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고 똑똑한 세상을 만드는 미래 아이디어 80
지니 그레이엄 스콧 지음, 신동숙 옮김 / 미래의창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 모두 세상의 바뀌어가고 있음을 느끼질 못할 만큼 변하고 있다. 어제의 내가 오늘의 내가 아님을 인식하게 되는 순간은 찬란의 순간이다. 조금씩 바뀌어가고 있음을 느끼기에 시간은 너무 빨리 흐르고 우리의 인식은 너무나 느리기 때문이다.

이책 미래 아이디어 80가지는 아이디어라기 보다는 세상의 변화가 어디까지 일까? 대한 예견서 같다. 과학, 기술 , 건강, 일상, 가족관계까지 변화고 있는데 그끝은 어디일까? 우리가 사는 동안 짐작할 수 있을까? 신기하고 기발한 발상부터 시작해서 세상이 이렇게 까지 변하면 안돼는데에 대한 조금의 불안함도 같이 느낄 수 있다.

 

과학적인 분야에서 마음대로 인간의 성이 바뀐다거나. 마음을 스캔하는 기계가 있다면 세상은 혼란스러워 질까? 아님 이것도 하나의 변화라고 인식하게 될까?

성에 대한 확립은 태어나면서 확정되어지는데 그것이 자기가 원하는 식으로 바뀐다면 우리의 정체성에 심각한 영향이 올것이다. 아마 미래사회에서 가장 잘되는 병원과 중의 하나가 될것 같다.그러므로 인해 정신과는 더욱더 활황을 할것이라는 불안감이 생긴다. 유전자와 DNA연구의 발달이 인간의 욕망을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길 바란다.

 

비즈니스 분야에서 대체적으로 지금 행해지고 벌써 실현되고 있는 인터넷 현실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손안의 휴대폰으로 인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정보의 혜택과 피해을 받고 있는 요즘 , 잃어버린 사람을 찾는것,구매내역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방법등, 좋은점도 있지만, 온라인 도둑,포토저널리즘의 쇠퇴, 사고팔리는 개인정보 등으로 아직까지 이익보다 잃어버린점이 점 점 커지고 있는것 같다. 사람과의 소통보다 기계와의 소통이 더욱더 가치를 받고 있는 시대를 살아가야할지도 모르는 미래로 우리는 벌써 고속열차를 타고 있는것 같은 생각이 든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서는 얼굴로 차별받지 않은 세상- 그세상은 정말 빨리 왔으면 좋겠다.

온라인의 추모 장례식장, 노인들을 위한 놀이터, 만화 신문의 출현 등등 새롭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충분하다.

 

그러나 이책을 읽고나서 문득 필요 충분의 조건이 생각났다. 우리는 이많은 과학적 이야기들이 정말 필요 충분조건들인지 말이다. 너무나 필요하지 않은 많은 일들을 인간의 탐욕으로 메꾸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 인간성, 사람과의 관계, 자연과의 조화 이런 단어들이 점점 그냥 이야기책에서 나오는 윤리적 단어들로 숨어버릴까봐 겁이 난다.

 

숨지마라, 겁주지 마라, 미래야 ..... 난 지금도 살아내기가 벅차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