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간동아> 기사중 정중헌 서울예대 교수의 한국인의 유별난 ‘인상파 편식’ 이라는 기사를 접했다. 모네의 대표적인 작품 <수련>이 국내에서 전시되고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반 고흐에서 피카소까지’전 등 많은 미술 유파중 유독 인상파 화가들에 대한 관객과 미술시장의 편애에 대한 글이었다. 기호도 좋지만 미술시장에 큰흐름으로 봐서나 다양한 미술 쟝르에 대한 소개를 통해 미술관람객들의 눈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쟝르나 유럽을 중심으로한 서양미술만이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미술 등에 대한 전시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그러구 보니 학교 다니며 미술시간에 미술사조에 대해 배운 것중 기억에 남아 있는 건 마네, 모네로 시작된 인상파 이야기, 고흐 고갱 세잔으로 대표되는 후기 인상파 정도다. 거기에 입체파 피카소, 초현실주의, 폴록의 추상화 정도가 그나마 조금은 기억이 난다.
이런 형편이니 나이 먹고 조금은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하고 싶어 미술 전시를 찾으려들면 이해도 안되는 추상미술이나 현대미술보다는 낯익은 작가와 작품이 많은 인상파가 주를 이루는 전시를 찾기 마련이고 예산 등의 문제로 국립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를 주관하지 못해 기획사들이 전시를 유치하다 보니 블록버스터 기획전에 대중에서 손쉽게 먹히는 인상파로 대표되는 서양미술 중심의 전시회만 열리게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학교 미술 교육에서부터 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실기뿐 아니라 미술 이론 수업도 폭넓은 내용으로 진행되었으면 좋겠고 국립미술관 등 공공기관들이 앞장 서서 다양하고 풍성한 전시회들을 열어서 주머니 가벼운 서민들도 부담없이 눈을 호강시킬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다.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7/05/02/200705020500082/200705020500082_1.html
기사 내용 링크 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