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 오 엔 씨 이 피 티
CONCEPT
컨셉
개념
컨셉 잡기
개념 챙기기
개념에 집착하다가 망했잖어.
애초에 개념이 잘못 됐어.
도대체가 무개념이야.
. . .
개념이 뭐길래.

오랜만에,
아니 이제야 비로서
개념의 개념을
잡게 해 준
한 마디

˝개념은
‘왜‘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대답을 찾기 위한 도구˝

오오~
시원하다 속시원해.
이 한 마디를 듣기 위해 너무 많은 세월이 흘렀다는 게 안타깝지만, 그래두 뭐.
이제라두 뭐.

해 보는 거지 뭐!
해 보자.

안 하고 후회하지 말고!
까짓거
인생




이때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은 개념이 ‘왜‘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대답을 찾기 위한 도구라는 사실이다. 

개념의 큰 함정은 바로 도구에 불과한 개념을 대답 그 자체로 착각하는 데 있다. 

만일 개념이 설계에 대한 최종적인 대답이라면 좋은 개념은 필연적으로 좋은 설계안을 만들어내며, 개념이 부재한 설계는 무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개념과 설계의 본질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특별한 개념을 제시하지 않아도 훌륭한 설계는 가능하다. 

설계의 대답은 개념이 아니라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지금의 개념이 좋은 공간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그 어떠한 호평을 받았고 가능성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 개념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이미 충분히 훌륭한 공간이 나온 설계라면 굳이 개념에 맞추기 위해 공간을 재단할 필요가 없다. 도구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동의를 하든 안하든 설계가라면 진양교 교수의 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의미가 있어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아름답기 때문에 좋은 의미도 읽히는 것이다. 아니, 아름다워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설계가가 유념해야 할 설계의 진정한 본질이다." - P42

Processes as Values

1969년 이안 맥하그lan McHarg는 맨해튼 남쪽에 위치한 스태튼 아일랜드Staten Island 계획안을 제시하면서 기존의 디자이너들을 향해 도발적인 선언을 한다.

 "지금 제시하는 방법은 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자명하다. 그 누구라도 이 방법과 증거를 받아들인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와 동일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애매하며 자의적인 기준에 근거한 대다수의 계획과는 정반대의 방식이다."

.................

.................

.......이것이 그 유명한 맥하그의 생태적 계획이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념 없는 녀석

정 군은 지금 위기다. 

어제는 여자 친구와의 기념일인데 돼지껍데기에 소주를 먹자고 했다가 개념 없는 자식이라는 욕만 먹고 싸웠다. 그녀는 아직까지 연락두절이다. 

아침에는 설계실에 들어갔다가 어제 먹다 남긴 치킨을 치우지 않았다고 선배들에게 한참을 혼나고 혼자 대청소를 했다. 사실 어제 설계실에 오지도 않았고 닭고기 알레르기라 치킨을 먹지 않는 정 군은 억울하지만 이미 선배들에게 무개념으로 찍혔다. 

하지만 가장 큰위기는 지금 설계 스튜디오 시간이다. 한참 설명을 들은 김 교수는 팔짱을 끼고 한마디 툭 던진다.

"설계에 개념이 없네."

도대체 개념이 무엇이기에 내 인생을 이리도 힘들게 하는가? 내 개념은 어디로 외출 중이기에 나는 세 번 연속으로 개념이 없다는 소리를 듣고 있는가? 그 개념들 중에서도 김 교수가 지적하는 개념이 제일 무섭다. 호환마마보다도, 친구 자취방에서 본 음식물쓰레기보다도 더 무섭다.

개념이 없다는 말 한마디로 이제 김 교수는 처음부터 다시 설계를 해오라고 시킬 것이다. 그런데 나는 아직도 김 교수가 말하는 개념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설령 내 설계에 개념이 없다고 하더라도 왜 다시 처음부터 설계를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지금 와서 드는 생각인데 아마 김 교수도 그 개념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 같다. 매번 개념이 없다고 하면서 정작개념이 무엇인지 한 번도 말해 준 적이 없으니 말이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예 식물의 뿌리는 대부분 지표면과 가까운 곳에 있는데, 그런 곳은 통기성과 양분 농도가 식물의 생장에 좋은 편이다.

칼루나속, 동백나무속, 에리카속, 수국속, 진달래속 같은 관목을 포함하여 뿌리가 얕은 식물은 건조한 땅을 가장 못 견디는 식물에 속하므로, 그런 조건을 세심하게 살펴 주어야 한다.

유기물로 토양을 한 겹 덮어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너무 두껍게 덮어 주면 뿌리가 ‘질식‘할 수도 있다. 자연 환경에서는 낙엽이 이런 역할을 한다. - P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넌 이름이 뭐니

늘 보는 나무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

나무 이름 꽃 이름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조경 입문

국가자격 시험까지 보면서
빠져드는데

처음 접어든 길
이정표가 있으면 무얼해
읽을 수가 없는데

이 책 보고 저 책 보고
다 봐도 당최 정리가 안되더니
˝오오 찾았다 찾았어!˝
드디어
딱깔센
딱 알맞게
깔끔하게
센스 만점
정리된
{식물 학명 표기법의 4가지 원칙}

《정원의 발견》 써주신 오경아 작가님 감사합니다!!
《정원의 발견》 짱!!!
《정원의 발견》 포에버~~~





(40~41쪽)
...생소하고 읽기 조차 어려운 식물학명은 어떻게 읽고 외우면 좋을까?

1. 야생의 식물 이름 표기법

   Nymphaea alba

• 야생의 식물은 위와 같이 대부분 속명과 종명, 2개의 이름으로 표기된다.

• 속명은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명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 속명과 종명은 모두 이탤릭체로 쓴다.


2. 재배종의 식물 이름 표기법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에 의해 새로운 재배종이 탄생을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자연상태 그대로가 아니라 인간에 의한 접목이나 인공수분 과정 등을 통해 만들어진 재배종은 일반적으로 다른 표기법을 갖는다.

   Nymphaea gigantea 'Albert de Lestang'

• 속명과 종명 뒤에 재배종 고유의 이름이 더 붙는다(밑줄 친 부분이 고유이름).

• 재배종 고유의 이름은 보통 재배자 자신의 이름 혹은 재배자가 붙인 특정 이름이 붙는다.

• 재배종의 이름은 작은따옴표를 달아주고 대문자로 시작한다.

• 모두 이탤릭체로 쓴다.


3. 교배종의 식물 이름 표기법

   Ulmus x hollandica 'Dampieri'

• 속명과 종명 사이에 영어 알파벳 x가 붙게 되면 속이 서로 다른 식물이 수분을 이뤄 새로운 재배종이 탄생한 경우다.

• 이런 경우는 흔히 잡종교배종 혹은 영어로 'Hybrid' 라고 부른다.

• 관상용으로 뛰어나게 예쁜 식물의 경우 이런 잡종교배종일 경우가 많은데 주의할 점은 잡종교배종의 경우는 씨를 통해 유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 해에는 같은 색상의 꽃을 피울 수 없다. 대신 부모 둘 중 하나가 두드러져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4. 자연상태에서 이루어진 교배종 식물의 이름 표기법

   x Cupressocyparis leylandii


• 위의 경우처럼 x가 속명과 종명 사이에 등장하지 않고 맨 앞에 위치하는 경우는 인간에 의한 인위적 재배가 아니라 자연상태에서 속이 다른 두 식물이 수분을 이뤄 새로운 식물이 탄생한 경우다.



이와 같이 식물의 이름 안에는 식물 고유의 특징이 잘 담겨 있다. 때문에 식물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식물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참고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식물을 검색해보면 이 책에 나온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방금 가서 '수련'을 검색해 봤는데 

학명이 

Nymphaea tetragona Georgi 

이렇게 나와요.

재배종 식물 표기법에서 

작은따옴표를 쓰는 대신

이탤릭체를 안 쓰는 식으로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도 막 들어가보고 

날마다 새로운 조경 공부

참 재미있습니다. 


 


 

*식물학명 표기법의 4가지 원칙

영어로 ‘Scientific name‘인 학명은 각각의 식물에게 붙여진 고유의 이름으로 전 세계가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또한 식물의 작명법을 개발한 칼 린네가 식물의 모든 이름에 라틴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흔히는 ‘라틴학명‘이라 불리기도 한다. 문제는 이 라틴어가 이미 사라져버린 언어여서 어떻게 읽는지 그 발음법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다는 점이다. 좀 더 쉽게 접근을 하자면 어떻게 발음을 한다고 해도 크게 잘못될 게 없고, 식물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중요하지 발음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식물학명을 읽을 때의 몇 가지 원칙을 알고 나면 훨씬 더 쉽게 식물학명을 이해할 수 있다. 다소 생소하고 읽기조차 어려운 식물학명은 어떻게 읽고 외우면 좋을까? - P4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4-06-22 14: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찾아보니까 제가 오경아님의 책 <소박한 정원>을 읽은 것이 벌써 16년 전이네요.일은 책을 중고책으로 서슴없이 처분하는 저이지만 이 책은 아직도 간직하고 있어요.

오랜만에 정원의 발견도 한번 읽어볼까요? ^^

잘잘라 2024-06-22 23:45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오~경아님 책을~~! ^^

10년 20년이 뭐 어제 오늘 같은 이 느낌 아.... 알아버렸네요.

안 팔고 가지고 있는 책에는 말하지 못한 내 마음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오랜만에 빗소리 들으면서 낮잠 실컷 잤어요. 어차피 오늘밤은 길어질것 같으니, 팔아버리지 않은 책에 든 마음을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빗소리 다정한 밤에!!
 

와따메 병리작용 생리작용 엽록체가 어떻구 광도 광포화점이 어떻구... 인자 슬슬 골치가 아파오는구만. 오늘은 그만 하라는 뜻이지요.
집에 갑시다요~

1. 수목의 구조

• 영양구조: 잎, 줄기, 뿌리
• 생식구조: 꽃, 열매, 종자

2. 수목의 기능
• 임의 기능: 광합성기능, 호흡기능, 증산기능, 저장기능
• 줄기의 기능: 통로기능, 비대생장기능, 지지기능, 저장기능
• 뿌리의 기능: 호흡기능, 흡수기능, 생장기능, 저장기능

3. 수목의 생장
• 영양생장: 수고 생장, 비대 생장, 뿌리생장
• 생식생장: 꽃의 개화, 열매의 생장, 종자결실 - P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