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바람 같은 이야기
호시노 미치오 지음, 이규원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159p. 알래스카 내륙 지역에 수만 년간 살아온 아사바스칸 인디언. 그들의 문화는 피라미드나 신전 같은 역사적인 유산을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딱 하나 남아 있는 것이 있다. 태곳적과 전혀 달라지지 않은, 그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숲이다.

 

숲... 

혼란스럽다. 
아사바스칸 인디언의 삶은 얼마나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온 것인가?
그토록 오랫동안 정말 한결같은 모습으로 살아왔단 말인가? 그럴 수 있었단 말인가?
그렇다면 아사바스칸 인디언은 수만 년간 제자리 걸음만 해왔다는 말인가?
발전이란 무엇인가. 변화란 무엇인가. 성장이란, 성공이란... 

지키는 자와 파헤치려는 자의 대립인가.
지키는 자가 더 강할 수가 있는가.
소멸은 운명인가.   

「159p. 알래스카 내륙 지역에 수만 년간 살아온 아사바스칸 인디언. 그들의 문화는 피라미드나 신전 같은 역사적인 유산을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딱 하나 남아 있는 것이 있다. 태곳적과 전혀 달라지지 않은, 그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숲이다.」

다시 읽어봐도 정리되지 않는다. 
처음엔 이 문장이 참 아름답다고 느꼈고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흥! 피라미드나 신전 같은 역사적인 유산 따위! 그보다는 '태곳적과 전혀
달라지지 않은, 그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숲'을 남긴 그들이 훨씬 옳고
훨씬 아름답고 훨씬 감동적이야.'  

그렇게 생각했다. 그래서 안타까웠다.
지금은 이미 그들의 삶이 사라졌고 숲도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안타까워서 안타까워서 화가 날 지경이다.
왜 미리 준비하지 못했나.
왜 그렇게 속수무책 당하기만 하고
왜 그렇게 간단히 무너졌나. 왜.  
점점 더 화가 난다.
이유가 있다.   

4대강사업으로 허무하게 사라져가는 우리 나라 대한민국의 자연 앞에
나 역시 속수무책 아무것도 한 게 없기 때문이다.  

책이나 읽고 앉아있으면 누가 대신 반대해주나?
욕이나 하고 앉아있으면 누가 대신 막아주나?
그러니 어떻게 하지?
화만 내고 앉아 있으리?
히유우-
그렇게 한숨 쉬어서 어디 땅이 꺼지겠나?
휘유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 숨차. 
그러지 말고, 실질적인걸 하자니까!
그래 좋아. 그럼 먼저 4대강사업에 반대하는 모임을 찾아야겠다.
제대로 찾아서 합류하는 것도 방법이다.
직접 나서지 못한다면 후원금이라도 내지.
머릿수라도 하나 보태지. 
그래 그게 좋겠다. 

알래스카가 멀다고 누가 그랬나.
여기에, 대한민국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아니, 더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1-09-26 1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저도 너무 안타깝네요

잘잘라 2011-09-27 02:30   좋아요 0 | URL
얼마전에 남해 여행갔다가 화개장터 다녀왔는데 섬진강이 한강이랑 똑같아지는것 같아 아주 찜찜했어요. 너무너무너무..ㅠㅠ

2011-09-26 20: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9-26 2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9-27 0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11-09-27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나 읽고 앉아 있으면 누가 대신 반대해주나?" - 저도 이 생각을 하곤 합니다. 세상을 바람직한 쪽으로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독서가 무슨 소용인가 하는... 그저 개인의 행복에만 머무는 독서에 대해 생각하게 돼요.

잘 읽고 갑니다.

잘잘라 2011-09-27 02:44   좋아요 0 | URL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안읽을 수는 없는 우리들이기는 하지요. 사실 전 책을 읽기에 망정이지 안그러면 아마 1 년 내내 히스테리만 부릴지도 몰라요. 책 덕분에 이런 기특판 생각도 하고.. 참 고마운 일이예요.
밤 낮 기온 차가 10도나 되던데 감기 조심하세요. 페크님^^

순오기 2011-09-27 1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숲을 지킨 그들처럼 우리도 환경을 지켜야 되는데~~~~
결국 인간은 스스로 무덤을 파고 있으니 재앙을 받을 날도 멀지 않았죠.ㅜㅜ

잘잘라 2011-09-27 02:47   좋아요 0 | URL
제 무덤 제가 판다는 표현이 딱 맞는것 같아요. 요즘 전국적으루다가 어느 강변을 가나 눈에 띄는 포크레인때문에 노이로제 약 먹게 생겼다니까요! ㅠㅠ

cyrus 2011-09-27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며칠전에 신문에서 봤는데 (이름은 기억이 안나지만) 4대강 사업을 실시한 강에서 모래가 퇴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대요. 원래 4대강 사업의 목적이 강에 모래가 퇴적되지 않게 한 것인데 오히려 더 퇴적되는
악화를 가져오게 된 것이죠. 그리고 당연히 강 주변의 생태계도 파괴되기도 하고요.

잘잘라 2011-09-28 10:11   좋아요 0 | URL
4대강사업, 조금만 들여다봐도 그 폐해가 철철 넘쳐나고 있는데.. 뭐 전문적인 지식도 필요없고 환경 운동이니 뭐니 한번도 안해봤어도 그냥 상식만 가지고도 4대강사업 정말 말도 안되는 사업인데.. 아.. 참.. 정말 한숨만 나와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