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둥병

# 한센인

 # 빌라도

  [질병, 낙인](김재형 2021)를 읽다가 오래 잊고 지냈던 단어들을 만났다. #소록도, #문둥병. 아 어색해라...이 단어들이 아득하게 느껴지다니, 시간이 많이 흘렀구나...아멜리 노통브의 신간 [갈증]을 읽다가도 오랫만에 듣는다. '빌라도' '골고다' 

   소설 [갈증]의 도입부 설정은 굉장히 참신했다(혹은 누군가에게는 불경하다). 아멜리 노통브는 예수의 기적을 경험했던 이들이 어떤 죄목으로 그를 비난하는지를 작가 특유의 조소 어린 문체로 묘사한다.


심지어 내가 병을 고쳐 준 아이의 엄마는 내가 그녀의 삶을 망쳐 놓았다고 비난하기까지 했다. 

"아이가 병에 걸렸을 때는 얌전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도무도 가만히 있질 못해요. 어찌나 소리를 지르고 울어 대는지 잠시도 편히 쉴 틈이 없다니까요. 밤에도 잠을 잘 수가 없어요."

"당신 스스로 피고인에게 아들의 병을 고쳐 달라고 부탁하지 않았나요?" 내 국선 변호인이 물었다

"병을 고쳐 달라고 했지, 병들기 전의 말썽꾸러기로 되돌아가게 해달라고 하진 않았어요."



프랑스어를 날름날름 띄엄띄엄 배웠어도, 프랑스어에는 한국어 "해갈"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다는 것을 [갈증soif]을 통해 처음 알았다. 제목처럼 [갈증]에는 갈증이 해소될 때의 황홀한 감각이 자주 언급된다. 소설 속에서 예수는 자신을 "인간 중 가장 체현 incarnation된 존재"(15)라면서 감각할 수 있는 최상의 감각도 갈증과 연결짓는다. 



  • 목마른 자가 물잔을 입술에 갖다 대는 형용할 수 없는 순간, 그것이 바로 신이다.(52)
  • 십자가를 져야 할 때 수분 부족은 나를 더욱 힘들게 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갈증이 날 보호해 주리라는 것을 알 정도로 나 자신을 잘 알고 있다. 갈증은 그 정도로 심해질 수 있다. 다른 고통이 덜 느껴질 정도로 (53)
  • 요한의 복음서 4장 14절, "이 물을 마시는 사람은 영원히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제자가 왜 이런 터무니없는 말을 했을까? 주님의 사랑은 결코 해갈해 주지 않는 물이다. 그 물은 마시면 마실수록 목이 더 마르다. 그것은 욕망을 누그러뜨리지 않는 쾌락이다! (116) 
  • "내가 구원받았다는 증거다. 그렇다. 극도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지만 나는 아직 물 한 모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다. 나의 믿음은 그 정도로 온건하다."(!15)"


아멜리 노통브가 전면에 세운 제목은 [갈증]이지만, 이 소설의 핵심어는 "체현"이 아닐까? 소설 속 예수는 말한다. "나는 아직 육신을 가지고 있다. 나는 결코 지금만큼 체현되어 본 적이 없었다."(111) 소설 속 예수는 "몸은 정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41)다며, "체현된 존재"로서 "아버지의 실수"를 지적한다.  [갈증] 후반부를 다시 읽었어도, 아멜리 노통브가 진정 무엇을 이야기하려는지 파악이 어려운 이유는 뭘까? "체현," "몸과 정신(이라는 이분법)" "감각 내의 위계"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생소해서일까? 아멜리 노통브 소설 특유의 막바지 클라이맥스나 반전이 없어서였을까? 일단 멋진 문장부터 옮겨놓고, [갈증]을 읽으실 다른 독자분들의 생각을 기다린다. 



갈증을 느끼기 위해서는 살아 있어야 한다. 나는 너무나 강렬하게 살아서 목마른 채 죽음을 맞았다.

영원한 삶이란 아마 그런 것이리라. (147)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레삭매냐 2022-02-22 14: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노통브도 책쟁이 초기 시절에
참으로 즐겨 읽었더랬는데...

어느새 멀리하게 되었네요.

푸른 수염인가부터 다시 만나
보고 싶더라는. 호곡 무려 8년
전에 나온 책이네요 하 -

얄라알라 2022-02-22 17:57   좋아요 0 | URL
읽고도 ˝뭔미?˝싶어서 후반부, 젤 이해 안 되던 부분 다시 봤거든요...
제가 신학을 몰라서 그런지 어려웠어요
이 책 옮긴이 이상해의 해제조차 어렵게 느껴지더라고요.

예전의 노통브와는 사뭇 달라진 느낌이네요.

이안 메큐언의 바퀴벌레도 읽을까말까 하는 중인데^^:

transient-guest 2022-02-23 09: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멜리 노통브. 이름은 아주 익숙한데 이름 말고는 떠오르는 것이 없네요. 책의 세상은 너무 넓고 깊어서 이렇게 평생 헤매다 갈 것 같아요.

얄라알라 2022-02-23 10:47   좋아요 2 | URL
프랑스어, 프랑스 소설이 왠지 멋진 것 같다는 생각에 일부러 프랑스 소설만 읽던 시기가 있었는데
예전 노통브 작품은 통통 튀면서 (오만한) 자의식이 드러났던 것 같아요^^:; (저도 잘 모르지만요)

이작품은 초창기 작품들하고는 후반부의 마무리나 느낌이 사뭇 달랐어요.

transient님은 저보다 훨씬 다양한 장르, 다양한 국적 작가의 책들을 읽으셔서 저는 따라가지도 못합니다

프레이야 2022-02-23 11:0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한때 노통을 읽었는데 신간이 나왔군요.
특유의 문체가 그대로인가 봅니다.
52쪽 인용문 눈이 번쩍하네요. ^^

얄라알라 2022-02-23 11:08   좋아요 1 | URL
프레이야님께서는 52쪽^^
저는 사실 ˝체현˝이라는 단어가 학술 논문에만 등장하는 단어라 생각했는데
소설에 수 차례 등장하니, 그 부분이 가장 인상깊었어요^^

감은빛 2022-02-23 22: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이나 작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지만, 갈증이란 현상과 물을 향한 강한 욕망에 대해서는 잘 알지요. 다른 어떤 음식도 다 필요없고 딱 시원한 물 한 모금이면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은 느낌을 잘 알아요.

2022-02-23 2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