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 씁쓸한 연말의 비결은?
계획단계부터 엉성하게, 그러면 덜 가혹해질 연말 평가. 아직 "2023년"이 입에 붙지도 않았는데 2024년 달력이 나왔냐고 자조하는 지인과 함께 웃었다. 나도 2023년 1월 1일이 곧 온다고 착각하니까. 그렇게 뇌를 속여봐야 뭐하니? 2024년이 3주 앞이다.
뚜렷한 발자국 못 남기는 2023년, 12월에라도 분발해야 하는데 자꾸 책에 손이 간다. 그것도 고구마 줄기 캐듯 한번 쥐면 놓기 싫은 주제 독서! '법의학'과 '법의인류학'을 두 주일째 파고 있다. 이 분야는 언제 읽어도 짜릿하다.
피, 뼈, 시신, 부패, 시취......
현실에서는 이런 단어조차 입에 못 올릴 겁많은 내가 활자화된 죽음 이야기엔 용감하게 다가간다. 아마도 죽음 그 자체보다도 인간이 죽은 다른 인간을 대하는 태도와 방식에 매혹되는 것 같다. 생명이 꺼진 다른 인간 몸을 내려다보는 인간에게서 원초적 감정은 유예되고 대신 '직업적 훈련'이 조련해낸 전문가적 냉철함이 유지되는 점은 (법의학 모르는 일반인 눈에) 참 신기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10/pimg_7576931184111524.jpg)
궁금하다.
법의학자 리처드 셰퍼드의 [죽음을 해부하는 의사]나 법의인류학자 수 블랙의 [뼈의 증언]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죽음에 대한 초연한 태도는 직업적 에토스인지, 영국이라는 맥락과 관련된 것인지 몹시 궁금하다. 또한 두 책에서 언급되는 범죄 사례에 가족간 살해가 많이 등장하는 양상이 영국적인 것인지도 궁금하다.
적어도 리처드 셰퍼드 박사에 따르면 "의도된 죽음"의 양상(사인, 가해-피해자 관계 양상 등)에는 연령대, 즉 삶의 단계가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테면, 어린 시절에는 가정폭력, 젊은 날에는 연인이나 친구, 중년기에는 술 등 중독 행위 혹은 부부갈등 등 가족문제, 노년기에는 사소한 이벤트의 나비효과가 죽음으로 치달는 경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