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0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는 대학생쯤 되면 연인이 있어야 한다는 편견이 있다. 그러나 그건 그야말로 편견일 뿐이다. '대학생쯤 되면 연인이 있다'라는 편견에 등 떠밀린 어리석은 학생들이 이리 뛰고 저리 뛰어 신분을 번지르르 치장한 결과 누구에게나 연인이 생기는 괴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더욱더 편견을 조장한다.

나또한 그 편견에 등 떠밀린 건 아닐까. 고고한 남자임을 내세우면서 실은 유행에 취해 사랑을 쫓아다닌 것은 아닐까. 사랑을 탐하는 아가씨는 귀엽기나 하지. 하지만 사랑, 사랑, 하며 눈을 희번덕거리는 남자들의 그 으스스함이란!

도대체 나는 그녀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 걸까.

눈에 못이 박힐 지경으로 바라본 뒤통수 외에 무엇 하나 아는 게 없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데도 어찌하여 반했다고 하는가. 근거가 불분명하다. 그건 단지 내 마음의 공허에 그녀가 어쩌다 빨려 들어온 것에 불과한 게 아닐까. 
 

 

입학 이후 결코 올라간 적 없고 앞으로도 전혀 올라갈 기미가 없는 학업 성적, 취직 활동은 대학원에 진학하겠다는 구실을 높이 내건 채 뒤로 미룰 뿐, 융통성도 없다. 재능도 없다. 저축한 돈도 없다. 완력도 없다. 근성도 없다. 카리스마도 없다. 사랑스러워 뺨을 갖다 대고 비비고 싶어지는 새끼 돼지 같은 귀염성도 없다. 이렇게 ‘없다, 없다의 행렬’이 이어져서는 도저히 세상을 살아갈 수 없다.

나는 너무나도 초조한 나머지 이부자리에서 기어 나와 한동안 두 평 남짓한 방안을 탁탁 손바닥으로 두드리며 돌아다니면서, 어디 귀중한 재능이 굴러다니지 않나 살폈다. 그러다 문득 1학년 때 ‘능력 있는 매는 발톱을 숨긴다’는 말을 믿고 ‘재능의 저금통’을 옷장 속에 숨겼던 기억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그래, 그게 있었어! 오오, 그거야!”하고 나는 신이 났다. 옷장을 열자 그 안은 온통 웃자란 버섯투성이었다. 나는 “언제 이런 꼴이 됐지?”하고 얼굴을 찌푸리며 미끈거리는 버섯을 밀어제쳤다. 그 속에서 꺼낸 ‘재능의 저금통’은 황금빛으로 빛났다. 마치 내 미래를 상징하는 것처럼. 나는 저금통을 거꾸로 들고 미친 듯이 흔들어보았지만 나온 것은 한 장의 종이였다. 거기에는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하나 꾸준히’라고 쓰여 있었다.

나는 그만 이부자리에 쓰러져 울음을 터뜨렸다. 
 

                                                                                                                                

 

읽어 본 청춘 소설 중 가장 공감이 많이 갔다. 스물, 스물 하나의 연애 감정을 이렇게 마음에 들게 표현해 내다니, 그 당시 나의 고민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다. 마냥 놀고 먹는 청춘이 아니라 미래를 걱정하는 모습, 너무나 보잘 것 없어 보이는 내 자신에 대한 묘사가 이어지다가 마침내 쓰러져 울음을 터뜨리는 과정에서는 나도 불쑥 슬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