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던 소설 토지학교 수학 여행의 날, 새벽 5시에 출발하는 버스를 타기 위해 4시부터 일어나 수선을 떨었다. 6학년 딸아이가 학교에 체험 학습을 신청하고 함께 따라나서서 준비할 것도 더 많았다. 학생들이 얼마나 모범생인지 지각생 한 명 없어 정각 5시에 출발했다. 이른 시간인데도 학생들의 얼굴에는 피곤한 기색은커녕 설레임만 가득해 보였다. 대부분 학교라는 공간을 떠난 지가 오래된 이들에게 수학 여행이라는 단어가 주는 묘한 기대감마저 있어 한껏 들뜬 분위기가 아니었나 싶다.
소설 토지학교 학생들답게 차를 타고 가는 중에도 준비된 자료를 읽으며 공부를 했고, 다섯 시간 만에 통영에 도착했다. 그동안 유치환, 김춘수, 김상옥(시조시인), 윤이상 등을 비롯해 통영 출신의 문학 예술인들이 유난히 많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내게 특별한 도시는 아니었다. 하지만 이젠 박경리 선생이 잠들어 계신 곳이기에 통영이라는 지명만으로도 큰 의미로 다가왔고, 시내가 보이는 곳에서부터 눈을 크게 뜨고 창밖을 내다보게 만들었다. '아, 이곳에서 선생이 태어나고, 학교를 다니면서 일본인 선생 몰래 책을 읽고 수예점을 하신 곳이로구나' 하는 마음에...
지난 5월 통영 미륵산 기슭에 문을 연 박경리기념관.
통영을 배경으로 한 <김약국의 딸들>에 관한 자료 등이 있었지만 원주 시절 흔적이 너무 많아서 원주에 와 있는 착각이 들었다.
선생이 <토지>를 쓰던 책상을 원주 단구동 옛집의 모습대로 재현해놓았다.
기념관을 끼고 산기슭을 올라가면 선생의 묘지가 나온다. 묘지 자리는 원래 펜션이 있는 농원(양지농원)이었다. 지금도 주변은 농원이다. 몇 년 전 통영을 찾으셨던 선생이 펜션에 머물며 이곳에 살고 싶다고 한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던 농원 주인이 선생의 묘지로 기증했다고.
직선으로 올라갈 수도 있는 길을 지그재그로 길게 만들어놓아 천천히 오르면서 선생에 대한 추억을 하도록 했다.
길 중간중간 자연석에 선생의 시나 말씀을 새겨놓아서 이야기거리를 만들어준다.
드디어 묘지에 도착. 선생은 푸른 바다와 한산섬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누워 계셨다. 앞으로는 남해 바다가 보이고 뒤로는 미륵산이 지키고 있는 이곳은 왕후장상의 묘자리라고 한다. 그래서 땅주인마저도 감히 묘를 쓸 수가 없는 자리였다고.
아주 작은 묘비며 소박한 묘지에서 번잡하고 화려한 것을 싫어하던 선생의 생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보통 사람의 묘지보다도 더 소박하다.
딸아이와 함께 절을 드리며 마음이 울컥했다.
죽음마저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홀가분하다고 하셨던 선생, 나는 묘지 주변을 서성대기도 하고 옆에 앉아 묘비의 먼지를 닦아내기도 하면서 고향으로 돌아온 선생이 행복하시길 빌었다. 1박 2일 여행을 함께했던 딸아이는 체험학습 보고서에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박경리 선생님으로 바꼈다고 쓰기도 했다.
이름 석 자와 생몰 연대만 적은 아주 작은 비석.
묘지 주변에 있던 감나무.
묘지 아래 정자에 앉아 있다 보니 소나무 두 그루가 눈에 들어왔다. 돌계단 몇 개를 오르면 선생의 묘지가 나오는데 꼭 묘지를 지키는 문지기 같다.
통영 사람들도 돌아가시기 전까지는 박경리 선생의 고향이 통영이라는 사실을 모를 정도로 어린 시절 통영을 떠난 후 오간 적이 없다고 한다. 원주 사람들의 무심함이 선생을 통영으로 가시게 한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