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분이 수도원을 방문하여 노 수사님께 물었다.
"수도원에서 어떻게 살아갑니까?"
즉시 노 수사님의 답변이었다.
"넘어지면 일어나고, 넘어지면 일어나고…… 그렇게 살아갑니다."

추워서 어떻게 해요?"
지난겨울 어느 마음씨 고운 자매님이 사준 전기난로다.
내 삶의 단면이다. 이런 식으로 살아왔고 또 살아갈 것 같다.
참 착하고 고마운 이웃들이다. 이들의 현실적, 실천적 사랑에 비하면 내 모습은 참 주변머리 없고 초라하기 짝이 없다.
무엇보다 단순, 소박한 삶을 원하기에 짐이 되는 것을 극히 꺼리는 탓이기도 하다. 무엇에 매이지 않고 참 자유로운 삶을 살고싶지만 알게 모르게 짐은 늘어만 간다.

왜 많은 사람이 수도원을 찾는지 그 이유를 알았다. 수도원을찾는 이마다 좋고 편안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알았다.
‘빈틈‘ 이 많기 때문이다. 빈틈이 많아 헐렁하기 때문이다. 세상살이 얼마나 팍팍한지 넉넉한 빈틈을 찾아 숨을 쉬려고 수도원을 찾는다. 빈틈을 통해 하늘 신비도 보고, 신성한 공기도 호흡하고, 쏟아지는 은총의 햇살 가운데서 영혼이 싶다.
며칠 전 중소기업을 하는 분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외줄 타는 기분입니다. 뒤돌아갈 수도 없고 앞으로만 가야 합니다. 옆을 보면 천 길 낭떠러지입니다. 빙벽을 타는 기분입니다."
치열한 생존경쟁의 빽빽한 싸움터에서 빈틈이 많은 수도원 생각이 나 전화를 걸었던 것이다.
빈틈이 많은 수도원이고 수도자여야 한다. 가난과 겸손의 영
성은 빈틈이 많다는 뜻이다.

헤르만 헤세의 《유리알 유희》라는 책에 다음과 같은 좋은 대목이 나온다고 법정 스님이 소개한 글을 보았다.
명랑성은 지고의 인식과 사랑, 모든 현실에 대한 긍정이다. 모든 심연의 기슭에 서서 자각하는 일이다. 나이를 먹고 죽음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밝아지는 것, 그것은 아름다움의 비밀이고 모든 예술의 본질이기도하다. 속세의 초월자나 불타의 미소와 같은 것, 심원한 인간은 한결같이명랑성을 지니고 있다. 명랑성은 집으로 치면 창문과 같은 것, 창이 밝아야 그 집에서 어두운 구석이 사라진다.

결국 빈틈의 이야기가 아닌가? 나이 들어 성숙되어 간다는 것은 빈틈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빈틈을 통해 쏟아지는 은총의 빛에하늘이신 하느님을 뵈니 명랑하지 않을 수 없다.
빈틈과 기쁨, 행복은 비례한다. 빈틈을 찾고 마련하자. 이웃이쉴 수 있는 빈틈이 되자.

네덜란드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프레데리크 반 에덴이 동화풍으로 쓴 자전적 산문 《작은 요한네스는 유아의 혼이 성장해가는과정을 순수하고 청신하게 그렸는데, 여기에 나오는 이야기의 의미가 깊다.

길섶에 있는 버섯을 가리키며 아버지가 어린 아들에게 말했다.
"이건 독버섯이란다."
그 말을 들은 독버섯은 그만 너무 큰 충격을 받아 쓰러지고 말았다. 그러자 옆에 있던 친구 버섯이 그를 위로했다.
"그건 사람들이 하는 말일 뿐이야. 식탁에 오를 수 있다‘ 느니 먹을수 없다‘느니 하는 것은 그들의 논리일 뿐인데 왜 우리가 그런 논리를 받아들여야 하는 거지?"
친구 버섯의 지혜로운 조언에 독버섯은 정신을 차리고 자기의 존재 이유를 찾아 다시 일어섰다.

자신의 존재 의미를, 존재 이유를 알아 갈 때 자유로운 삶이다.
한 인터뷰에서 20년의 옥중생활을 겪은 성공회대 신영복 교수는 그 긴 세월을 어떻게 견뎠느냐는 물음에 이렇게 대답했다.
"20년을 견디는 힘은 하루하루 오는 깨달음이었어요. 뭔가를깨닫는 삶은 지내기가 쉬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비를 존중하는 마음, 그 신비를 느끼는 감각, 거룩한 신비에 대한 존경, 하느님께서 당신을 보여주실 때, 비로소 그분에 대해 알게 되는 하느님의 말할 수 없는 거룩함에 이르는 경외심과 겸손, 이는 참된 종교심성을 지닌 영혼의 본질적 덕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이란 정중앙에 흔들림 없이 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삶에는 울음도 없고, 웃음도 없으며, 찬양도 탄식도 의심도 없고, 희망도 가벼운 유머도 전심을 다하는 기도도 없습니다. 모든 것이 중간 쯤에 엉거주춤 머무를 뿐입니다. 그렇게 되면 모든 울림이 죽고, 모든 의지가 어정쩡한 중간 상태에서 정체될 것입니다. 다양한 기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대신, 삶이 뜨뜻미지근해질 것이며, 결국 영혼의 생기가 사라져 버릴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삶의 예술가가 될 수도 있고, 소비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삶의 소비자는 인생에서 아무것도 깨달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자기 삶을 우연에 맡기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삶의 예술가는 아름다움의 내적 법칙에 관심을 둡니다. 인생에서 자신이 추구하고 원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법칙이 허락되었고, 어떤 법칙이 금지되었는지를 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세(Hesse, Hermann)는 "나무는 내게 언제나 사무치는 설교자였다. 나무와 이야기할 줄 아는 사람, 나무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사람은 진리를 경험한다. 나무는 교훈이나 비결을 설교하지 않는다. 삶의 가장 근원적인 법칙을 노래할 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나무는 삶의 원리를 보여 줍니다. 뿌리는 나무에 양분을 공급할 뿐 아니라, 나무에서 양분을 얻기도 합니다. 뿌리 역시 잎이 만든 영양이 필요하니까요. 그래서 모든 나무줄기에는 두 갈래 길이 있습니다. 물관을 통해서는 뿌리로부터 수분과 양분이 올라가고, 바깥쪽 체관을 통해서는 단물이 뿌리 쪽으로 내려갑니다. 더불어 사는 것이지요. 뿌리가 물을 전달하지 않고 자기만을 위해 머금고 있으면 잎은 시들어 버릴 것입니다. 또 잎이 햇빛으로부터 받은 것을 전달하지 않고 모두 간직하고자 한다면, 뿌리가 죽을 것입니다. 얻기만 하고 아무것도 내주지 않는 태도는 자신을 죽이는 길입니다. 잎이 뿌리를 죽게 하거나 뿌리가 잎을 죽게 하면, 나무도 죽고 말 테니까요."

하느님이 우리에게 빛을 비출 때, 우리 안에서도 정신의 광합성이 일어납니다. 그것은 하느님의 빛이 우리 안에서 구체적인 삶으로 변하는 거룩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은 우리에게 억지로 빛을 비추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영(靈)은 우리의 뜻을 존중합니다. 받아들일 마음이 있는지 묻고, 우리 내면의 대답에 귀 기울입니다. 우리가 어둠 속에서 마음을 닫고 있으면 억지로 강요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받아들이고자 마음을 여는 사람은 나뭇잎을 펼치고 빛을 향해 나아가는 나무처럼 생명을 펼치게 됩니다."

햇빛이 나뭇잎 안에서 탄소를 변화시키듯이, 사랑은 사랑받는 사람 안에서 그의 성품을 바꿉니다. 이것이 사랑의 본질입니다.

익숙한 흐름 없이 뜻밖의 요소만 있으면 제멋대로 되고, 뜻밖의 요소 없이 익숙한 것뿐이면 지루해집니다. 이탈리아의 위대한 바이올린 장인스트라디바리(Stradivari, Antonio)도 바이올린을 만들 때 익숙한 패턴과 시각적 변화를 번갈아 보여 주는 미학적 유희를 적용 했습니다. 혹시 우리는 너무나 익숙한 것만 원하고 있지 않은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