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86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도 낮설면서도 익숙한 이야기가 또 있을 수 있을까?

어렸을 때 이 책을 어린이 문고본으로 읽은 것 같기도 하다. 워낙 오래된 일이라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아마도 그때 이 책을 완독하지 못했었나 보다. 이렇게 낮선 걸 보면 말이다. 단지 기억나는 건, 히스클리프가 입양되어 와서 머리 빗는 걸 가지고 밀고 당기고를 했던 것 하나가 생각이 난다. 난 왜 이것을 잊지 않고 있었던 걸까? 그리고 나름 캐서린과 히스클리프가 꽤 다정한 사이였던 것으로 아는데 다시 읽어보니 참 낮선 방법으로 사랑했던 것은 아닌가 한다. 어쩌면 그리도 미워하면서 사랑을 할 수 있었던 걸까?

보통 사랑을 한다면 따뜻하고 밝은 느낌 또는 불 같은 사랑의 이미지를 생각하지만, 미움에서 사랑을 발견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참 흔치 않는 이야기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사랑과 미움을 교차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작가의 상상력은 가히 천재적이란 느낌이 든다. 또한 영국 특유의 안개에 쌓인듯 암울하고 스산한 사실적 묘사가 운치를 더한다.

 

이야기의 시작이요 얼개는 사실 간단한지도 모르겠다. 어느 날 아버지가 여행에서 돌아오면서 한 남자 아이를 데려와 양아들로 삼는다. 아버지는 양아들을 편애해 아들의 미움을 사고, 여동생은 그를 사랑한다. 하지만 캐서린은 히스클리프를 사랑하지만 다른 사람과 결혼한다. 뭐 대충 이런 얼개는 그동안 드라마나 여타의 애증을 소재로한 영화나 소설에서 보암직한 내용들이다. 하지만 이 작품을 보면서 또 그런 얘기네 하면 그건 실상 잘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은 이 작품에서부터 그런 이야기가 파생됐을지 모르겠다. 중요한 건 작가마다 그런 얼개를 어떻게 요리하고 이야기 가능한 이야기로 만들 것이냐는 작가의 역량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점에서 작가는 탁월한 이야기 솜씨를 구사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참 사촌끼리도 결혼이 가능한 옛 유럽의 결혼방식이 좀 특이하긴 하다. 어떤이는 바로 이점이 하나의 유럽 공동체를 만든는 원동력이 됐을 거라고 하기도 하는데 읽으면서 정말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2대에 걸친 사랑과 증오의 가족사를 꼼꼼하게 그려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세대가 그렇게 삐뚤어진 사랑을 하고 그로인해 불행한 가족사를 그렸다고 한다면, 그 다음 세대는 그것을 어떻게든 바로잡으려고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 그런 것을 반복하며 가족은 대를 이어갈지도 모를 일이다. 

 

특이한 건 이 이야기가 각자 개체의 이야기가 아닌 누가 누구에게 고백하는 고백체에서 이야기로 들어가는 액자 소설격 형식을 띠고 있는데 이런 모든 것들이 아름답고도 스산한 명작을 탄생시켰다는 것이 놀랍다.

하지만 역시 그 어둡고 스산함 때문인지는 몰라도 흡입력이 있다고는 볼 수 없을 것 같고 읽는데 조금은 고전했다. 하긴 고전 대부분이 그렇지 않은가. 고전할 것을 마음 먹는다면 한번쯤 도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2-02-18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디어 다 읽고 리뷰 쓰셨네요. 난 이 책을 30대 초반에 읽었는데, 진도는 그런대로 잘 나갔으되 큰 감흥은 없었는데, 어떤 글쟁이 친구가 이 책을 너무 재밌어서 세 번이나 읽었다고 해서 질투를 느꼈었죠. 내가 모르는 뭐가 있나 보네, 하면서... ㅋㅋ

취향, 경험의 차이인 듯.

이런 비슷한 사랑을 해 본 사람이라면 아마 이 책에 열광하겠죠. 누구를 열렬하게 짝사랑 해 본 사람만이 <베르테르의 슬픔>에 빠지듯 말이에요. 베르테르의 슬픔은 두 번 읽었는데, 두 번째가 훨씬 좋아서 책이란 읽을 적마다 그 느낌이 정말 다르다는 걸 실감했어요.


2012-02-18 13: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2-18 13: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2-02-18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 이제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다 읽으셨으니, 샬럿의 제인 에어도 읽어보세요 ^^

stella.K 2012-02-18 14:23   좋아요 0 | URL
ㅎㅎㅎ 그럴려고.
이거 말은 꺼내놨으니 지켜야겠지?ㅋㅋ
제발 제인에어는 폭풍의 언덕 같지는 않게되길 바라고 있어.ㅠ

비로그인 2012-02-20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전을 읽는 데 고전하셨군요 ㅎㅎ <폭풍의 언덕>은 제대로 읽은 기억이 안 나요. 한 번 들춰본 것 같기는 한데... 내용이 생각나지 않는... 아마 저도 스텔라님처럼 한 순간 이 책을 스쳐지나갔나봐요. 중학교 때 친구가 이 책을 추천해주었었는데, 저는 이 책이 뭔가 불길하고 마음에 안 들어서 대신 <제인 에어>를 감명 깊게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

stella.K 2012-02-20 12:53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저도 제인에어는 폭풍의 언덕 보다 재밌게 읽은
기억이 나요. 지금은 내용이 하나도 기억에 없지만.
뭐 수다쟁이님 말씀도 있고 하니 좀 덜 고전하리라 믿으면서
3월을 기약하렵니다.^^

아이리시스 2012-02-20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빨리 읽으셨어요! '의식의 흐름' 기법이잖아요. 분명 잘 안 읽혀요. 잘 읽히는 사람은 좀 문제가 있는 사람이 아닐까..( '') 굉장히 빨랐어요. <제인에어>도 좋을 것 같아요. <테스>랑 3종 세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tella.K 2012-02-20 17:54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읽으면서 <테스>가 많이 생각나더만요.
근데 그게 의식의 흐름 기법이었나요?
그것도 모르고 읽었슴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