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스포일러가 곳곳에..)

이 책을 읽기 전에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4장을 다시 읽었다. 다시 읽는데도 한 문장 한 문장이 새록새록하여 열심히 곱씹으며 보다가 하루가 다 가버렸다. 밤늦게 집어든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 서장을 읽다가 어질어질하여 그만 잠이 들었다. 그러니까 이 책은 그 다음날에야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한 셈인데, 리세가 기차에서 눈을 뜬 순간부터 몽롱해지는 느낌이었다. 같은 장소, 같은 인물, 같은 감상, 같은 대사가 되풀이되고 있다. 과연 예전에 읽었던 부분인지조차 헷갈려지기 시작했다.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서 봤던 똑같은 대사다, 라고 생각했다가 순간 아닌가? 하는 생각이 뒤따른다. 과연 내가 봤던 건 뭐지?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나 넘쳐나는 기시감. 어디서 봤더라,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 나왔던 걸까, 서장에 나왔던 걸까, 아니면 읽다가 잠들었을 때 꾸었던 꿈에서...?
그것은 세 번씩이나 반복해서 나온 조금씩 다른 같은 이야기 때문일 수도 있고, 그녀의 잃어버린 기억 때문일 수도 있고, 교장이 나에게 먹인 검은 홍차 때문일 수도 있다. 모든 것이 음습하게 뭉뚱그려진 채로 미로를 헤매는 듯한 느낌으로 내내 책을 읽게 되었다. 미스터리 소설의 독자라면 응당 가지고 있어야 할 명확한 상황 판단력이나 논리적인 추리력 따위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도개교를 지나 삼월의 학원제국에 들어가는 순간, 무언가에 취해 버렸다. 조금은 다른 결말을 가진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4장 이야기처럼 이 학원 지하에 아편의 재료인 양귀비를 키우는 정원이 넓게 있어서 조금씩 조금씩 중독이 되고 있었던 걸지도. 아니, 부모와 친지로부터 버려진 채 세상과 단절된 채 묘지같은 이곳에서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있는 아이들의 우울한 감정들이 공기를 통해 조금씩 나를 감염시키고 있었던 걸지도.

그래서 느닷없던 결말이 조금 당황스러웠다. 멍청~하게 책을 읽고 있던 내 두 뺨을 찰싹 내리쳤다. 교장이 리세에게 그랬던 것처럼. 정신을 차리고 났을 땐 모든 정리가 끝나버린 후였다. 레이코도 레이지도, 요한도, 유리도. 모든 상황이 제자리로 돌아왔다. 정신없이 쫓겨 다니던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 리세는 야무진 표정으로 새침을 떨고 있다.
결국 고등학생이 되어 떠나가는 리세를 뒤로 한 삼월의 제국은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누구에겐 요람이고 누구에겐 양성소이고 누구에겐 묘지인 이곳. 누군가에게 검은 홍차를 먹이고, 누군가를 첨탑에서 떨어뜨려 죽이는 이곳. 밀실인 장미정원에서 누군가 사라지는 이곳. 그러나 아름다운 곳.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4장을 보면 온다 리쿠가 글을 쓰는 방식을 엿볼 수 있는 글이 있다.

그녀가 소설을 쓰는 방법은 엉성하기 짝이 없다. ‘분위기는 이러이러하고, 읽히면 이러이러한 기분이 되는 것은 쓰고 싶다’는 아이디어가 맨 앞에 있고, 그 다음으로 ‘이러이러한 장면을 쓰고 싶다’는 식으로, 쓰고 싶은 장면들이 몇 가지 있다. 그래서 그런 장면들을 이어붙이는 것이 작업의 핵심이다. 흩어져 있는 장면들에서 전체 이미지를 발굴해 가는 작업은 즐거우면서도 고생스러운 일이다.

이 말은 소설 속의 한 장면이지만,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에 한해서는 정확하게 들어맞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