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자연과학 특히 지구과학 또는 지질에 집중하다가 잠시 쉴 기회를 얻은 것 같다. 某 출판사로부터 내 주요 관심사와 전혀 다른 분야의 책이 도착했다. 서평을 써야 하는 책이다.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 중국 역사와 심리학의 만남이랄 수 있는 책이다. 심리학으로 삼국지를 재해석한 첫 시도의 책이라고 한다. 심리(心理)라는 말이 오늘의 주제어다.

 

마음의 결이라는 의미의 이 말에서 내가 할 말은 심리학이란 마음의 무늬를 다루는 분야가 아니라 갈라진 마음을 논하는 학문이란 말이다. 갈라졌다는 말은 아프고 상처 입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쉴 사이 없이 요동하고 분열한다는 뜻이다. 본문에 의하면 유비는 울컥하는 심정을 잘 다스린 사람이다. 울이 鬱은 아니지만 내게는 그늘 즉 얼룩으로 보인다. 얼룩은 마음의 아픈 결이다. 이 책으로 일전(一轉)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년(停年) 후 명예교수로 있는 분께 지질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메일 주소는 그 분의 책을 출간한 출판사에 문의해 알았습니다. 지구과학을 전공하신 이 분은 제 질문에 친절히 답해주고 계십니다. 며칠 전 두 번째 질문에 답하시면서는 연천의 은대리 판상절리와 임진강 주상절리를 연필 스케치한 그림을 보내주셨습니다.

 

그림을 잘 그리지는 못하지만 노두를 직접 탐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론 공부도 중요하고 관찰도 중요하고 상상력 함양도 중요하지요. 그래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를 것입니다. 한 교육학자가 자신만의 컬러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창의성이라 정의한 것이 생각납니다. 보리스 카스텔과 세르지오 시스몬드의 '과학은 예술이다'란 책을 다시 읽고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논문을 뒤져) 지질공부를 하다 보니 연대측정법에 대해서까지 관심을 두게 되었어요.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의 대안인 OSL(optically stimulate luminescence) 연대측정법이 눈에 띄네요. 문화재는 물론 지층의 나이를 아는데 요긴한 방법이라 들었어요. 요즘 문화, 역사보다 지질, 지형 재미에 빠진 듯 해요. 물론 본령(本領)이던 문화, 역사보다 지질, 지형에 더 재미를 붙이고 있으니 잘못된 것이 아니라 OSL 연대측정법을 통해 양자의 접점을 찾은 듯해 마음이 놓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삼각산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거의 "가노라 삼각산아~"로 시작하는 김상헌의 시조만 예시했다. 이 작품에서 삼각산은 이름만 나올 뿐 구체적 위상은 언급되지 않았다. 다른 산으로 대체해도 좋을 이름이라는 의미다. 매월당 김시습의 삼각산을 언급하지 않은 잘못을 반성한다.

 

"세 봉우리 한데 합쳐 하늘을 찌르고 있으니~"란 첫 구절만으로도 산의 위상을 알게 한다. 이어지는 "꼭대기에 오르면 북두칠성과 견우성을 딸 수 있겠네"란 구절도 의미 있다. 높기에 올라가면 은하수라도 잡을 수 있을 정도라는 한라산의 의미까지 헤아릴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고산 윤선도도 삼각산에 대해 언급했다.

 

"한양의 북쪽이요 고양의 동쪽"이라는 말로 삼각산의 위치를 언급한 고산은 우뚝한 세 송이 푸른 부용(芙蓉) 봉우리란 말로 인수봉, 백운대, 만경봉의 삼각(三角)을 이야기함과 함께 불교적 은유를 마음껏 구사하는 다차원의 시재(詩才)를 선보였다. 김시습이 북두칠성과 견우성을 딸 수 있겠네라 말한 것처럼 윤선도도 삼각산이 북두까지 솟구쳤다고 표현했다. 부지런해야겠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부 역사학자들은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에서는 석탄을 사용하지 않은 적이 있었다고 말한다. 석탄의 검은 색이 환자들의 피부가 검게 변해 죽는 치명적인 페스트를 연상시켰기 때문이라고 한다. 에도 시대 말기에 일본 근해에 출몰한 배를 가리키는 역사 용어인 흑선(黑船)은 어떤가. 흑선이란 배의 내수성(耐水性)을 높이기 위해 검은색 타르를 바른 데서 비롯된 용어다.

 

암흑물질은 어떤가.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로 검다는 표현은 상징적이다. 현(玄)은 어떤가. 검다기보다 아득하거나 현묘하다는 의미다. 그러함은 현무암을 볼 때마다 느끼는 바이다. 현무암이 제주에만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득하고도 현묘하다고 느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