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에 사라진 직업들
미하엘라 비저 지음, 권세훈 옮김, 이르멜라 샤우츠 그림 / 지식채널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1. 여러모로 흥미로운 책. 일단 등장하는 총 24가지의 직업을 빠르게 훑어 볼 수 있어서 지루하지 않고, 실력있는 삽화가의 그림은 단 두 장에 걸쳐져 있지만 두 장 이상의 정보를 전달한다. 시각적으로도 흥미롭고, 당시 유럽 사회에 대해 자세히는 몰라도 아주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다.

 

2. 등장하는 직업의 목록.

이동변소꾼

만능식도락가

개미번데기수집상

유모

유랑가수

고래수염처리공

오줌세탁부

커피냄새탐지원

터키인시종, 궁정흑인, 섬인디언

숯쟁이

촛불관리인

석판인쇄공

넝마주이

대리석구슬제조공

'로사리오의 묵주'제조공ㆍ호박세공인

무면허의사

지하관우편배달부

말장수

모래장수

사형집행인

가마꾼

실루엣화가

순회설교자

양봉가

 

3. 수많은 직업들을 한 책에 담다 보니 깊이가 떨어지기도 한다. 작가가 직접 서문에 밝혔듯이 이 책은 어떤 직업이 어떤 일을 하고 솜씨가 어땠고 어떤 도구를 사용했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주안점을 두지 않는다. 무엇이 사람들로 하여금 이 일을 하게 만들었는지에 집중한다. 그 사회의 필요에 의해서 탄생된 직업들은, 그 사회가 변화함으로써 필요가 없어지고, 결국 사라진다. 유럽의 넝마주이는 1450년경 금속활자의 발명과 함께 인쇄술이 발전하면서 종이 원료로 이용되는 넝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겨났고, 아마도 분리수거가 자리잡고, 종이의 원료가 다양해지며, 종이 이외의 다른 매체들이 등장하면서 사라졌을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이동변소꾼 또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해주는 없어서는 안 될 직업이었지만, 화장실이 발달하면서 사라졌을 것이다.

 

4. 특히 내가 흥미로웠던 것은 지하관우편배달부. 지상이 아닌 지하를 통해 우편 뿐 아니라 일종의 택배도 하였던 것 같은데, 그럼 그 당시에 만들어진 지하관들은 전부 지금 어떻게 되었나, 하고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아쉬운 게 이 책에서는 그런 것까지는 언급해주지 않는다. 이 정도는 굳이 도서관에서 사료를 뒤질 필요 없이, 현재 독일에 거주하는 작가가 쉽게 말해줄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아서이다. 한 가지 든 생각이, 최근 인기리에 방영 중인 모 프로그램에서 독일인이 자국의 특이한 물건들에 대해 소개한 것 중, 맥주 공장에서 파이프를 통해 경기장까지 맥주를 운반하여 사람들이 경기를 보면서 맥주를 마실 수 있게 한다는 기억이었다.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긴 파이프였나, 가장 오래된 파이프였나, 아무튼 가장 ~한 파이프였다는 것만 기억이 나는데 보면서 내내 저 파이프는 대체 언제 만든 것일까, 얼마나 돈이 많이 들어갔을까, 아무리 수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사람들에게 맥주를 먹이기 위해서 저런 파이프를 만든다는 것은 좀 비효율적이지 않나? 하고 궁금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뒤늦게 아, 혹시 중세 때 우편배달을 위해 만들어진 지하관들이 현재 저렇게 쓰이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도 방송에서도 얘기해주지 않아서 알 길은 없지만.

 

5. 이런 류의 책들은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참 재미있게 읽었었는데, 요즘은 단순히 '재미'로만 넘기지 못하는 것 같다. 한때는 지구상에 분명히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진 직업들. 사회가 급변하는 요즘 수많은 직업들의 흥망성쇠를 보면서 성인이 된 지금은, 한편으로는 숙연한 느낌도 들고 한편으로는 아득한 느낌도 든다. 내 삶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