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 플랜 모중석 스릴러 클럽 19
스콧 스미스 지음, 조동섭 옮김 / 비채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우리 눈앞에 4백40만 달러가 싣고 추락한 비행기가 있어.
2. 조종사는 죽었고 그 돈을 찾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
3. 돈을 챙겨서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가지고 있다가
4. 잠잠해질 때쯤, 삼등분하여 멀리 튀는 거야

위의 네가지 계획처럼 너무나  간단한 계획 - 심플 플랜

기다리기만 하면 성공할 수 있는 계획처럼 보였다 주인공인 행크 미첼은 우리 주위에서 볼 수있는 아주 소시민적 사고를 가진 평범한 사람이었다  아내와 곧 태어날 아기와 대출이 낀 작은집 , 작지만 안정된 직장 , 경쟁에서 다투지도 않았도 되는 여유로운 삶등

돈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한번도 그자신이 불행하고 힘들다고 생각한적 없는 행크

돈을 발견하고 가지려는 욕심때문에 이어지는 사고와 살인들 처음살인은 너무나 단순히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그처음이 살인 시작이라는 것을 나도 알지 못하고 행크도 알지 못했다

돈을 버리기 위해 살인을 하는 것처럼 단순히 감옥에 가지 않기 위해 살인을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돈을 가지려는 욕구와 탐욕을 놓치 못해 살인을 저지르고 있다는 사실을 마지막에 가서야 인식한다

행복했는데 돈에 대한 집착을 보이면서 불행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행크를 보면서 평범한 사람이 얼마나 쉽게 돈에 대한 탐욕으로 불행한 삶으로 떨어지는지 보여 주고 있다

주식이나 더큰돈을 벌려고 하다가 사기를 당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불안하지만 확신할수 없지만 발을 디딘 그곳에 쉽게 발을 빼지못한다는 것 그중심에 있으면서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 자신도 모르게 점점 깊이 빠져든다는 것

여기 행크도 행복해지려 점점 깊이 살인의 늪으로 빠져든다 마지막 살인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희열이라고 할까 감정을 느끼는 부분에서는 인간의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생각이 들면서 인간은 원래 사악한 존재인가 라는 의구심이 들정도로 깊은 회의감을 느낄수 있었다 인간의 망각의 동물이라고 했는데 죽을때 까지 죄책감을 느낄까 행크는 아니 인간은 ?

행크의 아내처럼 우리모두 돈에 대해 의연한것처럼 굴지만 사실 내가 나서지 않고 행크의 아내처럼 행크을 조정하면서 모든것을 가지기를 원하는 인간의 심리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인간은 모두 돈앞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살인은 가장 추악하고 사악한 인간들만 저지르는 범죄 인줄 알았다

이책에서 처럼 선택의 순간이 온다면 ..........

한사람이 갑작스레 운명의 두갈래 길을 마주하고 선택을 망설이는 기분을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낭만에 불과할지 모른다

현실에서 그런 엄청난 순간에는 내경우처럼 중요한 것을 거의 늘 놓치기 마련이다 나중에 되돌아 보면 그 중요한 것을 깨닫게 되지만 그러기 전까지 사소한 것들 - 장갑사이로 전해지는 목도리의 촉감, 내가 피더슨 코를 너무 세게 쥐고 있는 것은 아닌지,

코를 멍들게 하는것은 아닌지, 그래서 부검에서 발견되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 - 아래에 묻힌다

행크가 처음 살인을 하고 난후 하는 독백에서 처럼 자신의 탐욕을 지키기 위한 순간에 행해지는 선택의 순간이 온다면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 ?

오래된 소설과 책이지만 지금 이시대을 대변하고 있는 신간 소설처러 형식도 새롭고 신선하다

인간의 탐욕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고 고민하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영화도 나와 있다고 하니  함 봐야 할것 같다

살인을 하면 할수록 행크의 감정과 행동들이 책에서는 나레이션으로 펼쳐지는데 영화에서는 배우가 이순간들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얼굴에는 어떤 표정을 지을 지 궁금하다

나두 돈에 대해 자유로울수 없기에 행크에 대한 비판보다는 연민이 든다 왜일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