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리커처로 본 여성 풍속사
에두아르트 푹스 지음, 전은경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여성학이나 여성운동이라는 주제는 왠지 모르게 부담스럽다. 딴에는 평등을 주장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신성한(?)이라는 미명하에 여성들은 면제되는 국방의 의무도 마쳤고 우리 아버지 세대나 그 윗세대 남자분들이 가졌던 가정내의 권위를 맛보지도 못하고 힘들게 살고 있는 판인데 거기다 주변엔 여권신장이라는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자신의 책임은 방치하고 권리와 보호받음만 외치는 몇몇 두드러지는 분들과 만나노라면 내속에 내가 모르는 마초적 본성이 숨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부담감이다.
캐리커쳐라는 단어와 풍속사란 흥미진진한 주제에만 빠져서 책을 받아들었더니 엄청난 두께와 더불어 여성사라는 주제가 머릿속에 압박해 들어왔다. 지금부터 100년쯤 전 독일의 사회주의 예술가인 에두아르트 푹스의 눈에 비친 캐리커쳐와 여성의 인권은 어떤 모습일까? 아무리 우리보다 여권이 신장되고 사회적 여성의 지위가 보장되는 유럽사회라곤 하지만 100년전에는 그리고 여성에 대한 캐리커쳐가 소개되는 16세기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하는 호기심이 그나마 책장을 넘기는 힘이 되어 주었다.
"캐리커쳐를 '극단 속에서 드러나는 진실'로 보는 그의 견해는, 캐리커쳐 속의 여성이 의인화된 천국과 지옥이지만, 풍자란 고귀한 이성이 아니라 당시에 통용되는 도덕률의 표현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진다"는 옮긴이의 후기처럼 여성의 가정 내에서나 사교계에서의 행위와 복장 그리고 여성상이 풍자와 조롱의 대상으로 비춰지는 것을 보며 그시대 여성들이 받던 사회적 대접과 지위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시대 남성들의 성적 환타지의 대상이고 가정에서 노동을 재생산하는 대상으로서만 비춰지는 여성, 남편 혹은 남자의 사랑과 그의 재산을 노리고 경쟁하고 싸우거나 사치와 허영의 표상으로 비춰지는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그녀들의 복장이 몸과 마음을 묶어버리는 코르셋이나 성적 매력을 강조하던 데서 점차 자유롭게 바뀌어 가면서 사회적 위치가 바뀌어가고 유한마담이나 창녀, 타락한 수녀 혹은 버릇없는 하녀의 모습에서 남성과 동등한 여성시민의 모습으로 바뀌어 가는 변화를 보며 그러한 과정의 바탕 하에 지금과 같은 여성의 지위에 대한 보장이 가능하게 되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아직도 선진국이나 많은 곳에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고 평등하게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해야 할 것이다.
캐리커쳐가 빠져나간 자리에 연예인이나 불특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몰카나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고 있는 각종 화보집이라는 이름의 영상물이 범람하는 우리의 환경이 아직도 여성을 이해하고 남녀의 구분없이 서로를 생활의 파트너로 인정하고 평등과 이해의 길로 가기에는 가야할 길이 멀다는 걸 깨닫는다. "아름답기만 한 것 이상을 원한 여성들, 즉 사람이 되고자 한 여성들이 가장 심하고 지속적인 공격을 받았다."(P740)는데 내가 무심코 던진 한마디 행동 하나가 그들에게 상처가 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조금은 불편하고 부담스러워도 불만족스러운 면이 있더라도 참고 사람이 되고자 고군분투하는 여성들에게 도움은 못 될망정 걸림돌이 되는 남자가 되어선 안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