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
롤랑 바르트 지음, 변광배 옮김 / 민음사 / 2015년 2월
평점 :
나는 철저히 내 관심사에 의해 소설을 통제하기를 원하지만 동시에 소설 속에서 주눅 들기를 원망(願望)한다. '소설 = 환상화된 형식'이라면 글쓰기-의지(스크립투리레, scripturire) ㅡ 소설을 쓰고자 하는 의지 ㅡ 또한 글쓰기-욕망에 복종할 수밖에 없으니 종국엔 동일 선상에서 환상화된다. 그리고 그 환상이란 심히 걱정스럽고 불가능해 보일지라도 이미 소설-준비로서의 과정에서 중요시되어야만 하는데, 더군다나 바르트에게 글쓰기 욕망은 자신이 파악할 수 있는 출발점을 품고 있으므로(p.228)ㅡ 그는 이미 매혹된 주체이자, 소설이 생산성을 띠고 태어난 변이된 산물이라는 정의와 은유 앞에서 반박할 수 없는 가련한 존재이기도 하다(하여 나는 그가 살아서 소설을 기획한다 한들, 소설의 외양을 갖춘 글을 쓴다 한들, '더럽게' 이타적이어서 '더럽게' 재미없는 결과물이 나왔을 거라 여기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가 필기구를 꺼내 메모하고 있는 순간에도 현재는 증발되고 당장의 포착조차도 제대로 할 수 없다(게다가 그는 기억력이 좋지 않다)ㅡ 그는 소설을 만들지 못하고 그저 소설 한 편을 만들 '것처럼' 하고 말 것이다…….(p.55) 사실 소설(문학)의 출발이란 모든 연속과 단속 위에서 너무나도 교활한 사물의 법칙에 의해 그 운동성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모든 것이 정지되어 있는 찰나의 현재, 잠정적 휴지에 접어든 한 장면의 파편을 대체 어떻게 기능하게 만들 것인가? 당연히 쓰는 것은 읽는 것과 대척에 있다. 그렇다면 글쓰기가 읽기를 쫓아내는 것일까?(p.409) 은유를 은유화하고, 결정적으로 실마리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간극을 메울 착상이 제대로 응집되고 서술되는 것은 일종의 수수께끼 같은 일이지 않던가? 맙소사. 베케트의 남자들이 줄기차게 읊어대는 대사가 이 진실을 재현하고 있을 따름이다ㅡ 「Nothing to be done.」
……비록 일상 속에 내팽개쳐져 있어도 심각한 죄의식의 회귀처럼 느껴지는 추락들은 참으로 많습니다. 바로 그것이 권태의 양면성입니다. 권태를 뒤로하고 글을 쓰지만 글쓰기를 막는 두 번째 권태가(어쩌면 첫 번째 권태가 전환된 것입니다) 작업의 내부에서 솟아난다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 나는 이 '작은' 권태에 대항하는 단 하나의 해결책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실용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합니다.
ㅡ 본문 p.440~441
내가 글을 하나 쓴다면 바르트와 궤를 같이하진 못할는지도 모른다. 문학을 사랑한다는 건 읽는 그 순간 현재(성), 즉각성에 관한 모든 의혹을 일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ㅡ 적어도 바르트에겐 그렇다. 그러므로 문학이 일종의 매춘이라는 내 의견이자 확고한 신념과는, 미끼로 사기를 친 뒤 주둥이를 한 대 갈겨서 물고기를 낚는, 전혀 다를 것이다. 물론 '현재'는 '현재적인 것'과 구분되며, 때문에 현재는 생생하고 현재적인 것은 소음에 불과하다는 생각은 맞다.(p.445) 동시에 문학이 가진 욕망이 더욱 생생하고 더욱더 현재적일 수 있다는 것도 맞다. 고삐 풀린 허무감 속에서 발을 동동 구를지언정 문학은 하나의 부속물로서가 아닌 그 자체로 개인적 우주를 들이받을 수(도) 있는 까닭이다. 글쓰기-의지와 글쓰기-욕망은 이로써 (비로소) 완성된다(완성이라는 단어에 가까워진다). 그렇다면 나는 반드시 무언가를 써야만 하는가? 나는 글을 쓰고자 하는 욕망을 지닌 생물인가? 익숙한 감정, 잡동사니, 반복의 공간, 비굴한 생활 전선, 이들 속에서 나는 어떤 식으로 글쓰기-의지와 글쓰기-욕망을 증명해야 할 것인가? 심지어 나는 '비현재'와 '비현재적인 것'마저 배제할 수 없는데도! 바르트가 글쓰기(문학)에 접근하려는 방식을 나는 때때로 참을 수 없다(이는 종종 '가독성'과 '단순성'에 관해서도 해당되는데, 본문에서 그 자신은 해당되지 않는 것처럼 말하기도 한다. 또한 하이쿠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상당량의 글에서도 그렇다). 그렇다면 플로베르에 의해 '절대적 글쓰기'는 본질이 되는가? ㅡ 「나는 한 사람의 인간-펜입니다. 나는 펜에 의해, 펜 때문에, 펜과의 관련 속에서, 펜과 더불어 더 많이 느낍니다.」 ㅡ 전달자가 아닌 주체적 인격을 지닌 작가로서 말이다 ㅡ 그리하여 여기서 '글쓰다'는 자동사가 된다(작가가 무언가를 쓰는 자가 아니라 절대적으로 그냥 쓰는 자라면).
나는 깊이, 다시 말해 완강하게, 다시 말해 계속해서 내가 쓰기 시작한 때부터,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 믿고 있습니다. 책 속에 저장되어야 하는 이 욕망을 말입니다. 언어활동의 욕망, 꽤 큰 언어활동의 욕망입니다 (...) 문학이 증언할 수 있을지 모르는 유일한 혁명은 끊임없이 새롭게 환기시키는 것, 다시 말해 욕망 속에는 고귀함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더 좋게는 고귀한 욕망이 되게 하는 것입니다 (...) 나는 왜 그것을 ㅡ 당장, 아직까지 ㅡ 만들지 않을까요?
ㅡ 본문 p. 483~484
그러나 이 극복되지 못함, 대기(待機), 유무한의 기다림이 글쓰기의 또 다른 난점일지도 모른다. 질서와 무질서의 공간인 테이블과 통합의 미덕을 발휘하는 밤[夜]의 시간 그리고 수첩과 필기구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 달린 옷은 차치하고라도, 누군가가 실제로 글쓰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ㅡ 단순히 페달을 밟는다고 해서 저절로 나아가지는 않는 것이며, 결코 아무것도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p.421) 위기가 있은 뒤 시동(始動) 작업이 있고, 그렇게 된다면 능동적으로 발견되는 것들(멋진 직관)이 있을 수 있다. 어떤 증거도 증언도 증인도 없는 봉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해진 도식에 맞추고 '상상적 직사각형'을 채워나가면서 말이다. 바르트는 끊임없는 가필을 언급한다. '마요네즈 기법.' 일단 마요네즈가 만들어지면 식용유를 무한히 더 넣을 수 있고, 그 마요네즈 덩어리 앞에는 이런 글이 끝없이 쓰여 있다ㅡ <어딘가에 더하기.> 그러나 이 '끊임없는 필기(혹은 두드리기)'는 그 자체로 끊임없는 리듬의 블랙홀인 것으로, 꽤나 까다로운 조각 모음이 될 공산도 크다. 이 조바심 앞에 무릎 꿇는 당황스러움은 나를 고장 내고 내 글을 고장 나게 하며 내 손에 있는 펜마저 부러뜨려버린다. (바르트는 많은 부분에서 귀엽게 분(扮)해 이를 대처하기도 하지만) 어쨌든 바르트에겐 '영원한 기다림'을 극복할 만한 재간은 없었던 것 같다(그가 죽은 때문이 아니다). 글쓰기-의지, 글쓰기-욕망, 이 고요한 무풍지대이자 거센 와류의 한복판에서 글을 쓰는 것(문학하기)이 어떤 방법론에 의지해 끝맺음을 가져갈 것인지는 그 욕망의 이전과 이후의 변화 속에서 이야기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전히 문학이란 환상은 좀처럼 확신할 수 없는(아무것도 잃을 것이 없는) 희망과 소원으로 남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