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거울을 보고 오늘 누구와 어울려 다녔는지 생각해보자. 무슨 일에 흥분하고 어떤 일에 목소리를 높였는지 떠올려보자. 우리가 보라는 아니더라도, 선이나 지아도 아니었을가능성이 크다. 우린 보라와 함께 고개를 끄덕이고 누군가를향해 손가락질했던 보라의 일당이었는지 모른다. 그 일당을부르는 이름이 바로 ‘우리들인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년에 쓴 『루킬리우스에게 보내는 도덕 서한은 시칠리아의 행정장관이었던 루킬리우스라는 젊은 친구에게 보내는 서한 형식을 띠고있는데, 실제로 주고받은 편지가 아니라 출판을 염두에 두고 편지 형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풀어낸 글로, 상대의 반응을 예상하며 마치 대화를주고받는 듯한 문체를 구사한다. 그 가운데 이 책에 실은 편지에서는 특히 학문에 대한 세네카의 스토아적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당시 교양있는 지식인이라면 기본으로 갖춰야 할 학식으로 여겨졌던 자유학문artes liberales에 대한 세네카의 생각은 남다르다. ‘자유‘라는 단어가 들어간다고 해서 자유로운 학문인 것이 아니며, 그것을 공부하는 사람에게 ‘자유‘를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지혜와 덕을 추구하는 철학이야말로 진정 자유로운 학문이며, 자유학문은 그 공부를 위한 기초를닦는 과정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스토아철학자인 그가 말하는 자유란어떤 부침에도 흔들리지 않고 덕을 추구할 수 있는 정신의 자유를 의미할 것이다. 공부를 하는 목적에 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드는 글이다.

오디세우스가 헤매며 다닌 지역들이 어디인가?"라고 묻기보다, 차라리 우리 자신이 어느 때든 길을 잃지 않도록노력하는 것이 낫지 않겠는가? 그가 거친 파도에 시달렸던 바다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사이의 바다인지 아닌지, 혹은 우리가 아는 세상을 벗어난 곳인지(사실 우리가 아는 좁은 범위 안에서는 그렇게 오래 헤매 다니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에 관한 강의를 듣고 있을 여유가 우리에게는 없네. 우리 역시 매일같이 우리를 이리 밀치고 저리 던지는 정신의 폭풍우를 만나며, 오디세우스를 불행으로 몰아 갔던 그 경솔에 끌려다니지않는가. 우리의 눈을 유혹하는 아름다움이나 우리를공격하는 적들은 한 번도 부족한 적이 없으니 말일세.

나를 함정에서 안전하게 보호할 것들은 이미 충분히 준비되어 있다네. "내일이 결코 나를 속이지 않을거라니요? 무엇이든 나도 모르게 벌어지는 일은 나를속이는 것이지요." 나로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는 모르지만, 무슨 일이 벌어질 수 있는지는 안다네. 이로 인한 불안감은 전혀 없으며, 다가올 미래를 그 모습 그대로 가만히 기다리지. 조금이라도 혹독함이 줄어든 미래라면 그 시간을 최대한 잘 활용할 작정이네. 내일이나에게 친절하다면 그야말로 일종의 속임수일 테지만,
나는 거기에도 속아 넘어가지 않는다. 어떤 일이든일어날 수 있음을 알고, 언제나 좋은 일만 일어나지는않는다는 것도 아니 말일세. 나는 언제든 좋은 일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듯이 언제든 나쁜 일을 맞이할 준비도 되어 있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으로, 모든 배움은 좋은 것이니 어떤 배움도 경시하지 말라. 적어도 시간이 있다면 책 한 권 읽는것을 하찮게 생각하지 말라. 설령 그 책을 읽어 얻는 게아무것도 없더라도 잃는 것 또한 아무것도 없다. 더구나 내가 판단하기에, 어떤 책이든 적합한 곳에서 적합할 때에 집어 들기만 한다면 찾을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반드시 지니고 있으며, 또한 어떤 책이든 그 내용을근면하고 꼼꼼하게 탐구하는 독자의 눈에는 다른 어디서도 찾을 수 없는 그 책만의 특별한 점을 가지고 있으니, 그런 독자는 희귀한 책일수록 그만큼 더 기쁜 마음으로 집어 든다.
하지만 더 좋은 것을 없애 버리는 것이라면 그 무엇도 좋은 것이라 할 수 없다. 그대가 모든 것을 읽을수 없다면, 더욱 유용한 것을 읽어라. 나아가 모든 것을 읽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모든 독서에 똑같은 노력을 기울이지는 말라. 때로 사람들은 무언가를 단지 전혀 모르는 상태, 들어 본 적도 없는 상태를 벗어나려고읽는다. 자기가 들어 보지 못한 것은 실제보다 더 큰 가치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기도 하고, 일단 어떤 열매를 맺는지 알게 되면 가치를 평가하기가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철학자 파르메니데스가 15년 동안 이집트의 한바위 위에서 살았다는 이야기를 읽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사색에 대한 억제할 수 없는 사랑 때문에, 코카서스산에서 독수리의 공격을 받으며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그들이 진정한 선이란 사람들의 존경이 아니라 순수한 양심 속에 숨겨져 있으며, 결국 사라질 운명인 것들에 집착하여 자신의 선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한 사람이라 할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신들이 정신과 지력의 측면에서 다른 모든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알았던 그들은 아주 멀리 떨어진장소에 거주하는 것으로써 그 다름을 보여 주었다. 공동체란 모름지기 동일한 목적을 공유하지 않는 이들은잘 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한 철학자에게 쏘아붙였다. "도대체 당신은 사람들이 당신을 비웃는 것을 모른단 말이오?" 이에 철학자는 응수했다. "그들은 나를 보고 비웃지만 당나귀들은 그들을 보고 코웃음을 친다오." 한번 생각해 보라. 그 철학자는 그들에게 비난받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데 그 사람들의칭송이라고 과연 얼마나 가치 있게 여기겠는가.

이방의 땅은 거대한 덕이 자라날 출발점이다. 단련된 정신은 이방의 땅에서 우선 눈에 보이는 일시적인 것들의 변화부터 배우기 시작해 조금씩 차차 배움을 쌓아 나간다. 그런 후에는 그 땅을 완전히 떠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 자기 고향을 다정히 여기는 사람은 아직 여린 초심자이며, 모든 땅이 자신의 고향과 같은 사람은 이미 강한 사람이지만, 온 세상이 이방의 땅인 사람은 완성된 사람이다. 여린 영혼은 자신의 사랑을 세상의 단 한 지점에 고정하였고, 강한 사람은 자신의 사랑을 모든 장소에 뿌려 놓았으며, 완성된 사람은 장소에 대한 사랑 자체를 지워 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정치학자 한나 아렌트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악의 평범성(the banality of evil)‘을 말한다. 독일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이 유대인 학살이라는 반인륜 범죄를 저지른건 아무 생각 없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사고의 결여‘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아이히만이 아니라고 해도 이 물음을 비켜갈 수 없다.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악(惡)들이 거악(巨惡)을 떠받치고 있는 건 아닌가. 거악은 한두 사람의 악인이 아니라 선량한 시민들의 작은 악들이 모인 결과가 아닌가.
〈주기도문(主祈禱文)>은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를 바라고 희망한다. 그 악이 바깥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서오는 것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위험을 인식하고 늘 깨어있지 않다면, 내부의 악과 끊임없이 싸우지 않는다면 자신도모르는 사이에 악마와 손을 잡고 있을 것이다. "난 내가 할 일을 했다"고 말하며, "그래도 난 최선을 다했다"고 변명하며.

당신이 거리에서 누군가와 - 이를테면, 생존권의 머리띠를 두르고 주먹을 움켜쥔이들과 마주쳤을 때 서늘한 두려움이 앞선다면 뭔가 잘못살고 있다는 뜻이다. 당신 마음속에 편견이 도사리고 있다는의미이고, 다른 친구‘가 곁에 없다는 의미다.
주토피아>에서 가장 매력적인 캐릭터는 토끼 주디도, 여우닉도 아니다. 나무늘보 ‘플래시‘다. 주디는 용의 차량에 대해차적 조회를 하려고 DMV(차량관리국)에 갔다가 플래시를 만나고 학을 뗀다. 말할 때도, 키보드를 두드릴 때도, 농담에 웃을 때도 시속 1미터의 슬로비디오로 움직인다. 마지막 장면에그가 다시 등장한다. 주디가 시속 185킬로미터로 달리는 스포츠카를 쫓아가 차를 세운다. 과속 딱지를 떼려는 순간 차창이내려가며 플래시의 겸연쩍은 얼굴이 나타난다.
‘나무늘보는 느리다‘는 편견에 대한 통쾌한 반박이다. 나무늘보의 몸이 느린 건 사실이지만 모든 일에 느린 건 아니다.
성격은 오히려 급할 수도 있다. 편견은 결정적으로 틀릴 때가많다. 당신이 당신의 편견에 기대어 살다간 큰코다치는 날이반드시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 스승 루이 비에른 Louis Vierne(1879-1937, 작곡가이자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오르간 주자) 선생님은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인이었어요.
스물여섯 살 때 수술을 받아 앞을 조금 보게 되었지요. 그러자그분이 참을 수 없다고 느낀 게 한 가지 있었어요. 우리 머리가 목과어깨에 붙어 있는 방식이 그분에겐 그리 끔찍하게 보이더랍니다.
게다가 누가 "이 연필 잡아봐!"라고 말하면 그는 "못 잡겠어. 너무멀어" 라고 대답했대요. 하지만 집은 잡고 싶었다고 해요. 왜냐하면 집은커다랗기에 그분의 눈에는 오히려 거리가 가깝게 보인 거죠.
사물의 크기가 그 사물과의 거리와 아무 상관없다는 걸 그분은1~2년이 걸려서야 깨달았답니다. 그분은 가까이 있는 건 크다.
멀리 있는 건 작다고 보았어요. 우리는 사물들이 실제로 있는그곳에서, 그것들을 어떤 척도로 보고 있나요? 오르간 연주를 듣는사람은 말합니다. "오! 저렇게 치려면 얼마나 힘이 들까!" 그런데500음전의 오르간을 연주하는 데 드는 힘은, 길이 60센티미터짜리플루트를 부는 데 드는 힘과 똑같습니다. 난생 처음 오르간 소리를들어보는 사람은 널리 퍼지는 그 힘찬 소리에 황홀해합니다. 그런데실제 오르간 주자가 남다른 힘을 펼치는 건 전혀 없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