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G 핑 - 열망하고, 움켜잡고, 유영하라!
스튜어트 에이버리 골드 지음, 유영만 옮김 / 웅진윙스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용기는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닙니다. 진정한 용기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상태입니다.

 

'삶은 내가 의도한 대로 살 수 있을 때 비로소 내 것이 된다.'-과연??? 읽으면서 의아했는데 이제 보니 그 결과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도 흔들리지 않는 자세, 태도를 의미하는 듯

 

"너무 많은 사람들이 적당한 때와 적당한 곳을 기다리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하지. 그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기다리는 와중에 소망하던 마음 자체가 사라져 버리기도 한단다."

 

훗날 당신은 실행했던 일들보다 실행하지 않았던 일들 때문에 더 많이 후회하게 될 것이다. 무언가가 되려면,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

 

내면의 소리에 따라 최상의 삶을 사로자 할 때 우리는 반드시 '위험'이라는 장애물을 넘어야 합니다. 위험은 기회를 현실로 만들어 주는 필연적인 경로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 아무리 분석하고 예측한다 해도 그 위험을 지날 때, 누구나 실패를 맛보게 됩니다. 그러나 실패라는 나그네를 피하려고 여행 자체를 포기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습니다.

 

"흐름이란 네 본연의 움직임이야. 자꾸 의심이 생기고 외부의 누군가가 너를 조종하려 할 때, 너를 보호해 주는 힘이지."

 

"참 이상해요. 정말 많은 걸 배운 것 같으면서, 동시에 아무것도 배운 게 없는 것 같아요."

 

길은 이미 우리의 마음에 있다. 바람은 항상 '자기가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는 나그네'에게 친절한 법이다.

 

행복이란 목적지가 아니다. 과정이다. '영원(all the time)'이기도 하고, '바로 그 순간(no time)'이기도 하다.

 

핑은 말라가는 연못에 살고 있다. 이것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역자는 이것이 '현실에 묶여 자신을 무감각하게 방치해 버리는 마음상태'를 의미한다고 본다.

 

삶은 우리에게 '열심히 노력하는 것', '최선을 다하는 것'만으론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교훈을 안겨 준다. 이제 막 변화를 선택한 이들이 가장 처음 저지르는 실수는 바로 '최선을 다해 열심히 일한 결과' 무언가가 달라지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첫 번째가 나무 장막으로 상징되는 장애물이었다면, 두 번째는 이 모험담의 클라이맥스라고 할 '철썩강'이라는 장애물이다. 앞의 도전과 뒤의 도전은 엄밀히 말해 다르다. 앞의 도전이 변화의 첫머리를 시작한 사람들이 흔히 부딪히는 도전이라면, 뒤의 도전은 이미 프로페셔널의 길에 들어선 사람조차 피할 수 없는 일생일대의 도전이다.

 

멘토란 극적인 상황에서 내게 손길을 내밀어주는 이상적인 존재가 아니다. 멘토는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을 조금 더 폭넓게 보고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을 미리 경험한 이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 멘토 역시 매의 습격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불완전한 존재다. 또 한 가지, 멘토는 내가 간절히 부르지 않으면 절대 대답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