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3원을 꼽곤한다.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그리고 오원 장승업을 이야기한다. 그들이 살았던 시기가 그림을 그리는 화원에 대해 우호적이지만은 않아 그들의 삶이 제대로 남아 있지는 않지만 단원의 경우 벼슬살이도 했었고 오원의 경우 영화로도 그의 삶을 조명했지만 혜원에 대해서는 작가의 말마따나 상상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조선을 대표하는 두천재 미술가 단원과 혜원의 이야기를 사도세자의 초상에 얽힌 사건과 당대의 세도를 떨치는 신흥부자 그리고 은밀한 그들의 사랑이야기, 단원과 혜원이 품고있는 하나씩의 비밀이야기까지 그냥 지나치거나 단순히 그림에 대한 해설로만 그칠 이야기들에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이야기꺼리를 배열함으로서 혹시 그게 사실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도 들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훌륭한 상상력을 받쳐주기에 내러티브는 약해 보인다. 단원이 정조의 지시에 의해 살인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과정이나 윤복의 비밀을 해결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우연적이거나 선언적으로 그친다. 깜깜한 길을 걷는데 작가는 미리 복선을 깔아뒀다지만 그게 그렇게 연결되는 이야기였나 싶게 너무도 쉽고 다 밝혀놓고 하는 설명들이 조금은 억지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2권 초반에 왕과의 이야기는 끝나고 나머지는 두 화원의 사랑과 복수를 다루는데 1권에 다루었던 살인 사건 이야기와 2권의 이야기가 처음부터 어우려졌다면 좀더 흡입력 있는 이야기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윤복이 도화서의 화원이 되는 것이나 그림을 그리는 이유에 대해 1권과 2권의 내용이 일관성 없이 표현돼서 아쉽다. 조금도 밀도있는 전개와 구성이 이루어졌다면 모처럼 훌륭한 이야기를 만날 뻔 했는데 아쉬움이 크다. 그리고 이 이야기에 안티히어로로 그려지는 김조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당시 양반들에 의해 무너져 내린 사회질서를 비판하기보다는 새로운 사회의 질서를 만드는 상인 계급을 조롱하는 듯해서 단원과 혜원같이 기존 화풍을 뛰어넘는 이들의 이야기와 조금은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 든다. 또 즉위 초기이지만 신하들의 문체까지 간섭하던 계몽군주(?) 정조가 두화원들과 함께 풍속화를 두고 궁외의 소식을 접하고 풍류를 즐겼다는게 작가의 훌륭한 상상력의 결과이긴 하지만 조금은 오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작가의 전작을 읽진 못했지만 우리의 역사에서 소재를 찾아 새로운 상상력으로 재미있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노력이 계속된다면 다음엔 더 좋은 작품을 기대할 수 있지 않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