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이런 책이 있었네. 뒤늦은 발견. 초판이 나오고 절판된 모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조선잔혹사 사탐(사회 탐사) 2
허환주 지음 / 후마니타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는 곳 근처에 폐조선소가 있다. 책을 막 펼쳤지만, 무심하게 활자가 된 단어 하나하나가 무겁게 짓누른다. 별점 다섯 개를 박고 시작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년 8월에 나온 책이다. 핀란드가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것이 1917년이니, 책 출간 후 10년이라는 세월은 현대 핀란드 역사에서는 상당히 긴 세월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금 읽어서 핀란드를 들여다 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책이다. 2018년 12월 핀란드를 방문한 적이 있는데, 그 즈음부터 지금까지만 해도 핀란드에서는 기본소득 실험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한국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고 핀란드에서는 핀란드어, 우랄제어를 공부하여 고대 핀란드어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으신 분이라 그런지, '핀란드어'나 핀란드의 '영어교육'에 관한 부분, 또 당신의 육아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할 '핀란드의 교육(철학)'에 관한 부분 외에는 서술이 다소 피상적이라 느꼈다(핀란드 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서술이 더 주를 이룰 줄 알았는데 언어와 교육 이야기가 많다. 뒤에서 보겠지만, 글쓴이는 『뿌리 영문법』 같은 책을 내시기도 했다). 그래도 핀란드에 대한 지나친 환상과 이상화를 경계하고 현실주의적 시각을 갖게 해준다는 점에서는 미덕이 크다. 지은이는 기본적으로 핀란드가 정답이나 해답이라기보다는, 핀란드에도 여러 한계가 있지만(특히 책 262쪽 이하), 핀란드인들에게서 배울 점이 있다는 입장이다.



  우리의 국어 교육에 대한 다소간 회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핀란드인들이 핀란드어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고군분투하였고, 하고 있는가를 언급한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약간 교정할 수 있었다. 우리도 국어 교육의 방식과 방향에 대하여 좀 더 폭넓은 사회적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지적은 슬프고 아프다.


  우리는 아직도 한국어의 기원을 알지 못한다. 한국어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는 알타이어가 있었는지도 불확실하다. 그래서일까? 한국에는 제대로 된 한국어 어원사전이 없다. 핀란드 학자 람스테트(G. J. Ramstedt)가 1949년에 쓴 『한국어 어원론 연구(Studies in Korean Etymology)』라는 책을 한국 학자들도 참고하고 있다. 미래를 향해서 가도 바쁜 이 시대에 한국어의 과거에 대한 논쟁은 반시대적 발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디디고 있는 발이 탄탄해야 미래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인구 500만의 핀란드는 7권으로 구성된 핀란드어 어원사전 『Suomen kielen etymologinen sanakirja』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의 과거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책 60쪽)


  언어가 일차적으로는 '수단'이고, 옛 지식보다는 새로 만들어지는 지식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어야 하겠지만, 한국어는 언어의 형식과 내용 중 '내용' 면에서, 과거에는 한자어(여기에는 일본의 영향도 크다), 최근에는 영어 의존도가 대단히 높다[다음 글에서 영어를 중심으로 신어가 형성되는 최근 경향에 관하여 언급한 적이 있다. https://blog.aladin.co.kr/SilentPaul/11833977]. 글쓴이 지적처럼 어원론 연구가 부족한 것도 주된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단,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그 사이 책들이 꽤 나온 것도 같다). 외국어로서 한국어의 인기는 높아지고 있다는데,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 한국어는 충분히 연구되고 있는가. 노래 가사나 영화, 드라마의 대사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 또 한국인들과 대화를 할 수 있을 정도의 한국어만 보급하면 된다고도 할 수 있겠으나, 그 저변조차 '역사적 한국어' 자체에 대한 탄탄한 연구와 지식으로부터 더 생생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것 아닐까. 북한까지 합쳐 약 7,700만이 First Language로 쓰고 있으니 명목상 한국어가 소멸할 일은 없다며 실질적 한국어의 급속한 소멸과 망각을 방치할 것인가[참고로, 한국어는 프랑스어보다 First Language Speaker의 숫자가 많은 언어이다. 물론 언어의 국제적 위상은 비할 바가 못된다. 통일이 되면 지린성의 조선족까지 합쳐 상황이 조금은 달라질 것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languages_by_number_of_native_speakers].

  



  핀란드인들이 외국어를 잘 하는 이유를 '모국어 기반 외국어 교육'에서 찾은 것이 인상 깊었다(책 185쪽 이하). 모국어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모국어에서 경험한 언어적인 감각이 핀란드 사람들의 외국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쓰기 교육'에 대한 중시가 핀란드 영어 교육이 경쟁력을 가지는 근본 요인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철저한 문법 교육이 근간을 이루며 어휘 교육이 그 다음이다. 쓴다는 것은 언어적 실천 가운데서도 가장 능동적인 활동이므로, 여기에는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고 여긴다. 잘 쓰려면 우선 많이 읽어야 하고, 쓸 수 있으면 말도 할 수 있다. 우리 영어교육의 문제는 (일본화된) 문법 중심 교육 그 자체가 아니라, 언어를 (쓰든 말하든) "output"하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데 있는 것이 아닐까. 선다형 객관식 시험 체제에서는 "output"을 훈련하기가 훨씬 어렵다. 요즘은 공교육 일선의 영어 교육 상황이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우리도 (정식 교사 자격도 갖추지 못한 원어민 교사들에게 막대한 돈을 들이기 전에) 차라리 핀란드처럼, 영어 교사가 되려면 영어권 국가에서 일정 기간(비자기간 등을 고려해 3개월?) 거주할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어떨까도 싶다(책 202쪽). 그리고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편성에서 탈피해야 한다. 재미있으면 어려운 문장도 읽어야지, 각 학년마다 쓸 수 있는 단어가 제한된 바람에 맥락에 꼭 맞는 단어를 버리거나 아예 내용을 바꾸어야 하는 상황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가(책 201쪽). 주요 언어 이외의 외국어 전문가들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그 많은 대학에 개별 외국어 학과가 20여 개를 넘지 못한다, 책 207쪽). 그런 면에서 최근 티무르 제국 역사서가 세계 최초로 완역된 것은 정말 고무적인 일이다. 최준석, "세계 최초 완역 ‘티무르 제국의 역사서’ 에 숨은 역사", 주간조선 (2020. 7. 27.)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618100020


  교육의 주도권을 핀란드처럼 선생님들에게로 돌려야 한다(책 153쪽 이하 등. 스웨덴, 러시아, 독일 등 열강에 시달렸던 나라여서 그런지, 핀란드 교사들은 '내가 이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으면 말 그대로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는 절박함'으로 아이들 교육에 임한다고 한다). 나아가 핀란드는 [지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충분히 성장할 기회를 갖지 못함으로 인하여] 사회 생활을 할 수 없는 핀란드인이 생겨나는 일을 거부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것이 핀란드라는 국가의 자존심이다. 그들은 한 사람이라도 그러한 핀란드인을 만들어 내는 것은 국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결과라고 간주한다. 그래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국가는 그러한 결과를 미연에 방지하려 한다. 국가도 사회도 그 책임을 떠안을 각오가 되어 있다." (이상 책 117쪽) 핀란드어를 쓰지 못해 어린이집 적응을 힘들어 하는 글쓴이 아이를 위해 자신이 한국어를 배워서 아이를 돌보겠다고 했다는 핀란드 교사의 이야기는 감동적이다(책 115~6쪽). 책 157~8쪽의 다음 대목도 여러 단어 선택이 완전히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한계생산성'이라는 관점에서라도 타당한 주장이다.


  "무엇보다도 핀란드가 지향하고 있는 학생들 개개인의 능력을 끌어내는 교육,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키워내려는 처절한 노력은 본받을 만하다. 대한민국에서도 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이는 전체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 출산 장려 정책도 추진해야겠지만, 더 시급한 과제는 증가하고 있는 젊은이들의 자살을 막고, 이미 태어난 아이들을 잘 키워내서 우리보다 두 배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일일 것이다.

  잘하는 학생, 1등을 하는 학생을 만드는 것도 국가경쟁력을 위해 도움이 되겠지만, 낙오하는 젊은이를 만들지 않는 것이 전체 대한민국의 GDP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사람의 평균 능력을 100이라고 보았을 때, 몇 사람을 120으로 만들기 위해서 들이는 노력보다 0이 되는 사람을 없애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전체 국가적인 관점에서 보면 0이 되는 낙오자를 없애는 것이 효율적이다. 학교 평균 점수를 올리기 위해서 부진한 아이들을 위한 특별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들이 등장하고 있다. 학교 전체의 평균은 잘하는 학생의 점수를 올려서는 한계가 있다. 0점을 받는 학생들이 50점씩만 받아도 전체 평균은 금방 상승한다. 매우 긍정적인 변화이다. 그런데 수치로 나타나는 평균 점수를 올리려는 노력보다는 진정으로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한 사람을 키우기 위한 교육에 정진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지 않을까?" (책 157~8쪽)



  글쓴이는 이 책에 나온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책들도 내셨다.




  우리나라의 핀란드에 대한 관심도 매우 커졌다. 종래 핀란드 교육을 다룬 책들이 많았고, 여전히 많지만, 최근에는 핀란드인들의 삶에 주목한 책들이 늘었다. 번역할까 생각하고 사왔던 책이 이미 나와있어 놀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써 20여 일 전에 읽은 책인데, 이제야 리뷰를 쓴다.


  이만큼 잘 정리한 책도 드물 것 같아 별점 다섯을 주려다 아무래도 번역과 책 만듦새에 대한 불만을 표시해야 할 것 같아 하나를 깎는다(전자책으로 읽는 동안 오타신고를 많이 했는데 반영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미국 '정론지' 중 하나인 워싱턴포스트에서 서울특파원, 도쿄지국장을 지내고 베이징지국장으로 있는 애나 파이필드는, 수차례 북한 현지 취재와 많은 사람들에 대한 '과감한' 인터뷰를 통하여(취재원들의 안전을 위해 쓰지 못한 내용이 꽤 있다고 보인다), 북한에 관하여 '불량국가'라는 인상 밖에는 별다른 지식이 없을 영어권 독자들을 위한 꽤 친절하고 공정한 르포르타주를 직조해냈다. 오토 웜비어의 죽음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으로 김정은을 알게 된 미국인들이, 조금 더 '진지한' 맥락을 갖고 북한을 볼 수 있게 해줄 안내서 같다.


* 워싱턴포트의 2009년 기사 Andrew Higgins, "Who Will Succeed Kim Jong Il?," Washington Post, July 16, 2009를 볼 수 있는 링크 https://www.other-news.info/2009/07/who-will-succeed-kim-jong-il/

* Anna Fifield, "North Korea’s prisons are as bad as Nazi camps, says judge who survived Auschwitz," Washington Post, December 11, 2017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asia_pacific/north-koreas-prisons-are-as-bad-as-nazi-camps-says-judge-who-survived-auschwitz/2017/12/11/7e79beea-ddc4-11e7-b2e9-8c636f076c76_story.html (토머스 버겐탈 재판관의 특강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쪽으로도 관여하신 줄은 몰랐다.)



[밖에서 보면 트럼프에 대한 극성 지지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미국은 정말 지역에 따라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바이러스 확산 전까지만 하여도 트럼프 재선이 거의 확실하다고 보는 분위기였다). DC 근처는, 모르고 마주쳐도 알고 보면 미국이나 자기 나라에서 한 가닥 하는 사람들이 많아 정치적 대화를 상당히 자제하는 분위기임에도(동네에서 마주쳐 별 생각 없이 이야기하다 명함을 받고 보면 위키피디아에도 나오는 '가나 소장파 국회의원'인 식이다), 은근한 속내를 보면 트럼프 비판이 '상식' 내지는 적어도 '힙'한 것처럼 되어 일상의 유머와 대화에서도 그런 것이 배어 나오는 경우를 이따금 겪었다(탄핵 정국에서는 좀 달랐지만, 공화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그러나 '적색주'를 가보면 공화당 지지가 '상식'이자 '애국'이고, 트럼프에 대한 열성 지지자들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아래 지도의 진한 빨간색 주 중 한 곳에서 길게 우버를 탈 일이 있었는데, 내가 한국 사람인 것을 알게 된 기사가 이것저것 물어보다가 한국 사람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북한과 미국, 또 남한의 관계가 어떻게 될 것 같은지를 묻고는, 내가 "적어도 북한이라는 특이한 나라에 대해서는 트럼프의 '탑다운' 방식이 먹힐 수도 있을 것 같다"고 하자 자신의 트럼프 사랑을 열렬히 커밍아웃한 경우도 있었다(대통령 본인과 그 지지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노벨평화상을 받을 것이라고 제법 진지하게 기대하지 않았나 싶다). 아무튼 트럼프 지지에 대한 연장선상에서, 미국인들 가운데는 김정은에 대해서도 묘한 호감을 갖는 경우가 꽤 있다.]

  기자로서, 바꾸어 말해 어떤 면에서는 '외부자'임에도(우리 입장에서는 더욱), 겉으로 드러난 사실들을 우선 잘 연결하고 비어있는 부분을 파헤침으로써 이만한 책을 짜낼 수 있다는 것이 놀랍고 존경스럽다. 파이필드 지국장님의 끈질긴 '탐사' 덕분에 우리가 잘 안다고 생각했던 것들도 다시 보고 깨닫게 되는 부분들이 많이 있으실 것이다. 김정은의 생애를 썩 구체적으로 따라가볼 수 있다. 풍부한 독자층과 재정적 뒷받침 덕분이겠지만 영미권 저널리즘의 전통이 부러웠다.



(Wikipedia, 2004, 2008, 2012, 2016년 대선 투표 결과. 진한 빨강은 네 번 모두 공화당이 승리한 주들, 연한 붉은색은 세 번, 보라색은 2:2, 연한 파란색은 1:3으로 민주당 우세 주, 진한 파랑은 네 번 모두 민주당이 승리한 주들 https://en.wikipedia.org/wiki/Red_states_and_blue_states


  원제는 "The Great Successor"로, "마지막 계승자"라기보다는 "위대한 계승자" 정도로 옮겼어야 할 제목이다. 사실 이 책은 미국의 DC 인근 반즈앤노블 서점 매대에 너무나 눈에 띄게 나와있어 처음 알게 되었는데(그래서, '어라? 이런 책이 나왔네! 번역은 되어 있나?' 하고 찾아보았던 책이다), 표지 그림과 디자인에서 보는 것처럼 김정은이 실제로 'Great'하다는 의미로 쓴 제목은 아니다(책 결론을 보면 그렇다고 완전히 풍자적 의미로 쓴 것만도 아니다). 그런데 이기동 전 논설위원께서는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려는 현실적 판단에서인지, 개인적 희망을 담아서인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제목을 "마지막 계승자"로 옮기셨다.


[역자께서는 『기본을 지키는 미디어 글쓰기』라는 책을 쓰셨고, 아래와 같이 꽤 많은 책을 옮기셨다. 이기동 님과 출판사 프리뷰의 관계는 정명진 님과 출판사 부글북스의 관계와 유사하지 않나 싶다. 어빙 피셔, 정명진 역, 『화폐 착각』(부글북스, 2016)에 관하여 쓴 https://blog.aladin.co.kr/SilentPaul/11763468 참조. 두 분 모두 기자 출신이신데, 엄밀하게 옮긴 완성도 높은 책을 내는 편보다는 책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는 정도의 번역서를 빨리빨리 내는 데 목표를 두고 계신 게 아닌가 하는 인상도 든다(기자 특유의 센스가 돋보이는 역어들이 간혹 눈에 띄기는 한다).




여러 책들에 대한 여러 글에서 유사한 불만을 표시하였지만, 『마지막 계승자』도 주석에 대한 관심을 '조금도' 기울이지 않으셨다. 예컨대, 4장의 여섯 번째 각주 "Thae Yong-ho, Password from the Third-Floor Se-cretariat (Seoul, Giparang, 2018), 280."에서 Se-cretariat 같은 곳의 하이픈을 전혀 고치지 않고 그대로 두셨는데 이는 그나마 '사소한 무성의'이다(원서에서 역서 종이책으로, 또 역서 전자책으로 출간되면서 이 부분이 어떤 식으로 고려되었는지, 검토되기라도 했는지 모르겠다). 내가 더 중요하게 지적하고 싶은 것은, 저 정도면 번역서를 읽는 한국 독자들을 위하여 "태영호, 3층 서기실의 암호 (기파랑, 2018)" 정도로 표기하는 작은 노력을 기울여주실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점이다. 번역서를 신속히 출간하려는 과정에서 그렇게 된 것이라면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만, '출처에 대한 무시와 소홀'은 우리 언론의 고질병처럼도 느껴진다. 기사의 온라인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고, 외국의 유수 언론사들 가운데 인용한 내용에 링크를 달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우리 언론의 기사들 중에는 거꾸로 링크를 단 경우를 거의 보지 못한 것 같다. 기사가 주요 포털을 통해 소비되고 있는 것이나, '개인정보'에 대한 막연한 신성화가 이렇게 경로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같은 관행은 기사에 대한 검증을 어렵게 하여 신뢰를 크게 떨어뜨린다. 우리는 진영을 떠나 믿고 읽을 만한 언론을 가질 수 있을까?]


  파이필드 지국장께서는 남북한 문헌을 꽤 많이 인용하셨다. 다음과 같은 책들도 함께 볼 수 있겠다.




  책이 다룬 북한 해커들에 관한 기사 모음.


* Timothy W. Martin, "How North Korea’s Hackers Became Dangerously Good," Wall Street Journal, April 19, 2018 https://www.wsj.com/articles/how-north-koreas-hackers-became-dangerously-good-1524150416

* Patrick Winn, "How North Korean hackers became the world’s greatest bank robbers," Global Post Investigations, May 16, 2018 https://gpinvestigations.pri.org/how-north-korean-hackers-became-the-worlds-greatest-bank-robbers-492a323732a6

* Ju0min Park, James Pearson, "In North Korea, hackers are a handpicked, pampered elite," Reuters, December 5, 2014 https://www.reuters.com/article/us-sony-cybersecurity-northkorea/in-north-korea-hackers-are-a-handpicked-pampered-elite-idUSKCN0JJ08B20141205

* Sam Kim, "Inside North Korea's Hacker Army," Bloomberg Business week, February 7, 2018 https://www.bloomberg.com/news/features/2018-02-07/inside-kim-jong-un-s-hacker-army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기동 2023-01-03 2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귀한 서평을 이제야 읽었습니다. 소중하게 새길 대목이 많아 되풀이 읽었습니다.
 

[...] 시오노 나나미는 로마사를 성공 만능주의, 영웅주의, 엘리트주의 관점이라는 굴절된 시야로 바라본다. 《로마인 이야기》가 인기를 누린 이유는 신자유주의 물결이 휩쓸기 시작한 1990년대 이래 우리 사회의 풍토와 맞아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시오노 나나미는 로마사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리더십을 중시했고, 그러다 보니 민중은 언제나 영웅을 추종하는 존재로 역사의 뒷전으로 밀려난다.
어찌 보면 이것은 독재를 변호하고 민주주의를 유보하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시오노 나나미가 바라보는 로마 제국의 팽창은 침략과 영토에 대한 욕구가 아닌 로마의 안전을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일본이 선제적으로 자국의 안전을 위해 조선을 침탈했다는 위험천만한 논리로 발전할 수 있다. 자국의 안전을 위해 침탈했다는 주장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은폐하고 합리화하기 위한 기만적인 표현이다. 현재 진행 중인 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맞물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사에대한 이해는 많은 우려를 자아낸다. 로마사에 대한 시오노 나나미의 왜곡된 이미지에서, 한국 현대사를 자랑스러운 영광의 역사로 재조명하자면서 오랜 산고 끝에 성취한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고 합리화하려는 우익 진영의 움직임이 연상되는 것은 필자만의 기우일까?

- 2017년 1월(?) 감수자 서문 중에서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