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는 기대를 가로막는 모든 장벽을 철거해버렸다. 공동체의 구성원은 물질적 평등을 성취할 수단이 없는데도 이론적으로는 평등하다고 느꼈다.
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말한다.
˝미국에서는 아무리 가난한 사람이라도 부자의 쾌락에 희망과 질시가 섞인 눈길을 던졌다. ˝-67쪽
이 책은 우리의 불안과 울화가 어디서 오는 것인지
이야기한다.
우리는 우리 자신이 같다고 느끼는 사람들만 질투한다.
˝가장 견디기 힘든 성공은 가까운 친구들의 성공이다˝
-58쪽
문제는 이 시대가 ˝같다고 느끼는 사람이나 가까운 친구들˝의 범위를 확장한다.
각종 sns나 유튜브 등을 통해 우린 끊임없이 바교당한다. 불안이 커진다. 울화가 생긴다.
기회의 평등에 다시 심기일전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수는 상승에 실패한다.
자신의 삶이 기대를 배신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해변의 모래알만큼 많은 세상에 살고 있다.
우리, 그들의 광증은 생기를 잃게 하고 때론 극단적인 범죄로 이어진다.
수많은 자기계발서가 쏟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난 그래서 더더욱 손사레친다.
분명히 개선될 수 있는 세상에 대해
죽으라고 긍정하고 아프면 힐링하고, 내 마음을 들여다 보라한다. 때론 미움받을 용기같이 그럴듯한 제목으로 위로하는 책들이 쏟아진다
어줍잖은 책은 우리의 품격까지 떨어뜨린다.
책이란 것은 해답을 찾아가는 나만의 인생여정이지. 솔깃한 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게 아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에서 위로해주는 말투로 불행은 삶의 움직일 수 없는 본질이며, ‘비참한 인간상황‘의 일부라고 말하면서 이 비참한 삶에서 인간이 자신만의 힘으로 기쁨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모든 이론을 경멸했다˝-71쪽
우린 무제한의 기회가 있는 것처럼 무자비하게 부추기는 사회에 살고 있다.
광증을, 울화를,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방편이
오히려 상처를 심화시킨다.
좌절과 불안의 상처는 딱 기대한만큼의 크기만큼 남는다.
현대인의 불안은 이 사회 모두의 책임이다.
그렇다면 나의 몫은 무엇인가?
˝우리의 자존심을 높일 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암시한다. 하나는 더 많은 성취를 거두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성취하고 싶은 일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제임스는 두번째 방법의 장점을 지적한다. 요구를 버리는 것은 그것을 충족하는 것만큼이나 행복하고 마음편한 일이다. 어떤 영역에서 자신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면 마음이 묘하게 편해진다. 젊거나 늘씬해지려고 애쓰기를 포기하는 날은 얼마나 즐거운가.우리는 말한다. ‘다행이야 그런 환상들은 이제 사라졌어.‘
자아에 더해지는 모든 것은 자랑거리일뿐만 아니라 부담이기도 하다˝-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