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가 좋다 - 온전히 나에게 집중하는 삶
프란치스카 무리 지음, 유영미 옮김 / 심플라이프 / 2018년 5월
평점 :
혼 술과 혼 밥이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혼자 밥을 먹고 왔다고 하면 주변에서 무슨 일이 있냐고 물어본다. 아무 일도 없이 혼자 밥을 먹는 것은 아직 이상한 일일까?
이혼 후 혼자 살게 된 저자가 느낀 혼자가 주는 시간의 힘과 자유에 대한 이야기는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부분들이 열거 되어 있다. 누구에게도 방해 받지 않고 혼자가 되어 오로지 자신만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은 누구에게나 꼭 한 두 시간은 필요 하겠지만 그 혼자만의 시간이 계속 영원하다면 그것이 행복할 것인가에 대한 화두의 답도 있다.
얼마 전 모 포털 사이트에 올라온 대가족일수록 행복지수가 높고 오래 산다는 기사를 읽으면서 궁금했다. 그와 반대의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은 이 기사를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하라는 것일까? 남의 일에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회는 늘 혼자 있는 사람들을 혼자 두려고 하지 않는다. 결혼이 늦으면 왜 결혼이 늦는지. 애를 낳지 않으면 왜 애가 없는지, 한명만 낳으면 혹은 그 한명이 아들이라면 엄마에게는 딸이 있어야 한다며 딸을 낳기를 강요한다. 그렇게 딸을 낳으면 행복하다는 걸까? 결국 누구의 선택이 아닌 나의 선택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그 선택의 옆에 놓인 참견은 때론 나의 행복을 갉아먹고 있는 것은 아닐까?
“통계를 믿지 말기를 권한다. 무엇보다 당신 자신의 생의 감정과 경험에 어긋나는 통계는 믿지 말라.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독신자들보다 더 건강하고 행복하며 수명도 길다고 말하는 연구들이 있다. 그럴 수도 있다. 그것은 누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40대 후반에 불행한 결혼 생활을 청산하고 난생처음으로 해방감을 누리며 오로지 자기 자신이 되어 살고 있는 중년 여성에게 묻는 것과, 그전까지 집안 살림을 온통 다 맡아 해주고, 온갖 자질구레한 일을 처리해주던 아내를 잃은 뒤로 냉동 피자와 담배로 연명하고 있는 중년 남성에게 묻는 것은 천지 차이다” 45쪽
저자는 혼자 있는 삶을 외롭겠다는 시선을 주지 말 것을 원한다. 혼자 있으므로 얻어지는 것이 많은데 혼자 있어보지 못한 사람들이 알지 못하니 그 참견은 거둬 두시라. 둘이 있어 행복했다면 싱글만이 얻을 수 있는 행복 또한 많다는 것을 잊지 마시라.
“싱글이 된 지 오래되었든 얼마 안 되었든 간에, 자신이 무엇에서 해방되었는지를 의식하라. 외로움이 엄습하면 파트너 관계를 전반적으로 미화하고, 예전에 자신이 경험했던 관계를 그리워하게 된다. 하지만 기억은 속이는 것이다. 다시 한 번 예전에 힘들었던 감정들을 떠올려보라.
헤어지고 난 뒤 어느 정도 지나면, 슬픔과 아픔이 다 물러가고 더 이상 과거를 동경하지 않는 시점이 온다. 대신에 안도감, 기쁨, 호기심이 솟아난다. 이 시가에 얻는 보물은 소중하다. 나는 다시금 온전히 나의 것이 된다.” 61쪽
그간 주도적인 삶을 살지 못했다면 혼자가 된 자신을 돌아보며 주도적은 삶을 살아 갈 수 있길 바란다. 그런 부분에서 저자가 하고 싶은 얘기가 참 많았지만 그 내용은 어쩌면 이 부분을 위한 얘기가 아니었나 생각되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독일인인 그녀도 혼자인 삶이 주변에서 바라보는 시선에 부담스러웠다는 얘기를 했다. 혼자 인 그녀가 마지막까지 혼자 있을 생각을 하며 안타까워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했다.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서 선택한 삶을 존중하며 살아가는 세상이야말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주변의 참견이 없고 다름을 이해 할 수 있는 그 중요한 포인트를 서로 인정해주는 삶. 꼭 혼자가 아니더라도 둘인 삶, 혹은 더 많은 가족과 함께 하는 인생이라도 그런 차이를 이해해주는 삶을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