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 성년의 나날들, 박완서 타계 10주기 헌정 개정판 소설로 그린 자화상 (개정판) 2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이어지는 자전적 소설이다. 읽어가면서 계속 드는 의문은 작가는 왜 이 소설을 썼을까 하는 것이었다. 이미 『엄마의 말뚝』이나 『나목』에서 다뤘던 소재였다. 그런데 왜 다시 이 소설을 써야 했을까 하는 것이 나의 의문이었다. 못 다한 말이 있었을까? 소설을 쓰고도 청산되지 않은 감정이 있었을까?


다 읽고 난 후, 다시 『엄마의 말뚝』과 『나목』을 비교해 보니 확실히 달랐다. 두 소설들은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많은 부분 사실이지만 허구적인 부분이 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나 이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는 허구가 없었다. 특히, 작가의 생각과 감정을 적나라하게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달랐다.


『엄마의 말뚝』에서는 오빠의 죽음이 극적인 요소를 띄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오빠의 부상과 죽음은 너무나 초라하고 극적이지도 않다. 오랜 시간 비루해지고 파리해지면서 죽어갔다. 가족들을 지치게 했다. 작가는 그런 오빠를 보는 마음의 고통을 고스란히 적어놓는다.

“오빠가 넘어온 이데올로기의 전선은 나로서는 처음부터 상상을 초월한 것이긴 했지만 이런 오빠를 보고 있으면 그 선의 잔인하고 음흉한 파괴력에 몸서리가 쳐지곤 했다.”
-34p

20대 박완서에겐 허물어지고 절뚝거리는 오빠의 육체보다도 인격이 바뀌어버린 오빠를 보는 것이 더 고통스러웠다. 서울이 수복된 후 다시 불안함 속에 피난을 떠나던 오빠의 염치를 잃은 모습은 읽고 있는 나 역시 아연하게 만든다. 오빠의 죽음과 장례도 그렇게 누추했다.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엄마의 모습도 지나치게 애통하지 않아서 슬프다.


공산치하와 서울 수복 시절, 이중생활, 생존과 돈을 벌기위해 했던 일들 그리고 그녀의 마음속에 오갔던 속물적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생각들.

어떻게 이런 수치스러운 행위와 생각을 적나라하게 쓸 수 있었을까? 어떤 작정으로…?
쉽게 쓰여 진 글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다. 굳이 드러내지 않아도 될 은밀한 부분을 세상에 내놓고 오히려 괴롭지는 않을까? 그런 두려움 때문에 주저했을 텐데.


작가의 아주 은밀한 감정들을 발가벗기듯 드러내고 있어서 내내 불편한 감정을 느꼈다.
나는 왜 불편했을까?

작가라면, 작가가 될 소양을 가지고 있던 사람이라면,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생각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깨졌기 때문일까? 속물적이고 소시민적이라고 느끼게 하는 장면이 많았으니까.


그러나… 그것보다는 내가 그 감정들을 모두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했다는 것이 더 정확한 이유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자주 표현하는 말을 사용하자면, ‘징그러울’ 정도로 세밀하고 적나라하게 써내려간 내밀한 사건과 감정들 때문에 나 역시 고통을 느꼈다. 어떻게 이렇게 발가벗듯이 다 드러낼 수 있을까? 그런데 그런 혐오의 감정을 느끼는 이유를 내 안에서 발견하고 있었다. 숨기고 싶은 은밀한 생각들이 작가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다. 그렇게 내밀하게 숨겨놓은 혐오스런 생각들을 보게 했다. 그렇게 내내 불편했다.


작가에게 기대하는 세상의 요구를 그녀는 모를 리 없다. 그럼에도 자신의 치부와 같은 그 시절을 픽션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다시 기록하고 있다. 어떤 의도였을까? 아니 의도 같은 건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렇게 숭고하지도 희생적이지도 않았던 삶을 미화시킨 것에 대해 동시대 사람들에게 미안했을지도 모르겠다. 시대를 읽는 사유가 없이 20대를 맞이한 박완서가 해방과 전쟁을 고스란히 겪어냈다. 혼돈 속에서 생존이 하루의 시작과 끝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이 소설은 고백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동안 외면했던 죄의식에 대한 참회와 치유의 글이라는 생각이다.
어쩌면 내가 오독과 오해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한편, 이것이 실재이고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리얼리티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자신이 제물이 되어서. 그러니 함부로 그 시절을 겪어낸 사람들을 판단하지 말고 요구하지 말라는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전쟁은 남과 북을 가르고, 피난 간 사람들과 피난가지 못한 사람을 가르고,…… 많은 분열을 만들어냈다. 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상처가 벌어진 채 아물지 않은 나라에서 이렇게 쓴다는 것이 얼마나 용기가 필요했을까 생각했다.


항상 생각하게 되지만 전쟁을 겪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다를 수밖에 없다. 현상에 대한 인식, 역사관, 세계관…등 모두. 해방 전후를 살았던 세대의 삶을 생각하면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작가의 글은 마치 일기장을 보고 있는 것 같다. 가족들이 양키한테 붙어먹고 산다고 생각한다. 인생이 추비하고 남루해진다고 고백한다. 개울가에서 구토를 일으키는 20대 박완서의 모습은 애처롭고 쓸쓸하다. 등을 쓸어주고 싶다. 청년의 때가 이래도 되는가.


그렇게 긴 고백은 엄마와 박완서 각자의 울음으로 정리한다. 그 험한 세월동안 가슴밑바닥에 눌러 놓았던 통곡이 터져 나온 것이다. 작가의 출가 후.
그녀들에게는 그렇게 각자 우는 것이 서로 마주 붙들고 우는 울음보다 더 정직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에게나 나에게나 온몸을 내던진 울음은 앞으로 부드럽게 살기위해 꼭 필요한 통과 의례, 자신에게 가하는 무두질 같은 게 아니었을까. 그러나 엄마하고 나하고 만날 수만 있었다면 둘 다 울지 않았을 것이다. 따로따로니까, 서로 안 보니까 울 수 있는 울음이었다.
그날 엄마가 정릉으로 빨래를 간 건, 참 잘 한 일이었다.”
-280p

이 부분이 이해가 간 나에게 놀랐다. 도대체 어떤 정서가 자리 잡고 있기에….


얼마 전, 엄마와 이야기 하다가, 나를 결혼시킬 때 엄마가 공중 화장실에서 혼자 울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엄마 앞에서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던 내가 울고 있었다. 그것도 주체 못할 정도로. 엄마는 담담하게 수다 떨듯이 말하고만 있는데,…… 창피하지도 않았다. 그냥 울고 나니 속이 후련했다고 해야 하나? 그 울음으로 그동안 감춰왔던 미안함을 고백했던 것 같다. 늦기 전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3-26 13:2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니 오늘 왤케 눈물나게 하는 글들이..😭

그레이스 2021-03-26 13:34   좋아요 4 | URL
^^;;
마지막글 얹으면서 또 울었습니다^^
어떤 책은 읽고도 글쓰기까지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책이 그랬어요.
오래 걸려 쓴 만큼 오래 기억될 것 같습니다.
미미님 감사해요~

scott 2021-03-26 15:3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 어무이,,,,,
ʕ>⌓<。ʔ

mini74 2021-03-26 21: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 이리 먹먹하지요. ㅠㅠ 저도 그레이스님 마음이 왜 이리 이해되고 와닿는지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