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2006년 봄에 베트남에서 남편을 만났어요. 그래서 결혼하고 한국에 왔어요. 한국에 와서 많이 외로웠지만 남편이 친구 역할을 했어요. 말은 안 통했지만 마음은 통했어요. 남편이 직장을 다니고 있었는데 저는 일요일만 기다렸어요. 왜냐하면 제가 한국 음식을 다 못 먹었는데 매운탕은 먹었어요. 그래서 일요일마다 매운탕을 먹으러 갔어요.
집에서 먹는 음식은 모두 못 먹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한국 음식을 다 좋아해요. 한국 음식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된장찌개예요. 처음에는 싫어했는데 지금은 무지 좋아하게 되었어요. 그 이야기를 해볼게요.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서 어머니께서 밥을 다 해주셨어요. 반찬이 여러 가지 있었는데 특히 된장찌개가 좀 이상했어요. 냄새가 너무 강하고 색깔도 약간 누렇게 생긴 것이 어떻게 보면은 사람의 대변 같았어요. 그런데 어머님이랑 남편은 너무 맛있게 먹었어요. 그때 저는 그냥 멍하게 앉아만 있었어요.
남편은 밥을 먹을 때마다 "이거 먹으면 몸에 좋아" 하고 말했어요. 하지만 저는 한국 음식을 아무것도 못 먹었어요. 그래서 어머님과 남편이 늘 걱정을 했어요. 저도 언제나 한국 문화, 한국어, 한국 음식 등에 적응을 할 수 있을까 고민했어요.
그래서 저는 결심했어요. 별것 있겠어요. 음식인데 한번 먹어 보자고요. 그래서 먹어 봤어요. 그런데 먹어 보니 마음 같지가 않았어요. 마음속으로 한 그릇을 다 먹겠다고 했는데 딱 한 번 먹고는 숟가락이 안 갔어요. 그때가 살아오면서 가장 힘든 시간이었어요.
그런데 어머님과 남편은 하루에 세 번이나 된장찌개를 먹어서 말이 안 나왔어요. 그때는 베트남 쌀국수가 정말로 먹고 싶었어요. 친정엄마도 보고 싶고 쌀국수도 먹고 싶어서 몰래 울었어요.
하지만 어머님을 모시고 살면서 이대로 살면 저만 힘들었어요. 그래서 하나하나 배웠어요. 된장찌개를 잘 못 먹었지만 만들었어요. 어머님이 맛있게 끓였다고 칭찬을 하셨어요. 그리고 저도 조금씩 먹을 수 있었어요.
제가 된장찌개를 안 먹을 때 어머니께서 말씀하셨어요. "된장을 만드는 게 얼마나 힘든지 알면 먹게 될거야." 저는 그냥 웃었어요. 그리고 한국에 오고 1년이 지나고 메주를 만들었어요. 메주콩을 깨끗이 씻고 가마솥에 넣고 물을 넣어요. 그리고 불을 때기 시작했어요. 콩이 익는 동안 고구마도 구워 먹고 기다렸어요.
고구마를 먹으면서 어머님이 이야기를 하셨어요. 옛날에 어머님이 할머니께 배웠던 된장 담그는 방법을 가르쳐주셨어요. "앞으로 나 살아 있는 동안은 된장 담글 때 꼭 옆에 있어야 돼. 그래야 네가 배울 수 있어."
콩 익는 냄새가 났어요. 어머니는 불을 끄고 볏짚을 가져왔어요.
"어머니, 볏짚으로 뭐하는 거예요."
"이것을 밑에 깔아주면 메주가 잘 마르지."
그리고 불을 또 땠어요. "이따가 불을 또 때자."
"왜요?"
"콩을 여러 번 끓여야 돼."
그래서 네 번이나 계속 반복했어요. 제일 힘든 것은 콩을 찧는 거였어요. 큰 절구로 막 찧었어요. 시작했을 때는 쉬웠는데 나중에는 힘이 빠져서 절구를 못 들었어요. 네모 모양으로 만든 메주를 방에서 겨울 내내 말린 다음 항아리에 담았어요.
어떻게 담갔느냐면 소금물에다 메주를 넣고 고추 3개, 대추 5개, 숯 한 개, 계란 한 개를 넣었어요. 계란은 소금물 간을 보는 거예요. 계란이 물 위로 조금 보이면 간이 딱 맞아요. 그리고 햇빛이 나는 날 뚜껑을 열었다 덮었다 1년이 지나면 간장물을 떠내요. 그러면 나머지가 된장이 되는 거예요.
된장 만들기 참 힘들어요. 처음에는 된장 한 그릇을 가볍게 생각했는데 지금은 독특하고 맛있는 예술 작품 된장을 자랑하고 싶어요. 지금 저는 두부와 호박을 넣은 된장찌개를 정말 좋아해요. 기회가 있으면 베트남에도 된장을 소개하고 싶어요. (2010년 12월 레티김탄)
*** 한국인인 나도 제대로 모르는 된장을 해마다 만들고 있는 탄이 너무나 대견하고 예뻐서 그녀가 쓴 글을 소개합니다. 처음 한국에 와서 적응하려고 얼마나 애썼는지도 느껴지는 글이네요. 표현이 어색한 부분이 많지만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