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랑을 하고 있어
마스다 미리 지음, 박정임 옮김 / 이봄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에는 수많은 사랑 이야기가 등장한다.

 

가슴 아픈 짝사랑도 있고, 이제 막 시작을 한 사랑도 있고, 다 끝나가는 사랑도 있고...

 

하지만 찬찬히 읽어나가면서 나는 이런 사랑이라면,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일까, 왜? 읽어나가다가 궁금증이 풀렸다.

 

 

이 책의 이야기 중 사랑하는 여성들은 예외없이 불안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바람을 피우는 명백한 증거 앞에서도 자기 편할 대로 해석해서 스스로를 위로하거나 애초부터 애인있는 사람을 좋아해서 스스로를 후순위에 두는 것을 자처하는 경우도 있다.

 

꼭 이런 경우까지는 아니더라도 사랑을 한다면, 상대방을 좋아하는 마음이 커져가면 갈수록 문득문득 불안한 마음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겠지만, 이런 식으로 베이스로 깔려 있는 사랑이라면, 나 같으면 끝내는 쪽을 택할 것 같다. 나의 지인이 이런 경우라도 마찬가지다.

 

적극적으로 사랑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는 이야기들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애인이 있는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경우, 현재 애인과 헤어지지 않기를 오히려 바라게 된다, 왜냐하면 그가 혼자가 된다면 내 마음은 훨씬 사무칠 것이며,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모습을 보느니 차라리 짝사랑이 낫다는 이야기인데 너무 패배주의적인 생각이 아닐까 하게 된다. 나 또한 누군가를 혼자 좋아해본 적이 있지만 이 정도로까지 저자세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매사에 똑부러지는 것 같은 여자들 중에서 의외로 사랑에 있어서만큼은 헛똑똑이가 되어버리는 여성들이 많다. 함부로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작가도 그 범주에 살짝 발을 걸치고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단 내 자신부터 나를 함부로 대하거나 상처주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

 

마스다 미리의 책 중 한 번 읽고 나서 다시 읽고 싶지 않은 책은 이 책이 처음인 것 같다. 책 제목이 나는 사랑을 하고 있어, 인데 내 기준으로는 이 책의 상당수 내용들이 진짜 사랑이 아닌 것 같아서 중간중간 책 제목이 양 페이지 꽉 차게 등장할 떄마다 거북하기 떄문이다.

 

그런데 또 아이러니 한 것이 삽화는 내가 본 마스다 미리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든다. 어디까지나 내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그 전의 그림들보다 더 정성을 기울인 듯한 느낌이고, 부드럽고 온화하면서 사실적이어서 계속 보게 된다.

 

내게는, 그 사람이 있으니까.

그런 것쯤 아무것도 아니라고 진심으로 생각한다. 나를 이해해주는 남자가 있다면 남의 시선 따위 상관없다.

 

사랑이 나를 강하게 만들어 혼자 있을 떄도 자신감을 준다.

 

내가 유일하게 마음에 들었던 구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