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의 건축가 아들로 태어나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활동한 Oskar Laske (1874-1951)

Ansicht von Positano (1921)

Begräbnis des Wiener Bürgermeisters Dr. Karl Lueger (1910)
건축가 출신에서 비롯된 구조적 공간 감각을 읽어낼 수 있다. 수채라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매체로 사회적 리얼리티와 집단적 서사를 그린다는 점에서 이응노의 군중과 비슷한 점도 있다.
이탈리아 남부 아말피 해안의 포지타노 풍경을 담은 그림은 건조한 공기를 투과하는 지중해의 쨍한 햇빛에 반사된 석조 건물과 구불구불한 언덕길에 삼삼오오 모여있는 사람들의 네러티브를 다룬다는 점에서 관광의 풍경이라기보다 도시 민속화에 가깝다.
수채화의 투명함을 살린 부드러운 파스텔톤의 분홍빛과 주황빛 벽과 녹지의 연두색과 산악의 짙은 청색이 조화롭다.. 허나 그와 동시에 붓질은 꽤 빠르고 단호해 즉흥적이면서도 생동하는 시각적 리듬을 준다
하얀 돌담이 빛을 강하게 반사해 길을 관객의 시선과 함께 위로 끌어올리는 듯하다.
라스크의 포지타노 풍경은 전통적 원근법 구도와는 다르게 길의 곡선을 중심축으로 설정한 회전 원근법이 인상적이다. 시선은 하단에서 시작해 돌담을 따라 위로 상승하는데 공간이 곡선적 리듬 속에서 서서히 확장된다. 이는 르네상스의 정적이고 수학적인 소실점 구도와 달리 동적 시점 이동을 유도한다.
아울러 투명수채를 중첩해 건물의 입면이 빛을 부유하듯 반사해 유화보다는 빛이 산란하는 듯하다. 수채의 번짐 효과를 통해 노후된 벽면과 풍화의 흔적을 암시한다.
인상주의 화풍에서 두드러지는 순간적 시각 효과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라스크는 광학적 인상보다는 건축적 구조와 사회적 서사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같은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했던 빈분리파의 구스타프 클림트나 에곤 쉴레가 주관적 내면과 장식적 양식을 탐구한 것과 달리 라스크는 도시적 삶과 집단적 행위를 사실적이면서도 리드미컬하게 포착했다.
어디에서 무엇이 보이길래 그런 점을 엿볼 수 있을까?
도시와 인간을 별개의 대상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들의 리듬을 풍경 속에 녹여냈다. 인물은 개별적 행동이 강조되기보다 행동 단위로 배치된다. 예컨대 길가에 모여 앉은 세 인물은 미시적 세부가 강조된 초상화적 묘사보다는 집단적 행위성을 통해 사회적 리듬을 시각화한다. 이는 풍경-인물 통합적 서사라는 라스크만의 회화적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군중 묘사 방식은 2번째 사진 성 슈테판 대성당 첨탑 아래의 장례 행렬에서 더 두드러진다. 원피스처럼 모든 인물에게 각기 다른 표정을 묘사하는 세부 묘사 대신 집단이 덩어리화 되어있다. 화면 전면을 가득 채운 거대한 인파는 점묘와 파편적 붓질로 묘사되는데 이는 시각적 재현보다는 사회적 에너지의 추상화를 의도한 것 같다.
상단의 성 슈테판 대성당 첨탑은 엄격한 수직축으로서 도시의 정신적 권위를 상징한다. 전경 좌우의 검은 장막과 깃발은 수직이 수평과 유동적 형태로 교차하여 수직적 권위와 수평적 대중성의 긴장을 시각화한다.
집단 의례를 상징하는 검은 유기체 군집은 파토스적 음영에 가라앉아 있어 도시 전체가 애도라는 집합적 감정에 잠식되는 풍경을 드러낸다. 그러한 점에서 사회적 풍경화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