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 선생님이 "세상의 모든 불행은 그 총량만큼의 기쁨이나 행복이 필요한 게 아니라 한 뼘 햇볕만큼의 기쁨이면 된다"라고 하셨거든요.

‘라면 패러다임의 대전환 서론
라면에 대한 모든 논쟁은 오직 최고의 면발을기 위한 것이었다.
동기 : 동료 물리학자에게 "그냥 처음부터 면을 찬물과함께 넣고 가열을 시작하면 된다" 라는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실험 : 찬물에 가면과 스프를 넣고 물을 가열하기 시작했다.
물이 끊기 시작할 때 계란을 투하했고, 30초 후자른 대파를 넣고 10초후 불을 껐다
경과는 완벽한 면발이었다.
결론 : 라면 끓이는 시간을 절반 이하로 줄였고, 에너지도 그만큼 절약된다.

또라이 짓이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사람보다 더 중요한 첫 번째 팔로워가 있어야 하는 거예요. 한 사람이 세상을 바꾸는게 아니라 관계가 세상을 바꾸는 거죠. 둘의 관계가 셋의 관계가 되고, 넷의 관계가 되어 수많은 관계가 맺어질 때 결국 세상이바뀌는 거지,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아니 아무것도 없어요.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거죠.

진실에 가깝다고 믿어지니까요. 100%는 아니겠지만 이전과는 달리 예측 능력까지 가진 철학인 거죠. "세상은 무엇으로 되어 있나?" "원자로 되어 있지." "증거가 있나?" "증거가 있어." "이증거가 맞기 때문에 이렇게 하면 이건 빨간색이 될 거야." 실험해보면 빨간색이 돼요. "이렇게 하면 약이 될 텐데, 이거 먹어봐. 열이 내려갈 거야." 열이 내려요. 이렇게 작동할 수 있는 철학이 만들어진 거예요. 그 철학을 오늘날 우리가 과학이라고 부르죠.

이때 시스템이란 완벽한 제도를만든다는 뜻이 아니라 끊임없이 논쟁과 논의를 할 수 있는 장이필요하다는 거예요.

어쨌든 때로는 아무 의미 없는 물질의 분리에 의미를부여하고, 도덕적으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규칙을 따를 때 인간이 되는거죠.

…여기에 어떤 물리적 의미는 없어요. 우리가 합의한 것뿐이에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아까 이분법이라고 했는데요. 하나는자연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우주 자체인데, 여기에는 어떤 의미도, 의도도, 가치도 없어요. 다른 하나는 우리 인간이 만든 법칙이죠. 이렇게 두가지 측면이 있어요. 좋게 보면 좋은 거예요. 덕분에 우리가 사회를 이루고 소통하며 살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다른 한편으론 이게 우리를 옭아매기도 하죠. 갈릴레오 시대 사람들이 가졌던, 지구가 돈다는 것은 옳지않다" 라는 믿음도 그들이 합의한 것이거든요.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인간이 만들어낸 가치는 어떤 근거 없이 인간의 합의에 따른 것뿐이기 때문에 검증할 수 없고, 어떤 의미에서는 무엇이 옳은지 정확히 알 수도 없어요. 그래서 크로스체킹을 한다는 게 어려운 일이죠. 그런데 그걸 놓고 저한테 과학자니까 A와 B 중 누가 옳은지

제동 모른다고 하면 된다고요? 전 점점 더 과학이 쉽고 좋아지네요. (웃음) 증거가 없으면 잘못됐다고 말하는 게 아니고 가볍게 모른다고 하면 되는 거네요.
상욱 제가 어디 가더라도 별로 겁이 없는 것이, 질문을 받았을 때모르면 모른다, 그러면 돼요. 모르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거든요.지금 과학이 모르는 게 많죠. 하지만 과학은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아요. 과학이라는 학문이 역사적으로 다른 학문과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무지를 공개적으로 인정한다는 거예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2-04 0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