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문체반정()이라 했다. 본디 반정(正)이라함은 기존의 질서를 허물고 새로운 왕과 질서를 내세움을 뜻하는데 문체반정은 박지원의 열하일기(記)에서부터 비롯된 참신하고 새로운 문장에 대해 당대의 성군이라는 정조께서 몸소 주자()와 당송대의 시문을 본받자고 벌어진 일이다.

절대군주가 몸소 나서야만이 막을 수 있었던 문학적 반란의 중심에 박지원이 있었다. 열하일기뿐 아니라 <허생전>과 <양반전>으로 대표되는 연암이 한글소설들도 전대에 나왔던 허균의 <홍길동전>이나 김만중의 <사씨남정기>, <구운몽>에 비교해서도 당시 조선의 독자적인 문화를 잘 표현하고 새로운 사회의 질서를 표현한 글들이란 느낌이 든다.

그런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운다. 정말 구미가 당기는 제목이다. 작가들이 연암의 글을 빌어 글쓰기에 중요한 자세한 방법들을 알려주는 형식이 딱딱한 표현이 아니라 소설과 같은 형식을 빌어 쉽게 읽히게 했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그러구 보니 예전엔 이런 류의 글들을 처세라고도 해서 괜히 터부시하고 외면하게 했었는데 자기개발이라는 분류로 이름지어지면서 좀 더 세련되고 재미와 교훈을 함께주는 형태로 발전한 듯 하다.

하지만 연암의 인생과 글을 단순히 새로운 글쟁이 수준으로 낮춰 보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물론 작가들이 그런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오로지 문장에만 그의 인생과 글의 내용을 집중하다보니 진정 연암이 어떻게 살아왔고 그러한 글들을 통해 무엇을 주장하고 싶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약했다. 그렇게 고난을 당하고 힘든 시련의 시간을 거치면서도 지키려고 했던 그의 문장이 단순한 예술가로서의 고집이 아니지 않았을까.

사실 연암은 문체반정의 와중에 정조에게 제출한 자송문(반성문)으로도 최고의 문장으로 칭찬 받았었다. 그 자송문은 새로운 문체가 아닌 정조가 가이드(?)한 고문체였음에도 말이다. 그렇다면 연암에게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글쓰는 기술과 기법이 아니라 그가 글을 통해서 세상에 무엇을 얘기하려 했음인지 조금은 귀를 기울였다면 어땠을까?

<북꼼리뷰도서>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9-19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쓰는 기술과 기법이 아니라 그가 글을 통해서 세상에 무엇을 얘기하려 했음인지"

고맙습니다. 덕분에, 새삼 - 글을 씀에 있어서 '무엇을 이야기 하려느냐?' 고
스스로에게 되새김질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7살 때, 사회를 풍자한 걸죽한 비판소설을 써보자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14~16살 때, 신문과 뉴스를 접하고 난뒤에 신랄하게 사회를 비판하는 글을 일기장에
빼곡히 채웠던 어리숙했지만 솔직한 마음도 생각이 났습니다.
그 어릴 때는 그렇게(그것이 설령 웃길 정도의 얄팍함이라 했어도) 내 목소리에 귀를
귀울일 줄 알았건만, 어쩌다, 언제부터 나는 이렇게 생각없이 사는 동물이 되었을까..
하고 반성을 해봅니다.
아, 오늘, 내 자신이 너무 부끄럽습니다...

나는 언제부터 글을 쓰지 않게 되었을까....언제부터 내 목소리를 듣지 못했을까...

antitheme 2007-09-19 13:05   좋아요 0 | URL
L-SHIN님의 글에선 항상 재치가 번뜩이는데 부끄러워 하시면 안돼죠...

비로그인 2007-09-20 11:54   좋아요 0 | URL
제 글은...얇습니다.
금방 깨져버릴 얼음판처럼요. 하지만 덕분에 '정신 차리고' 있습니다.^^
두꺼워지고 싶습니다.

antitheme 2007-09-20 12:10   좋아요 0 | URL
내공의 부족함은 저도 항상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프레이야 2007-09-19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요즘 연암 관련 도서가 쏟아지는군요. 이 책은 님의 리뷰로 보면 아쉬움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글을 통해 세상에 이야기하려는 '무엇'이 글쓰기의 핵심이라는
생각, 동감합니다. 그러니 어려워요^^
님, 마지막 문장에 오자 있어요.^^ --> 귀를 '기울였다면' 어땠을까?'

antitheme 2007-09-19 13:05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글쓰기는 항상 어려워요.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