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입식 교육세대에게 역사는 암기 과목 중 하나였다. 모든 교과과목이 그렇듯이 진학하기 위한 학습으로 여긴다.

한때 역사과목을 입시에서 없애자는 이야기도 나왔던 것을 보면 , 역사는 쓸모가 없다라고 여겼던 우리의 슬픈 현실이 어쩌면 정치의 후퇴를 불러왔을지 모른다는 것을 이제 느낀다.

임진왜란, 갑오경장등을 외우고 , 역사는 년도와 조선 시대 임금의 순서를 외우는 것이 다라고 여겼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우리의 역사 교육은 뒤로뒤로 가고 있다.

이책은 역사의 쓸모에 대한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제시하는데, 어쩌면 역사에 관심있는 사람이 아닌 역사를 지나간 과거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읽어야 할텐데, 항상 지식은 늘 그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만 읽는 다는 맹점이 있다.

역사가 어렵고 지루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에게 초보 입문서로 읽으면 좋을 책이다.

역사는 삶의 해설서와 같습니다.

문제집을 풀다가 도저히 풀리지 않는 문제를 붙잡고 끙끙댈 때는 전혀 보이지 않았던 해결의 실마리를 순식간에 발견할 수 있지요.

인생을 사는 동안 우리는 늘 선택의 기로에 놓입니다. 선택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알 수 없기에 그때마다 막막하고 불안하지요.

하지만 우리보다 앞서 살아간 역사 속 인물들은 이미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그 수많은 사람의 선택을 들여다 보면 어떤 길이 나의 삶를 더욱 의미있게 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10

 

 

저자가 말하는 역사의 쓸모는 제 1장의 목차만으로도 역사의 쓸모에 대한 이야기는 충분히 느껴진다.

숨겨진 보물을 찾아 떠나는 탐험

기록이 아닌 사람을 만나는 일

새날을 꿈꾸게 만드는 실체 있는 희망

품위 있는 삶을 만드는 선택의 힘

역사의 구경꾼으로 남지 않기 위하여

역사의 쓸모 제1장 목차

그중 저자가 학교와 학원이라는 선택의 문제로 갈등을 했을때 ,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의 다큐멘터리를 보고 느낀 그 문구에서 역사의 쓸모는 이런 것이구나를 절실히 느낀다.

서른 살 청년 이회영이 물었다.

"한 번의 젊은 나이를 어찌할 것인가"

눈을 감는 순간 예순 여섯 노인 이회영이 답했다.

예순 여섯의 일생으로 답했다.

페이지 39

 

 

저자는 이글을 읽고

눈물이 펑펑 쏟아졌습니다.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나보다 앞서 살았던 사람의 삶에서 좋은 영향과 자극을 받은 것이지요.

결국 저는 그자리에서 계약서를 찢는 것으로 고민을 끝냈습니다.

39페이지

단순히 역사의 연대기, 위인들에 대한 이야기로 엮어진 해설서가 아닌 저자 자신이 현실에서 느낀 역사의 쓸모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책이다.

왜 역사를 읽는가 ? 에 대한 물음이 쏙 들어가게 하는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그중 서희의 담판 , 협상에 관한 이야기는 내가 잘못 이해하고 있던 역사에 대한 이야기여서 좋았다.

거란 소손녕은 바보이고, 서희는 똑똑하다는 우월감이상 이하도 없었는데, 그이면에 담긴 역사적 진실을 보니 , 역사는 누군가의 똑똑함을 보여주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그당시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에서 어떤 외교를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였다.

서희의 강동6주는 외교적 협상, 거란도 얻고, 우리도 이익이 되는 두나라간의 외교적 협상을 이라는 것을 .

그럼 거란은 손해를 본 걸까요? 아닙니다. 거란이 목표로 하는 건 송나라예요.

그 어마어마한 땅에 비하면 고려에 주기로 한 강동 6주는 콩알만 한 땅입니다.

그건 손해가 아니라 투자예요.

고려에 후방을 공격당할 걱정없이 송나라를 총공격하기 위한 투자였습니다.

이회담에서 진 사람은 없습니다. 고려도 거란도 이긴 겁니다.

123페이지

이처럼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우리가 배울수 있는 요건들을 재미있고 풀어주었다.

역사는 연대순으로 누가 왕이었고, 어떤 정치를 했다라는 단순한 것이 아닌, 미래를 위해 , 또는 그시대에 놓인 우리의 선조들이 선택한 행동이 어떤식으로 잘했고 잘못했고를 통해 역사가 어떤 식의 결과를 낳는지를 봐야 한다는 것을 저자의 글을 통해 배운다.

그러므로 역사의 쓸모는 역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 같다.

최근 서희의 담판처럼 , 수산물의 유해성에 촛점을 맞춘 패한 1심과 달리 , 특수성이라는 것으로 판결에 승리한 외교적 협상처럼, 매일매일의 결과는 우리에게 역사로 다가온다는 사실을 잊지말라고 당부하는 것 같다.

그외에도 책속에는 정도전, 김육,장보고,박상진,이회영 등의 역사의 선인들을 통해 , 인생을 어떻게 살것인가?에 대한 물음과 함께 역사는 인생을 논하는 철학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럼에도 우리가 왜 역사를 공부해야 해? 라고 물음에 작가는

저는 다른 무엇보다 역사야말로 오늘 내가 잘살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사는 나 자신을 공부하고, 나아가 타인을 공부하고, 그보다 더 나아가 세상을 공부하는 일이죠.

이 책에서 계속 얘기하는 것들도 결국은 모두 여기에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284페이지

결국 역사의 쓸모는 나자신을 위한, 내가 더 잘살기 위한 공부라는 것을 .

어느 누구를 위한 나의 철학, 인생을 위한 역사의 쓸모는 , 내가 어떤식으로 관심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고 이해하며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 그러려면 어릴적 공부했던 역사시간의 지식이 아닌 지금의 역사, 내가 잘못알고 있던 인식을 바꾸는 역사공부부터 시작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역사의 쓸모는 나의 쓸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