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
성석제 지음 / 강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어처구니
(주로 ‘없다’의 앞에 쓰여)
상상 밖의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
비슷한 말 : 어이2.
어처구니가 없는 일을 당하고 보니 한숨만 나온다. 하는 짓이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화도 내지 못하고 있다.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니?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황당한 제목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동시에 ‘어처구니가 그런데 무슨 뜻이지? 어? 그러고 보니 내가 어처구니가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쓰고 있었나?’ 하는 생각도 든다.

사전을 찾아보면 위와 같다. 즉, ‘그곳에는 “상상 밖의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들”이 산다’는 뜻이다. 그럼 이렇게 쓰면 될 걸 가지고 왜 저런 제목을 붙였나? 이상하게 읽다보면 참 어처구니없군, 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우리가 늘 ‘어처구니없다’고 할 때 ‘“상상 밖으로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이 없다’는 뜻으로 쓰지는 않지 않은가? 주로 황당할 때, 상식 밖의 일이 일어날 때, 어이없을 때, 쓰는 말이 바로 ‘어처구니’이다. 이러고 보면 ‘어처구니’가 쓰이는 상황도 다소 ‘어처구니없기는’ 마찬가지이다.

 

이래도 정리가 안 되는 느낌이라서 어처구니의 유래에 대해 찾아보았다. 맷돌의 손잡이를 어처구니라고 한단다. 맷돌을 돌리려고 하는데 그게 없다면? 맞붙은 두 돌만 있고 손잡이가 없다면 그야말로 어처구니없는 상황 아닌가? 여기서 나왔다고 한다.

 

또 다른 어처구니는 왕궁 등의 처마에 장식된 ‘토기’ 를 말하는데, 왕궁을 지으면서 처마에 ‘어처구니’ 를 올리지 않아 뒤늦게야 ‘어처구니’ 가 없음을 알게 된다면 참으로 어처구니없을 것 아닌가? 여기서 나왔다고도 본다고 한다. 놀랍게도 여기의 어처구니는 해당하는 한자도 있더라.

 

아무튼 참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처구니, 성석제의 어처구니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소설집이다. 군데군데 이건 소설이 아니라 수필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 작품들도 있었고, ‘엄청나게 크’기 보다는 다소 궁상맞고 소심한 생각을 담은 작품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글들은 제목에 충실하다.

 

1994년에 나왔고, 2007년에 개정되었다. 처음 이 소설집을 낼 때만 하더라도 작가는 작가의 길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 작품들 중 장편으로 발전한 작품도 있다고 하고, 현재의 ‘성석제스러움’의 초창기 모습이 많이 보인다. 풋풋하지만 농익지는 않은 느낌. 한 입 콱 깨물면 꿀처럼 달거나 말랑말랑하지 않고 아직 아삭거리며 신 맛이 나는, 저절로 눈이 감기는 사과를 먹은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