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傳 4 - 무너진 왕실의 화려한 귀환 한국사傳 4
KBS 한국사傳 제작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역사를 승자의 기록이라고 말한다. 어떤 분들은 이 이야기가 역사학의 근본부터 흔드는 이야기라고 한다. 자칫 잘못하면 국수주의로 흐를 수 있는 이야기이며 역사를 부정하는 이야기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반대 예들을 들어 반박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이는 순진한 발상이다. 역사는 사람들에 의하여 경험된 사실을 주관적인 관점을 통하여 해석하고 기록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넘어가기 때문에 발생하는 순진함이다.  

  E.H.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읽어 본 적이 있는가? 이 책에는 역사를 해석하는 두 가지 방법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다. 첫째는 객관적인 역사 서술 방식이요, 두 번째는 주관적인 역사 서술 방식이다. 객관적인 역사 서술 방식이라 함은 역사의 사실만 나열하는 서술 방식을 말함이요, 주관적인 역사 서술 방식은 이 역사에 대한 해석을 덧붙이는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은 역사란 철저하게 객관적일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역사의 사실만 기록한다고 할 때에도 사실 전부를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건의 경중을 가리고 취사선택을 하여 기록하게 되어 있는데 취사선택이라는 것 또한 역사를 기록하는 이의 주관적인 해석과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임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역사는 철저하게 기록하는 이들에 의하여 그 해석이 좌지우지 되는 것이며,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승자일 확률이 크다. 물론 패자가 역사를 기록하는 경우도 간혹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기록된 역사조차도 승자에 의하여 왜곡될 위험성이 너무 크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 것이다.(물론 여기에서 말하는 역사는 기록, 즉 문자를 통하여 남는 역사를 말한다.) 

  “무너진 왕실의 화려한 귀환”이라는 부제를 달고 나온 한국사전 4권을 받았을 때 갑자기 영화 반지의 제왕 3편이 떠올랐다. 왕이 귀환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화려하게 귀환하는 아라곤을 그리고 있는 통쾌함이 이 책에 담겨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책을 열었다. 그러나 책장을 넘길수록 그러한 기대감은 사라지고 역사의 저 너머로 사라져간 왕실 사람들의 고뇌와 슬픔을 접하게 되었다. 4권에 기록된 사람들의 면면은 “광해군, 위덕왕, 우씨 왕후, 공민왕과 노국공주, 혜경궁 홍씨, 흥성대원군”이다. 이들의 특징이 있다면 분명히 역사에 한 획을 그었던 사람들임에도 이상하리만치 역사적인 평가가 부족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폭군의 대명사 광해군, 이름조차 희미한 위덕왕과 우씨 왕후, 사랑놀음으로 정신 이상이 되어 고려를 말아먹은 공민왕과 노국공주, 슬픈 인생을 살면서 가슴 속에 한을 쌓다간 혜경궁 홍씨, 시대착오적이며 독선적인 흥선대원군! 이상이 위에 기록된 사람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역사적인 평가이다.  

  이 책에서는 “과연 그런가? 이것이 이들의 전부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이들을 재조명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역사 속에서 철저하게 매장되었던 이들의 존재가치를 다시 살려내기 시작한다. 현실정치, 국가를 위한 대의 명분, 정치적인 파트너를 잃은 슬픔 등 이들이 가지고 있었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매장당한 이들에 대한 기억을 다시 살려낸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한국사전 4권은 참 볼만한 책이다. 우리로 하여금 보여지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알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한 인물을 해석하는 가운데 있어서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 같다. 어떻게 해서든 주인공을 미화하려는 인위적인 모습들이 들어 있어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물론 이것은 책을 만든 출판사의 잘못은 아닐 것이다. 원래부터 한국사전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과정 가운데에서 나타난 문제점일 것이다. 주인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바꾸려다 보니 그들의 실책과 냉정함까지 바라보지 못했으며, 이로 인하여 또 다른 승자의 역사가 되어버린 것은 아닐까?  

  혜경궁 홍씨를 예를 들어 살펴보자. 혜경궁 홍씨만큼 논란의 대상이 될만한 사람이 없다. 책에서는 혜경궁 홍씨를 왕실의 여인으로서 어찌할 수 없는 현실 가운데 남편을 잃고, 아들을 잃고, 친정이 역적으로 몰락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살다 한중록을 남긴 한 많은 비운의 여인으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혜경궁 홍씨에 대한 정반대의 시각이 존재한다. 혜경궁 홍씨는 세자비로 간택되어 왕실에 들어가면서부터 철저하게 친정의 이익을 위하여 정치력을 발휘한 사람이라는 해석도 있다. 사도세자가 소론이었다면 혜경궁 홍씨는 노론의 중심이었다. 노론이 소론을 없애기 위하여 사도세자를 몰락시켰어야 했으며(물론 몰락은 죽음을 말한다.) 이 과정 가운데 큰 역할을 수행했던 사람이 헤경궁 홍씨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사도세자를 몰락시키기 위하여 애썼으며 정조를 세자의 직위에서 끌어내리기 위하여 세자는 아무것도 몰라도 된다는 발칙한 이야기를 거론한 것도 혜경궁 홍씨의 친정이었음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물론 이 책에서는 이런 부분들은 축소하였지만 말이다. 반대 의견에 대하여 더 자세한 것을 알고 싶다면 사도세자의 고백이라는 책을 읽어 볼 것을 권한다. 

  대체로 역사가 이렇다. 역사는 해석이다. 우리가 역사를 읽고 즐기는 이유도, 역사에서 무엇인가 배울 수 있는 이유도 역사는 해석이기 때문이다. 그저 받아들이려하면 역사는 죽어 박제화 되어 버린다. 그러나 즐기려고 하고 해석하려고 한다면 역사는 살아 숨쉬며 우리의 일상으로 걸어들어 올 것이다. 역사를 즐기게 해준 한국사전 4권에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