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풍자극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폐암 선고를 받고 죽을 준비를 하고 있는 노인과 삶을 포기하고 택시를 몰던 청년, 타락한 젊은 시절의 기억에서 자유롭지 못한 여인과 버려진 아이. 그들 모두가 사랑받고 사랑하며 행복해지는 이야기. 브루클린의 번잡한 골목 어딘가의 이야기.

쪼잔하고 오지랖 넓은 수다쟁이 노인네 네이선은 죽을 날만을 기다리는 불행덩어리였다. 그러나 그가 브루클린의 작은 아파트로 이사온 순간, 그는 행운 덩어리, 행운 그 자체로 변했다. 그를 만나는 사람들, 그의 인생에 들어온 사람들은 모두 진정한 사랑을 만났고 인생의 참의미를 깨달았으며 진정으로 행복해졌다.
네이선 그는? 그 역시 마찬가지다. 쉽게 흥분했다가 후회로 전전긍긍하기도 하고, 때론 정의의 히어로인양 호통을 치다가 급기야는 사춘기 계집애처럼 걸핏하면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죽음을 문턱에 둔 노인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자유분방한 감정의 배설. 그의 감정이 번잡스러워질수록 그는 더욱 행복해졌다.

기실, 그 모든 감정의 발산은 내가 했어야 할 것들이었다. 웃고 울다가 떠들다가 화내다가, 미안해하다가 행복해하는 그 모든 감정들 말이다. 하긴 요 몇년간 참으로 미동없이 살아오긴 했지. 이 정도의 소설만으로도 정신이 다 없어질 정도였으니.
이렇게 정신없이 수다스럽고 장황한 글이 내게 위안이 될 줄 몰랐다. 대책없이 행복해지는 이야기의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폴 오스터 당신도 이제 늙었군, 하고 미워할 수 없다는 듯 웃엇지만, 사실 가장 행복해진 건 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