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의 뒤 풍경
케이트 앳킨슨 지음, 이정미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현재를 직시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들여다 볼 줄 알아야 한다. .. 는 것쯤은 잘 알고 있다. 지금의 나를 알기 위해서는 나의 부모, 부모의 부모, 그들의 형제를 알아야 한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가계도를 따라 그들의 이야기를 찬찬히 손으로 짚으며 가지를 뻗어간다는 게 드라마를 보듯 흥미진진한 얘기가 아니라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오히려 나는 가족 이야기가 대부분은 지긋지긋하고, 내가 `어딘가에 속해있는 누구`라는 존재 규정 자체가 지리멸렬 하다. 
이 이야기도 그렇다. 4대에 걸친 다양한 인물들은 거의 비극적으로 죽거나 가정을 버리거나 아이를 버린다. 거대한 역사적 물결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일상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지독하게 불친절하고 매사에 부정적이며 늘 사춘기 아이들처럼 불안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고향을 그리워하고 자녀를 사랑하며 부모를 측은하게 생각한다. 그 오만잡다한 감정들이 가족이라는 이름 안에서 소용돌이를 치고 있다. 
그러므로 <박물관의 `뒤` 풍경> 이라는 제목은 매우 적절하다. 현재의 삶에 존재하는 사소한 소품들로 과거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전개 방식도 매우 매력적이다. 현재에 주석처럼 달린 과거. 그게 바로 우리의 삶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