셨군요. 반갑습니다. 아무튼, 이번 작품에서는 초자연적 존재가 나오기는 하지만 뱀파이어는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형태변환자 Shapeshifter’의 한 형태가 나왔다고 생각하는데요. ‘한 형태’라고 적은 것처럼 이 작품에서의 ‘그것’은 정의가 명확하지 않으니, 상상력을 발휘할 여유를 드리겠습니다.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고요? 음~ 이 질문의 답은 위의 문단과 이어질 것 같군요. 아무튼, 처음에는 주인공 부부의 아이에 대해 의사인 남편이 죽음을 부정한 것도 있지만, 아이의 죽음 자체가 명확하게 언급이 되지 않아 ‘여지’를 두고 있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야생에 방치되다시피 자란듯한 아이가 나오자 영화 ‘마마 Mama, 2013’를 떠올렸는데요. 짐승에서 인간의 모습으로 변해가는 모습에서 죽은 줄로만 알았던 부부의 아이가 사실은 이 아이였나 싶은 이야기로 흘러갑니다. 하지만 사건 사고가 연이어지던 중 고아원에서 있었던 관리인의 진실이 밝혀지며, 아. 하마터면 스포일러를 할 적을 뻔했습니다. 아무튼, 영화의 결말 부분을 보며 즉흥 감상을 적어보았는데요. 더 이상의 자세한 설정은 작품을 통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영화는 재미있었냐고요? 음~ 화면 연출 자체는 제법 괜찮았습니다. 하지만 스토리텔링은 설명이 많이 부족했는데요. 아이를 집에 데려오는 과정에서 부부의 감정 표현이 너무 극단적으로 변하는 것 같아 당황했습니다. 처음에는 아내 쪽에서 무조건적인 사랑을 이야기하고 남편이 반대했다면, 중간부터는 입장이 반대되는데요. 아내야 아이와 오랜 시간을 함께했으니 감정선이 그렇게 바뀌는 것도 무리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남편의 변화는 설명이 부족하다는 기분이 들었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느끼셨을지 궁금해집니다.

‘오픈 더 도어’를 영어로 적으면 ‘Tvar’나 ‘Stray’가 되냐고요? 설마요. 그러고 보니 한글 제목과 원제목이 달랐군요? ‘오픈 더 도어’를 영어로 쓰면 ‘Open the door’가 되고, ‘Tvar’는 구글번역기에 물어보니 슬로바키아어로 ‘얼굴’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Stray’는 영어로 ‘옆길로 빗나가다, 딴 길로 들어서다, 탈선하다, 타락하다’라고 하는데요. 제목과 내용을 어떻게 묶어서 생각해 보면 좋을지 고민이 되는군요. ‘얼굴’까지는 그럴 수도 있겠다 싶지만, 영어 제목과 한글 제목은, 으흠. 혹시 이 부분에 대해 멋진 설명이 가능한 분 있다면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러시아에서 만든 영화들은 화면 자체는 정말 멋진데, 스토리텔링은 언제나 아쉬운 것 같습니다.

덤. 요즘 잘 못 자고 있습니다. 시간만 보면 분명 잠이 든 것 같지만, 의식이 끊어지지 않고 밤새 뒤척였다는 기억이 있을 뿐인데요. 제 기록을 얽어주시는 분들의 일상은 안녕하신지 궁금합니다.

TEXT No. 3664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웃사이더 1~2 세트 - 전2권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아웃사이더 The Outsider, 2018

지음 : 스티븐 킹

옮김 : 이은선

펴냄 : 황금가지

작성 : 2023.01.17.


“휴. 그동안 착각하고 있는 줄 알았네.”

-즉흥 감상-


색이 변한 멜론일까? 아니면 색이 변한 키위일까? 아무튼, 정체를 알 수 없는 과일을 자르기 위한 칼과 그 주변을 얼쩡거리는 파리 떼가 그려진 흰색 바탕의 표지를 살짝 넘겨봅니다. 그러자 경찰차를 보고 자리를 피하는 흑인 소년 둘은 살짝, 목격자의 진술 기록과 마을 청소년 야구경기의 중요한 순간, 현장에서 체포되는 명망 있는 코치의 모습으로 시작의 문이 열리는데요.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라는 증거가 너무나도 명확해 긴급 체포를 했다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가 범인이 아니라는 완벽한 알리바이까지 증거로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고요? 음~ 분명 이번 작품을 ‘빌 호지스 시리즈’의 외전으로 알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전체 두 권으로 만들어진 이번 책에서 첫 번째 책을 다 읽어가는 동안에도 ‘파인더스 키퍼스’라는 사설탐정사무소의 이름이 나오지 않아 당황하고 있었는데요. 두 번째 책에 들어가기 직전에 파인더스 키퍼스의 존재와 함께 ‘홀리’가 전화를 받자 안도감이 밀려와 위의 즉흥 감상을 적어볼 수 있었습니다.


책은 재미있었냐고요? 음~ 제법 흥미로운 동시에 아쉬웠습니다. 한 사람이 어떻게 두 장소에 존재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가능하긴 한 일인가? 이런 질문과 함께 스티븐 킹님만의 어떤 놀라운 추리극이 펼쳐질 것인가 기대를 품고 있었지만, 홀리가 등장하면서부터 이야기가 판타지로 변하더니, 어둠의 존재가 뿜어대던 찐득한 아우라가 약해지는 기분이 들었는데요. 그것이 지금까지 만나온 킹느님 특유의 스토리텔링이라는 건 알고 있지만, 맥이 빠지는 기분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굳이 비유를 들자면 소설 ‘다크하프 The Dark Half, 1989’ 같은 이야기를 기대하다가 ‘그것 IT, 1986’처럼 끝나버린 기분이었는데요. 다른 분들은 이번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셨을지 궁금합니다.


이번 작품에 나오는 ‘그것’은 ‘페니와이즈’와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궁금하다고요? 음~ 이번 작품의 그것은 전설 속의 괴물과 여러 방면으로 설정이 조금씩 섞여 있는 듯했습니다. 처음에는 ‘형태변환자 Shapeshifter’ 계열인가 싶다가도, 계속되는 추적 속에서는 ‘흡혈귀 Vampire’ 같다가도, 최종적으로는 애니 ‘크리스마스의 악몽 Tim Burton's 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1993’에 나오는 ‘우기부기’의 본모습과도 일부 닮아있었는데요. 홀리가 조사한 자료 중에는 괴담을 영화의 소재로 사용한 경우가 언급되는바, 나름의 오랜 역사를 가진 존재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홀리가 조사한 영상은 실제로도 존재하냐고요? 음~ 이 부분은 멕시코 문화의 전문가분께 도움의 손길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책에서는 ‘로지타 루차도라 에아미가스 코노센 엘 쿠코 Rosita Luchadora e Amigas Conocen El Cuco’라고 언급되는데요. ‘여자 레슬러가 등장하는 멕시코 영화’에 관한 설정이 흥미롭기는 한데, 이 부분이 실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지 여부는 확인할 방법이 당장은 없었습니다.


표지에 나오는 과일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려달라고요? 음~ 책에서도 언급되긴 하지만 ‘캔털루프 멜론’이라고 합니다. 일반 멜론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싶어 내용을 찾아보니, 흐음. 속이 좀 더 노란색에 가깝다는 것 말고는 건강식품 광고 같은 내용뿐이라 내용을 옮겨 적지는 않으려 하는데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일반 멜론과 함께 비교 먹방(?)을 한번 해보고 싶어집니다! 크핫핫핫핫!!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조금 가져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오늘부터는 소설 ‘악몽과 몽상 Nightmares & Dreamscapes, 1993’을 만나볼까 합니다.


TEXT No. 3663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 바바리안 Barbarian, 2022

감독 : 잭 크레거

출연 : 조지나 캠벨, 빌 스카스가드, 저스틴 롱, 매튜 패트릭 데이비스, 리차드 블레이크, 제임스 버틀러 등

등급 : 청소년관람불가

작성 : 2023.01.16.


“어, 이거 왜 제목이 ‘바바리안’이지?”

-즉흥 감상-


영화는 천둥번개와 함께 비가 내리고 있는 어느 날 밤. 에어비앤비를 통해 빌린 임대주택에 들어가려 하지만, 비밀번호는 맞지 않고 집 안에는 자신 역시 집을 빌렸다는 낯선 남자가 먼저 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요. 서로가 가진 정보를 통해 중복 예약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것에 이어, 기이한 동거의 밤을 보내게 됩니다. 그리고 다음 날 면접을 보고 다시 돌아온 그녀는 집안에 숨겨진 공간과 그 속에 도사리고 있던 악몽을 마주하게 되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고요? 음~ 사실 영화의 제목을 모르고 보고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언젠가 영화를 소개해주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 작품을 살짝 맛보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영화를 다 보고 감상문을 쓰기 위해 작품의 정보를 확인하면서 위화감을 느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의 ‘바바리안’은 ‘클래시 오브 클랜’이라는 게임의 유닛이자, 영화 ‘코난-바바리안 Conan: The Barbarian, 1981’를 통해 각인된 ‘아놀드 슈왈제네거’의 모습인데요. 이번 작품에 등장하는 ‘바바리안’은 제가 생각한 것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이어서, 위의 즉흥 감상을 적어본 것입니다.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고요? 음~ ‘Barbarian’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과거 유럽에서의 이방인 또는 미개인, 야만인, 교양 없는 사람’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작품에는 ‘괴물’에 해당하는 것만 나와서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단어와 영화의 내용을 연결해보려 생각의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과거 유럽에서의’를 지워버리면, 타지에서 온 사람들로 이야기를 이끌다 보니 ‘이방인’이라 할 수 있고, 자칭 집주인이라면서 이야기의 바통을 이어받는 사람의 행동을 보면 ‘교양 없는 사람’에 해당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괴물을 만들어낸 괴물 같은 사람은 ‘야만인’에 해당할지는 조금 고민인데요. 아마 두 번째 이야기가 만들어진다면 ‘프리퀄’을 통해 부족한 서사를 추가해줬으면 하는군요.


중간에 갑자기 다른 사람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던데, 혹시 이거 짧은 이야기를 하나로 묶은 거냐고요? 음~ 저도 처음에는 그런가 싶었는데, 다행히 하나의 이야기로 이어지는 구조로 만들어져있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옴니버스 타입의 이야기 구조를 가진 것이 아니라, ‘희생양 추가’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군요.


영화는 재미있었냐고요? 음~ 한번은 봐도 괜찮은 작품이라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중복 예약으로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된 남자의 연기가 인상적이었는데요. 어딘가 낯이 익다는 기분이 들어 확인해보니 ‘빌 스카스가드’로, 리메이크된 ‘그것 시리즈’에서 광대 ‘페니와이즈’를 연기한 배우라는 사실이 흥미로웠습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을 제외한다면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더 많았기에 재미를 느끼기 전에 영화가 끝난 기분이었는데요. 혹시 이 작품에 대한 숨은 이야기를 아는 분이 있다면 따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작품을 통해 생각해봐야 할 점이 있다면 알려달라고요? 음~ 글쎄요. 안전해야 할 장소를 빌린다는 것의 위험성? 아니면 다른 사람이 경고하는 것에 대해 한 번쯤은 생각해볼 것? 그것도 아니라면 위험이 감지되었다면 일단 피할 것? 사실 감독이 이번 작품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건지는 모르겠는데요. 다른 분들은 이번 작품을 통해 어떤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지셨을지 궁금합니다.


그럼, 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 이 작품에서의 이야기가 현실에서 벌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TEXT No. 3662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