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연휴를 친정에 가서 보내고 왔다. 완도에서 태안까지 가려면 6시간 가까이 걸려서 늘 목포에서 밥을 먹고 쉬면서 다녀야 했는데, 원주에서는 반 정도의 시간이면 다녀올 수 있었다. 친정이 무지 가까워진 느낌이다. 그래도 세 시간 거린데 무지 가깝게 느껴지더란 말이지...
어제는 남편이 써놓고 간 연하장과 달력들을 보내느라 우체국에 다녀왔다. 낯선 길을 혼자 걷기 싫어 아들 녀석을 꼬여서는 함께 다녔더니 동네도 좀 알겠고, 원주 사람들도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체국 다녀오는 길... 박경리 선생님이 18년간 살면서 <토지> 4부와 5부를 완성한 단구동 옛집이 보였다. 아담한 공원으로 꾸며놓아 잠깐 들렀다. 이사하기 전 아파트를 계약할 때부터 근처에 박경리 선생님의 옛집이 있다는 걸 알고는 무조건 이 아파트가 마음에 들었더랬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27.jpg)
입구에 선생님의 옛집을 공원으로 조성한 배경을 써놓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28.jpg)
선생님이 살았던 옛집. 너무 춥고 썰렁해서 집안에는 안 들어가보았다. 나중에 날 풀리면 다시 가볼 생각.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29.jpg)
집 앞마당에 이렇게 선생님의 동상을 만들어놓았다. 실제로 선생님이 나와 앉아 있는 듯하다. 고양이와 책 한 권, 호미도 보이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30.jpg)
공원을 <토지>의 배경을 축소해서 꾸며놓았는데, 집 위쪽에 있는 홍이동산에 올라갔더니 건너편에 우리가 사는 아파트가 보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31.jpg)
지금은 동네가 아파트랑 상가로 정신이 없는데 기념관 안에 있는 사진을 보니 택지가 조성되기 전에는 이런 모습이었던가 보다. 외딴 집에서 방해받지 않고 글을 쓰셨던 것 같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10232.jpg)
공원 곳곳에 선생님이 쓴 시가 보였다. 선생님도 처음 원주로 이사 와서 많이 외롭고 힘드셨던가 보다. 이 시를 읽다가 내 마음이 싸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