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철리 여자 동서 미스터리 북스 46
로스 맥도날드 지음, 김수연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위철리 여자라는 제목을 접했을 때는 우습게도 머릿속에 읍면리를 이야기하는 그 리()가 떠올랐다. 그러니까 수유리나 미아리같은 그런 리가 떠올랐다는 말인데, 당연히 그런 뜻은 아니다. 위철리는 사람의 성()이다. 그러니까 엄밀히 말하면 위철리라는 성을 가진 여자라는 뜻이 되겠다. 이런 제목을 왜 달았나 싶을 수 있다. 차라리 그냥 사람 이름으로 해도 될 일이다. 그런 소설도 많다. 레베카도 엠마도 이름이다. 왜 위철리라는 성을 가진 여자여야 했는지는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다. 약간 스포가 될 수 있지만 죽은 사람도 죽은 사람처럼 오인되는 사람도 엄밀히 말하면 위철리 가의 여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의미가 소설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다. 소설의 반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읽어보면, 어쩌면 작가가 처음 소설을 구상하는 과정에서부터 이 포인트는 상당히 영향을 준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이 제목일 수밖에 없는데, 사람 심리가 간사한 것이 다 읽고 나면 되려 바로 그 부분 때문에 제목이 다소 김빠지고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된다.

 

루 아처를 창조해낸 작가 로스 맥도널드는 해실 대밋이나 레이몬드 챈들러 등 다른 하드보일드 작가의 작품을 읽을 때 작가에 대해 정보를 접하는 과정에서 언뜻 스쳐지나가듯 본 기억이 난다. 동서미스터리북스에서는 이 소설 뿐 아니라 로스 맥도널드의 소설 2개가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작가의 문학사적 성취와는 별개로, 개인적으로는 챈들러나 대밋보다는 소설의 재미가 덜했다...는 느낌이어서 빨리 다른 소설 2개를 더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이 소설의 큰 반전이라는 부분이 왠지 중반부부터는 짐작이 갔다는 이야기이다. , 혹시 이거 그런 쪽으로 이야기라 흘러가려나? 했는데 여지없이 그런쪽으로 흘러가는 느낌... 소설이 그렇게 진행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그럴 수 밖에 없는 이 소설만의 어떤 특별한 점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딱히 그렇지도 않았고.. 등장인물이 정말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부분도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러니까 주인공이 되었든 악당이 되었든, 답답하거나 개차반이거나 인간 말종이거나 찌질하거나 어떤 단점이 있더라도, 왠지 모르게 미워할 수 없는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그렇게 특징적이지는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