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인간
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지음 / 예담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다큐멘터리를 워낙 좋아한다. 아무리 TV가 막장과 노출, 막말과 과장, 욕설과 비하, 디스와 낚시로 넘치고 있지만, 잘 만든 다큐멘터리를 보다 보면 이래서 아직 TV를 없애지는 못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책은 KBS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기도 하다. 왠지 제목 때문에 슬슬 피하다 느지막히 읽게 되었다.

 

책을 처음 열었을 때는 세계 최고의 대학인 하버드의 네 수재들에 대한 소개가 나오고, 한국과 중국, 일본과 인도의 알려질 대로 알려져서 이제는 식상해진 공부 전쟁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면서, 아 이거 혹시 그렇고 그런 책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었다. 대치동 이야기야 말할 것도 없고, 중국이나 일본의 교육열이 엄청나다는 것도, 인도에서 최상위권 학생들이 미국 명문대에 진학하는 경우는 보편적이라는 것도, 다 알고 있는 사실 아닌가.

 

그 지난한 대입을 위한 과정들이 어쩌면 이렇게 대동소이한가, 생각하면서 그 시기를 지나온 내 자신을 생각하며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하고, 훗날 나의 자녀가 그 과정을 겪어낼 것이며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저 가슴을 졸이며 지켜보는 것(과 돈을 대는 것)이 전부이며 그러려면 대체 내가 얼마를 벌어야 하는 거야? 하는 생각에 아득해졌다. 나는 막연히 자식을 공부, 공부, 공부에만 몰아넣고 싶지 않다는 생각은 하지만, 현실적으로 과연 자녀에게 공부를 강요하지 않는 대범한 부모가 될 수 있을까 생각하면 솔직히 자신 없기도 하다.

 

한참 암울한 가운데 수메르 시대도 공부 전쟁이 있었다는 부분에 다다르자 이유도 모르게 웃음이 나왔다. 실소였는지, 썩소였는지 모르겠지만, 진정 Homo Academicus 로구나, 인간은 원래 공부를 하게 되어 있는 종이로구나, 인류 최초의 문명이 점토판에 쐐기문자로 당시의 교육열을 기록할 정도로 공부의 역사는 문명의 역사와 함께 했구나 하고 생각하니 오히려 마음이 가라앉는다고 할까. 인간이 살면서 싫어도 해야 하는 부분이 있고, 필요악도 있고, 억지로 견뎌야 하는 요소들이 있는데 어쩄든 공부는 평생 껴안고 가야 하는 것이구나, 하고 꺠닫는 순간, 공부열이란 아예 문명의 한 부분이라고 인정해 버리니 마음이 도리어 편해졌다.

 

동양인의 공부 열정 이후에 이어지는 내용은 유대인들에 관한 내용이었다. 전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이들이 전세계 인구의 0.2%에 불과하면서도 노벨상 중 23%를 휩쓸었다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고, 그들이 사실상 미국의 자본을 잡고 있다는 것도 알만큼 알려진 이야기이다. 탈무드와 코란, 그리고 유대민족 특유의 토론문화와 단결력도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그렇다면 왜 공부열로는 유대인 뒤지지 않는 우리나라는 과학 분야의 노벨상을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나? 왜 우리는 유대인처럼 세계를 휘어잡지 못했나? 하는 의문이 들 무렵, 이 책에서는 유대인 특유의 교육 방식을 '권위주의적인authoritarian' 방식이 아닌, '권위 있는authoritative'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가족주의 문화, 높은 학업성취라는 공통점을 가지고도 결과가 확연히 다른 것은 유대인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자기주도학습에 능하고 자존감도 높기 떄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유대인들도 학원을 갈까? 답은 아니오다. 한국, 중국, 일본, 인도를 취재하면서 공통적으로 취재팀이 방문했던 곳은 사교육 현장이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자녀를 학교나 학원에 전적으로 위탁하지 않는다. 가장 훌륭한 스승은 학교 선생님도 종교 지도자인 랍비도 아닌 그들의 부모라는 것이다.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자발적으로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매일 온 가족이 저녁식사를 하면서 나누는 대화의 범위는 학교 생활에서부터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까지 다양하다. 어릴 때는 잠들기 전 꼭 책을 읽어주었고, 오랜 시간 동안 학습을 직접 지도했으며, 함께 휴일을 보내고 여행을 갔다.

 

사교육 현장에 대한 리포트를 볼 때는 마음이 답답했는데, 유대인의 교육방식을 보고 나서는 조금 마음이 트이는 기분이었다. 저런 방식이라면 나도 할 수는 있겠다는 자신이 들어서이다.

 

이 책의 마지막에서 전형적인 동양식 교육 방식과 전형적인 서양식 교육 방식을 비교하는 부분이 나온다. 지식을 암기하는데에 집중한 동양식 방식과 질문과 토론을 강조하는 서양식 방식. 책은 섣불리 둘 사이에서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 다만, 동양식 방식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서양식 방식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