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9
카를로스 푸엔테스 지음, 송상기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그림만 봐서는 아우라가 아니라 페르소나가 답이 아닌가 싶었다. 

로렌초 리피의 가면을 든 여인. 

페르소나는 고대 그리스 가면극에서 배우들이 썼다가 벗었다가 하는 가면을 말하는데 만약 페르소나라는 소설이 있다면 그 소설의 표지로 딱인 그림이었다.

내친 김에 아우라 라는 그림이 있는지 찾아봤는데 찾기가 어렵다.


은은하면서도 독창적인 분위기. 그 자체를 표현하기 위해 아예 등장인물의 이름을 아우라라고 지은 모양이다.


펠리페가 아우라에게 첫눈에 반했듯이, 이 책을 펼치고 읽으면서 첫눈에 책에 반하게 되었다. 2인칭으로 이어지는 문장들을 읽으면서 단숨에 책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느낌이었다.


어디까지고 환상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인지, 아니 그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이 의미는 있는지. 구태여 여기까지는 현실이 아니었다고 단정지을 필요가 있는지.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 삶 자체가 거대한 환상의 덩어리가 아닐지.


젊음, 영생, 집착... 이런 것들을 그냥 굳이 하나하나 이름을 붙여가며 이 책을 바라볼 필요가 있을까. 그냥 책을 읽으면 되지 않을까.


이런 저런 생각의 실타리가 엉켜 있는데, 그 엉켜 있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색도 오묘하고 실의 모양이 아름다워 풀지 않고 그대로 바라보고 있는, 바로 그런 느낌이었다.


그냥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그 분위기만 더듬어도 정말 좋은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