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룻밤에 읽는 서양철학 - 쉽게 읽고 깊게 사유하는 지혜로운 시간 ㅣ 하룻밤 시리즈
토마스 아키나리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9월
평점 :
수학를 공부할때 매번 제일 앞쪽 집합부분만 열심히 보다가 끝까지 가본적 없었다.
철학 또한, 철학사를 제대로 알아야지 하면서 시작하지만 결국 소크라테스에서 맴돌다, 좀 노력하면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가고 나서 포기했었다.
그러면서 항상 자기 위안을 한다. 내가 서양철학사를 알아서 뭐에다 쓰겠어 라면서 ..
생각해보니 나는 왜 그토록 철학을 알려고 했던 것일까 ?
얼마전 인문학 강의에서 철학의 쓸모, 왜 철학을 하는가에 철학자 최진석 (탁월한 사유의 시선)의 한구절를 소개했던 생각이 났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앞선 철학자들이 남긴 내용,
즉 사유의 결과들을 숙지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숙지한 내용들을 계속 퍼뜨리고,
또 그들이 남긴 철학적 내용 그대로 따라 살아보는 것도 아닙니다.
문제는 그들이 사용했던 시선의 높이에 동참하는 능력을 배양해서
독립적으로 사유하고 행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철학자 최진석 (탁월한 사유의 시선 ) 중에서
내자신이 사유하고 나만의 생각과 질문을 하고 내삶에 적용하기 위해서 철학서도 읽고 책도 읽어야한다는 깨달음을 책을 읽으면서 매번 까먹고 다시 책으로 일깨우곤 한다.
그래서 그토록 철학을 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책의 저자도 프롤로그에서 철학의 쓰임에 대해
모쪼록 이 책을 옆에 두고 배우며 , 활용하며 읽어봅시다.
서양의 사상가들이 3천 년 동안 도출해낸 성과를 일상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응용해보세요.
그럴 때 지금까지 "난해하고 어려울 것 같은 추상적이고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
철학이 사실 우리 삶에 넓게 퍼져 있음을, 인생의 걸림돌을 극복할 유용한 지침임을 실감하게 될 것입니다.
이책을 통해 현자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당신을 당혹스럽게 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스스로의 힘으로 거침없이 헤쳐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책은 고대 중세 - 근대- 현대를 나뉘어서 설명되어 있다.
고대 중세철학 의 계보를 이렇게 도표로 정리되어있고 각각 철학사상을 아주 쉽게 설명해놓아서 내가 알던 철학이 이런거였구나 하게 만든다.
또한 아는 것이 힘이다. 너자신을 알라 정도로 인식하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정의를 우리의 삶과 깊숙이 연결지으면서 쉽게 이야기해주었다. 왜 바보같이 죽음를 택했지 하면서 소크라테스를 이해못했는데 이책을 통해서 내가 생각하는 죽음과 소크라테스가 생각하는 죽음이 다름을 느낄수 있었다.
소크라테스는 평소에 늘 , 철학은 혼을 보살피는 것이며 이는 죽음에 대한 훈련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많은 제자가 슬퍼하는 가운데 , 자신은 이제야 비로소 감옥과도 같은 육체에 해방되어 죽음이라는 자유로운 경지로 날개를 펼칠 수 있다며 오히려 제자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소크라테스는 이성의 힘으로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고 마지막까지 이성과 진실을 신뢰한 철학자였다.
근대철학 - 이름은 다들어보았는데 도통 어려워서 " 엄마야 " 하면서 고개를 절레 절레 흔들었다.
그래서 칸트순수이성, 헤겔의변증법은 들어봤는데, 그 철학을 설명하라면 "에이 알면서 "하고 두리뭉실 넘어갈수 밖에 없었다. 마크 트웨인 "고전이란 누구나 다 들어봤지만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라고 "말한것 처럼 나에게 철학서 ,특히 근대 현대는 그러했다.
데카르트의 자유의지를 다이어트에 비유해서 쉽게 설명했다. 나의 욕망, 고매한 정신은 다른데 ,거창한데 있는 것이 아닌 나의 의지 하나로 물리치는 것부터 시작되는 것임을 알았다. 그리고 거기에 내가 존재하는 것임을 ..
자유의지는 우리를 우리 자신의 주인공이 되게 함으로써 어떤 의미에서 우리를 신과 닮은 존재로 만든다
신과 닮은 존재 , 즉 자유의지의 하나로 다이어트중 케이크를 안먹고 물리치는 정념을 실천하면 된다.
그래 맞다 . 철학은 그래서 이렇게 힘든 거였구나 !! , 아주 원초적인 욕망 , 달달함을 포기해야 하는 정념이라니 !!!
스스로 자유의지를 갖고 자기자신을 지매하고 있다고 인식할때 사람은 신에 가까워진다고 말한다. 이때 갖는 정신을 데카르트는 " 고매한 정신"이라 불렀다.
그는 이 정신이 바로 "정념의 방종을 막아주고 고쳐주는 약"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다이어트를 하는중에 케이크를 먹고 싶은 "정념"이 일어나도 단호한 판단에 의해 먹고 싶다는 "정념"을 물리친다. 이처럼 일상적인 일에서도 고매한 정신을 발휘할 국면이 있다.
자기 자신의 내적 감정, 지적인 감정의 힘에 의해 우리는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
우리 인생에서 커다란 지침으로 삼기 좋다.
현대철학은 좀더 복잡하고 사상도 많고 사람도 많다. 니체의 신은 죽었다 하나만 기억하고 그이후 철학자들은 마르크스, 듀이 , 하이데거, 샤르트르만 안다. 그것도 이름만 ..
그만큼 삶이 만만치 않음을 살아갈수록 세상이 발전할수록 인간의 마음과 영혼은 갈피를 못잡고 있음을 현대에 더욱 많아진 사상과 철학자들을 통해 느낀다.
어느날 혹은 어느날 밤, 악마가 당신의 가장 쓸쓸한 고독 깊숙한 곳까지 숨어들어와 이렇게 말하면 어떨까? "너는 , 네가 실제로 살고 지금까지 살아온 이 인생을 다시 한번, 나아가서는 무한정 여러번 반복해서 살아야만 한다 "라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중에서 184페이지
얼마전 드라마 "열혈 사제"에서 형사의 꿈에 이렇게 이야기하는 씬이 있었는데, 그게 차라투스트라의 책 내용을 인용한 것이었구나 !! ,이처럼 우리가 알게 모르게 철학은 깊이 들어와있다.
똑같은 삶이 무한 반복 되는 것을 니체는 영겁회귀라고 했다는데, 니체는 이것을 받아들일수 있는 강인한 정신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대의 사람들중에서 지금 살고 있는 삶이 영원히 반복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 잘못살아서 ,아님 불행해서 또는 너무 뻔해서 각기 다른 대답을 하겠지만 그것은 니체가 말하는 고뇌를 즐기고 받아들지 못하는 사유하는 삶을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고뇌 안에서도 바로 그 고뇌가 있기 때문에 비로소 살아간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심신이 모두 고통을 느끼는 것은 누구나 싫어하는 일이다.
하지만 그 고통은 살아 있기 때문에 느낄수 있다.
니체는 그것조차 긍정하며 살아보지 않겠느냐고 말하는 것이다.
하룻밤에 읽는 서양철학이라는 제목처럼 전혀 어렵거나 힘들지 않은 철학서이다. 결국 철학 시작과 끝은 인간이라는 주제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어떻게 죽어야 하는가? 가 모든 철학의 핵심이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철학을 이야기하고 공부하고 있는 것 같다.
모든 철학적 사유는 자신이 갖고 있는 구체적 삶의 문제로부터 출발한다.
철학자 이진우의 말처럼 우리의 삶으로 부터 출발하는 철학적 사유를 끊임없이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철학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철학은 우리의 삶을 들여다보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단 , 내가 스스로 찾아야 하고 내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아마 그 시간을 가지기란 좀처럼 힘들기 때문에 우리는 책으로 대신하는것 같다.
그럴경우 첫책으로 , 하룻밤에 읽는 서양철학을 읽는 것을 권한다. 어려웠던 철학적 사유들이 " 아 이런것이였어 "라는 답을 얻고 거기서 나의 삶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시작될수 있음을 ...
쉽다 쉬워 ,니체 ,샤르트르, 소크라테스 모두 잘 살아보세, 할수있어의 긍정의 힘을 만들기 위한 것이였구나 !!!
물체는 자신의 무게에 따라 자기 자리로 향하려고 합니다 (...) 물체는 정해진 자리에 있지 않으면 불안합니다 . 정해진 자리에 놓이면 안도합니다 나의 무게는 나의사랑입니다 나는 사랑에 의해 어디서나 사랑이 가는 곳으로 옮겨갑니다 (고백록 제13권)
어느날 혹은 어느날 밤, 악마가 당신의 가장 쓸쓸한 고독 깊숙한 곳까지 숨어 들어와 이렇게 말하면 어떨까? 너는 네가 실제로 살고 지금까지 살아온 이 인생을 다시 한 번 , 나아가서는 무한정 여러번 반복해서 살아야만 한다"라고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모쪼록 이 책을 옆에 두고 배우며 , 활용하며 읽어봅시다.
서양의 사상가들이 3천 년 동안 도출해낸 성과를 일상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응용해보세요.
그럴 때 지금까지 "난해하고 어려울 것 같은 추상적이고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
철학이 사실 우리 삶에 넓게 퍼져 있음을, 인생의 걸림돌을 극복할 유용한 지침임을 실감하게 될 것입니다.
이책을 통해 현자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당신을 당혹스럽게 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스스로의 힘으로 거침없이 헤쳐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소크라테스는 평소에 늘 , 철학은 혼을 보살피는 것이며 이는 죽음에 대한 훈련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많은 제자가 슬퍼하는 가운데 , 자신은 이제야 비로소 감옥과도 같은 육체에 해방되어 죽음이라는 자유로운 경지로 날개를 펼칠 수 있다며 오히려 제자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소크라테스는 이성의 힘으로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고 마지막까지 이성과 진실을 신뢰한 철학자였다 - P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