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이도우 지음 / 수박설탕 / 2022년 7월
평점 :
지난 2004년 초판이 나온 이래 2022년 기준 110쇄까지 나왔다고 하니 이 책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젊을 때도 읽지 않았던 로맨스물을 이제야 읽는 건 저 통계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어떤 책이길래 110쇄...? 하는) 순순하게 책 읽는 재미를 느껴 보고 싶어서일 뿐이었다.
일단 작가가 물 흐르듯 막힘없이 글을 잘 쓴다. 무슨 단막극이나 영화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수채화 같기도 하다. 수채화가 같은 이야기가 그렇듯 등장인물들이 대체로 착하고 밝은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차분하면서도 진지한 공진솔도 좋지만 이건의 캐릭터가 마음에 끌린다. 꾸밈이 없고, 담백하고, 으샤으샤를 잘하는 은근한 매력이 있다. 이런 캐릭터 흔할 것 같지만 사실 흔하지 않다. 설혹 있다고 해도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설 같은 단점이 있다. 그런 사람은 내 차지가 되지 못하며 이미 누군가의 애인이 되어 있다는 점. 내가 로맨스물을 좋아하지 않는 데는 그 특유의 오글거림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시 남의 얘기 같아서다. 이 책도 봐라. 건은 진솔의 남자라는 걸 확인시켜 줄 뿐이다.
여기엔 크게 사랑에 대한 4가지 태도를 가진 사람이 등장한다. 사랑에 빠져들지만 신중한 진솔. 사랑 같은 거 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결국 사랑하게 되는 건. 사랑보다는 자유가 더 좋다고 하는 건의 친구 선우. 그런 선우를 언제나 무한히 기다리는 애리. 그런데 읽다 보면 왠지 애리와 선우는 진솔과 건의 페르소나 같기도 하고 어쨌든 뭔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그런데 우리의 건. 다 좋은데 때로 종잡을 수가 없다. 남한테 잔뜩 기대하게 만들어 놓고 내가? 언제? 하며 발뺌하는 혼미한 스타일이기도 하다. 하긴 인간이란 원래 종잡을 수 없는 구석이 있다. 진솔이 좋아할 만한 짓은 다 해 놓고 심지어 진솔의 구애도 받고, 그 구애에 긍정적으로 생각해 본다더니 역시 건은 아직 진솔을 사랑할 마음이 없는가 보다.
어느 날 애리와 선우가 싸우는데 갑자기 끼어들어서 화를 막 내더니 애리에게 자기에게 오라며 진솔과 차곡차곡 쌓아갔던 연애에 찬물을 끼얹는다. 그렇다. 건은 바보스럽게도 친구의 애인을 좋아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진솔의 사랑에 미온적이었고. 아무리 애리에 대한 감정을 정리했다고 해도 불온하다. 거기에 흔들리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고 보면 감정이란 건 마음의 작용이 아니라 뇌의 작용인지도 모르겠다. 그 작용이 정확히 인지한 대로만 작동하면 얼마나 좋겠는가. 전혀 생각지도 못한 지점에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생각지도 못한 방법으로 뒤통수를 가격한다. 그때 상대도 당황하겠지만 본인은 또 얼마나 황당하겠는가. 순간 모든 것이 정지되고 세상이 얼음으로 변한 것 같다.
건은 어쩌면 어떤 부조리한 상황에서 트라우마가 건드려진 것인지도 모른다. 결국 그들은 사랑하다 길을 잃었다. 단 한순간의 행동으로 모든 것이 의심스러워지는 상황이다. 그럴 때 내가 진솔이라면 또는 건이라면 어떻게 행동할까? 일단 책을 덮고 (또는 다 읽고라도) 한 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솔직히 이들의 관계가 '여기서 돌아킬 수 없는 파국'이라면 얘기할 가치도 없다. 하지만 계속 사랑할 마음이 있다면 위에서 말한 뇌의 작용, 쉽게 말하면 부조리한 상황은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 어떻게 다시 벌어질지 모른다. 이번엔 건이지만 다음번엔 진솔일지도 모른다.
아무리 남녀의 사랑이라고 하지만 사랑은 정염, 즐거움, 애틋함, 그리움 뭐 이런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랑은 어려운 일이다. 바다를 가르고, 높은 산을 넘는 일만큼이나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사랑을 한다. 사랑하는 일이 사랑하지 않는 것보다 나으니까 그러는 것이겠지. 즉 관건은 그럴 때(마다) 관계의 회복을 위해 서로가 얼마나 노력하느냐가 아닐까?
건이가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 건, 자신이 그런 실수에도 불구하고 진솔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는 것이다. 물론 노력만 했다고 되는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게 노력하다가도 어느 순간은 진솔을 포기한 것도 같다. 원래 사랑은 아니 세상의 모든 관계는 다 밀당 아닌가. 단시간 내에 뭔가를 결판내려고 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것도 없다. 그런 점에서 건은 고단수인지도 모른다. 그렇게 하는 가운데 천천히 진솔의 마음을 자신에게로 끌어오는 것이다. 어떻게 얻은 사랑인데 뇌의 순간적인 오작동으로 사랑을 잃어버리겠는가. 그러다 보면 상대도 자신의 사랑에 다시 한번 기회를 줘봐야 하지 않을까 뭐 그런 생각해 보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책에 '세상의 모든 사랑이, 무사하기를' 기원했는가 보다.
이 책이 나온 지도 내년이면 20년이 된다. 그동안 (작가의) 건이와 진솔의 기원이 변함없이 이루어졌을까? 아직도 우리의 사랑은 조금의 잘못도 용납하지 못하고 헤어지니 마니하며 유아적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마치 사랑하면 헤어지는 게 목적인 양 빨리 만나고, 빨리 헤어져 온 것은 아닐까. 거쳐야 할 뭔가의 단계를 훌쩍 뛰어넘고 결국 혼자가 되는 것이다. 그 얼마나 사랑을 소모적으로 하는 것일까. 또는 그와는 반대로 연애에 실패만 해 오다가 귀찮아서 다시 시작도 못하는 건 아닐까. 모르긴 해도 이게 갈수록 가속화되지 느려지거나 완화되지는 않을 것 같다. (그건 아마도 미디어의 영향도 클 것이다. 짤 영상을 그리도 많이 보니 사랑도 짤로 하는 거 아닌가.) 그러고 보면 이런 잘 쓴 로맨스물 그것도 400페이지가 넘는 소설이 대안이 될 수도 있겠단 생각도 든다. 만약 읽는다면 말이다.
내년이면 20년. 이렇게 오래도록 사랑받는 비결이 뭔지 궁금하기도 하다. 왠지 어디선가 본듯한 느낌도 들지만 이야기 자체는 그리 오래지 않은 느낌이다. 작가가 이 소설을 썼을 때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모르긴 해도 진솔과 엇비슷하지 않았을까. 원래 작가들은 자신의 현재의 나이를 등장인물에게 투영을 잘 하는 법이니까. (더구나 이 책이 작가의 데뷔작 아닌가.)
초반에 진솔이 아직 건을 사랑하기 전 무슨 말 끝에 이런 말을 한다. 나이 먹어서 사랑이 힘들어지는 건 남자 여자라는 정체성이 점점 사라지고 더 이상 이성에게 잘 보이고 싶은 본능이 없어져 가기 때문이라고. 글쎄, 정체성이 점점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경계가 모호해진다고 해야 맞는 말 아닐까? 아무튼 나도 한때는 작가와 같은 생각을 했었다. 지금은 작가도 중년이 되었을 것이다. 지금도 같은 생각인가?
나이 들면 연애 세포가 줄어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아주 없어지는 건 아니다. 그것도 언제 어느 때 불쑥 나타나 우리를 당황하게 만들지 알 수가 없다. 앞서 말했던 건이의 실수처럼 말이다. 그래도 사람이 나이가 든다는 건 지킬 것이 많아진다는 것이기도 하다. 가정이나 쌓아 온 명예, 권위, 신망 등. 게다가 꼰대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도덕과 윤리까지 생각해야 한다. 언제까지 사랑 하나에 목숨을 걸 수 없다. 젊었을 땐 그래도 된다. 그래야 좋은 유전자를 남길 테니까. 하지만 나이 들면 그보단 인류애, 전우애, 자바와 긍휼 등으로 확장된다. 그것도 분명 사랑은 사랑이다. 그게 하찮은가? 대신 그들에겐 중후미라는 게 있다. 이건 절대로 갑자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젊었을 때부터 가꾸고 다듬어야 나올 수 있다. 그러므로 나도 기원하고 싶다. 이들의 이런 사랑도 무사하기를. (아, 그렇다고 오해하지 말기를. 나이 든 사람도 정열적으로 사랑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작가의 사랑도 무사하기를 독자의 한 사람으로 기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