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통당한 몸 - 이라크에서 버마까지, 역사의 방관자이기를 거부한 여성들의 이야기
크리스티나 램 지음, 강경이 옮김 / 한겨레출판 / 2022년 3월
평점 :
야지디족
나이지라의 여학생들
버마의 로힝야족
르완다의 투치족 여성들
방글라데시 여성들
보스니아
2차대전시의 독일
스페인 내전시 여성들
난징
베트남전
필리핀 한국...
캄보디아
콩고
전시여성강간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곳이자 진행중인 곳, 혹은 피해자에 대한 억압으로 거짓된 평온이 감도는 곳, 피해자들의 눈물과 가해자들의 당당함이 공존하는 곳이다.
외면하고 싶었다. 분명 이 책을 읽으면 며칠은 가슴에 분노를 품을 것이다. 그들도 그랬을 것이다, 그 일이 있기전엔.
안락한 집에서 혹은 안전하다고 믿던 집에서 끌려나왔다. 그들은 학생이었고 엄마였고 아이였고 소중한 생명이었다.
야지디족은 독특한 종교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그들이 믿는 공작천사를 ISIS에서 악마로 규정하며, 야지디족의 노예화 및 매매와 강간을 합법화했다. 수 많은 야지디족들이 집에서 학교에서 혹은 밭에서 끌려갔고 돌아오지 못했다. 돌아왔다 하더라도 그들에겐 더 이상 안전한 곳도 평온도 없었다.
나이지리아에서 활개를 치는 보코하람은 서구지식을 거부하며, 공부하는 여성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학교 기숙사에서 자고 있던 여학생들이 단체로 납치되었고, 그들에게 성노예로 배당되었다.
버마에 의해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로힝야족에 대한 말살.
르완다에서 일어났던 투치족 여성에 대한 계획적 강간은 1988년 처음으로 국제재판소에서 강간이 제노사이드의 도구로 인정되면서 전쟁범죄로 처벌되었다. 그 전까지 강간은 전쟁범죄로 처벌되지 못했다
제2차대전 당시 소련군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진 독일여성 강간, 일본의 난징에서의 강간과 필리핀 한국등의 여성에 대한 성노예화, 베트남전 당시 미군에 의한 미라이 학살과 그 속의 강간
보스니아에서의 세르비아계인들에 의한 강간과 살인들은 특히 의도적이고 계획적이었으며 유별나게 가학적이란 면에서 세계인들을 경악케 했다.
콩고의 강간은 일상이다. 특히 그들은 영유아들의 강간이 자신들에게 막강한 힘을 준다고 믿었다. 부모 사이에서 잠든 영유아들을 납치하는 일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전쟁에서의 강간은 당연시되던 때도 있었다. 그것은 전쟁에 따르는 당연하고 부수적인 일이었다. 그리스의 전쟁에서도 로마의 전쟁에서도 그들은 여성포로들을 나누었고, 그에 대해 다툼도 잦았다. 전쟁에서 여성들은 죽음보다 가혹하고 잔인하며, 눈 감는 그 날까지 잊을 수 없는 고통을 당했다.
제우스는 원하는 여자들은 어떻게든 가졌고, 포세이돈에게 아테네신전에서 강간당한 메두사는 오히려 피해자임에도 머리카락이 뱀이 되는 벌을 받았다. 결국 페르세우스에 의해 목이 잘리는 처벌을 당한다. 그래서 혹자는 메두사에서 이미 강간피해자를 오히려 비난하고 벌하는 모습의 원형이 나타난다고도 본다.
그들은 전쟁에서 왜 강간을 자행하는 걸까. 그들은 폭력적인 상황에서 성욕이 더 일어나는 것일까. 그들은 정말 누군가의 주장대로, 강간을 통해 서로를 결속시키는 힘들을 가지는 것일까. 실제로 그들의 전시 강간은 철저하게 계획된 일이라고 한다.
먼저 적군의 사기를 꺾고 공포를 조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많은 나라들은 강간의 가해자보다 피해자들에 대해 더욱 가혹하다. 결국 강간피해자들은 그들의 공동체에서 고향에서 떠나게 된다. 공동체의 결속을 그렇게 와해시키고, 약하고 손쉬운 상대를 가해함으로서 자신들의 힘을 과시하는 것이다.
또한 한 인종에 대한 제노사이드에서는 임신 또한 방법으로 쓰인다. 임신시키고, 임신중지를 못하게끔 억류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그녀들은 풀려나도 임신중지 시기를 놓쳐, 목숨을 걸고 수술을 받거나 낳은 아이를 버린다. 혹은 아이와 함께 마을에서 멸시를 받으며 쫓겨난다.
앙팡 모베 수비니흐 (나쁜 기억의 아이들)
보이지 않는 아이들
그렇게 태어난 아이들을 부르는 용어다. 엄마의 가장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태어난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에게 그들은 어떻게 용서를 빌 수 있을까. 그 아이들의 엄마에겐 어떻게 보상을 할 수 있을까. 이 세상의 돈으로 이 세상의 법으로 그들을 위로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이들은 서로의 경험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힘을 얻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들이 만나는 것조차 사회에선 허락하지 않는다. 강간당한 사실을 숨기고 싶어하는 가족들, 부끄러워 하는 가족들, 주변의 손가락질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몇몇 단체들의 도움으로 식물을 키우고, 공부하며, 연대하며 그렇게 다시한번 삶을 꿈꾼다.
이브 앤슬러의 도움으로 콩고에 세워진 <기쁨의 도시>가 바로 그런 곳이다.
존엄을 앗아갔고 그들의 영혼을 무너뜨렸다. 가까운 사람들이 그들을 외면하거나 버리게 했고, 어떤 사람이 되고 행복한 엄마가 되는 꿈을 빼앗았다. 가부장제가 심한 곳일수록 그들은 피해자임에도 손가락질 받으며 오히려 제2의 강간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생존한 그들은 말한다. 자신들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라 죽은 상태로 걸어다닐뿐이며, 오히려 죽음이 부럽다고.
당시 필레이 재판관은 이렇게 발언했다. "태곳적부터 강간은 전쟁의 전리품으로 여겨져왔습니다. 이제 강간은 전쟁범죄로 간주될것입니다. 강간이 더는 전쟁의 전리품이 아니라는 강력한 메시지를전하고 싶습니다." 판결문에는 그녀가 강간과 성폭력에 대해 진술한 정의도 포함되었다. 국제법 사상 최초이자 신중하게 성 중립적으로 표현된 정의였다.
그게 바로 강간이 의도적으로 계산된 무기인 이유입니다. 강간했고 강간을 기획한 그들은, 강간당한 사람은 그 자리에서 죽든 나중에 죽든 그 모든 시련을 겪고 나서는 결코 사람으로 다시는 살아갈 수 없다는 걸 알았습니다. 1. 여기 도시에서든 마을에서든 타바에서든 그 여인들을 만나면겉으로는 멀쩡해 보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밤에 집으로 돌아가 문을닫으면 그들 안에는 누가 무슨 수를 써도 뚫고 들어갈 수 없는 공간이 있을 겁니다."
어린 딸이 매트리스 위에죽어 있다. 그 위에 얼마나 많은 자들이 있었을까? 한 소대가, 어쩌면 한 중대가?
일찍이 언급된 남성 성폭력 사례는 T. E. 로런스가 제1차 세계대전 시기 오스만제국에 대항한 아랍반란에서 자신의 역할을 허세넘치게 그린 《지혜의 일곱 기둥Seven Pillars of Wisdom》에 등장하는데, 책이 출간된 이래 이런저런 논란이 있었다. 로런스는 1917년 12월시리아의 도시 다라 Daraa의 투르크 통치자에게 잡혀 병사들에게 구타당하고 집단 강간당한 경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그는 스물여덟에 ‘내 고결함의 요새‘를 잃었다고 표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