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의 시대 -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1900~1945
토비아스 휘터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은 누가 뭐라 해도 어렵다. 왜 어렵냐고 물으면 안 된다. 그냥 어려운 거다.

특히 물리학은 정말 어렵다. 

추천서 이정모 원장의 글 중에서 


이런 추천서로 시작되는 이 책,  20세기 양자역학의 역사를 다룬 과학 이야기라는 것을 밝히고 시작한다.

그 어려운 물리학의 발전을 많은 과학자들을 통해서 보여주는데, 우선 이정모 관장의 추천서에 나와있는 정리를 통해 만나면 물리학은 진짜 어렵구나 하겠지만, 실제 이야기로 들어가 보면 어려운 가운데 재미있는 이야기가 훨씬 많은 것을 겪게 된다.


우리가 이름만으로 알고 있던 사람들의 생애도 엿보고 그들의 개인적인 사생활도 알게 되면서, 천재들도 보통 사람들처럼 힘든 길을 이겨내는 노력형 인간의 면모를 보게 된다.


지금도 우리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도전하는 세계에 진입하려고 할 때 많이 듣는 말들 중 하나 “ 그곳은 벌써 레드오션이며, 네가 가서 성공할 여지가 없다”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아이러니하게도 20세기 초까지 많은 물리학자들이 물리학은 19세기에 이미 완성의 단계에 있으며 그곳에 뛰어든 과학자들은 새로울 게 없는 학문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는 것을 막스 플랑크가 대학에 들어가는 열여섯 살에 벌써 들었다는 일화를 보여준다.


또한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의 일대기를 이 책을 통해 보여주는데 그가 발명해낸 많은 이론들뿐만 아니라, 그가 대학시절 학점도 뛰어나지 않았고 대학원 시험도 통과하지 못했고 생계를 위해 특허청 3등 심사관으로 일했으며 대외적으로는 여성의 성 평등 등에 개방적이었지만 본인은 오히려 자신의 부인들에게 권위적이며 불륜, 외도도 서슴지 않았던 인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거기에 1차 대전과 2차대전을 통해 양자역학, 물리학의 발전과 전쟁에 어떤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면서 독일인 과학자들이 1차 대전, 2차대전에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삶이 바뀌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면서 전쟁으로 인한 참상, 1차 대전보다 더 많은 사람이 죽은 스페인 독감의 발생, 등등 여러 가지 역사적 사실을 과학의 역사를 통해 알게 된다.


거기에 닐스 보어와 아인슈타인의 오랜 관계에 따라 절친이었다가 나중에 경쟁적 관계가 될 수밖에 없었던 과학적 이야기 안에 담긴 그들의 개인적인 고뇌 또한 마주하게 된다. 


우리가 생각하는 수학과 물리는 같은 것이라서 천재 과학자들은 모두 잘할 것이라는 생각하지만 오히려 닐스 보어는 수학에는 형편없었다는 이야기까지 알게 된다. 그리고 수많은 과학자들이 수학적 머리로 발명하는 것이 아닌 창의적 감성과 영감으로 인해 그들이 자신의 논리 만들어 낸다는 것, 그래서 때론 그 원리를 논리적으로 증명해 내지 못할 때도 많다는 것 또한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재미중 하나다. 


이정모 관장의 추천사의 말처럼 원자, 양자역학, 근일점 회전, 흑채 복사, 원자 모델 등등 수많은 과학적 지식과 언어들이 나와서 설명을 이해하기 쉽지 않아서 “과학은 그냥 어려운 거다”라는 말에 백퍼 수긍이 가면서도 이상하게 반은 이해하면서 계속 읽게 되는 스토리텔링이 담겨있다. 


아마 그것은 아인슈타인이 거절과 수락의 의사표시로 기차역에서 꽃을 들고 있었다는 이야기나 마리 퀴리가 엄마를 잃고 잠시 시골로 내려가 파티와 춤에 빠진 생활을 즐겼다는 것, 보어는 탐정 추리소설을 좋아했으며 그 마음이 과학과 연결되었다는 저자의 이야기 등등이 어려운 과학 이야기와 잘 융합되어 어려움 안에 담긴 즐거움을 찾는 원동력이 된 것 같다. 


그럼에도 읽는 내내 느끼는 생각 중 하나는 우리가 부러웠던 그 천재들도 어느 것 하나도 머리에서 반짝하면서 발견된 것이 아닌 오랜 세월 동안 연구했으며, 생계를 위해 과학을 포기한 세월을 견뎌내기도 하고 퀴리부부처럼 라듐을 획득하기 중노동을 마다하지 않고 결국은 자신의 몸까지 망치는 삶의 대가를 견뎌 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천재의 삶에 대한 부러움이 편견의 시선임을 알게 되었다. 

어느 누구 삶도 멀리서 보면 찬란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지극히 평범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꼬리에 꼬리를 무는 20세기 물리학의 역사, 불확실성의 시대에 발견하게 된다. 또한 불확실성의 시대는 언제나 현재 진행형임을 느끼게 된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 삶은 불확실성을 아는 그 순간부터 진정 시작되는 것임을 … 과학의 천재들의 삶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