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IGER
구시키 리우 지음, 곽범신 옮김 / 허밍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어둠 속에서 몰래 다가와 단숨에 먹이를 낚아채는 사냥꾼
야생의 왕 호랑이는 그렇게 사냥을 한다.
이 책 TIGER는 그런 호랑이의 사냥처럼 주변의 경계를 뚫고 목표물인 어린 소녀들에게 소리 없이 접근해 사냥에 성공한 소아성애자이자 변태 성욕자인 한 범죄자의 체포기를 다루고 있다.
뉴스에는 30년 전 어린 소녀들을 납치해 능욕한 걸로 모자라 잔혹하게 살해했던 죄목으로 수감된 두 명의 사형수 중 한 사람이 병사한 소식이 들려온다.
그 뉴스를 본 은퇴한 경찰 호시노 세이지는 사건 발생 당시 특별 수사대에서 서류작성을 담당했었을 뿐만 아니라 사건 수사 당시에도 범인으로 특정된 두 사람이 범인상에 맞지 않는다 생각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이런저런 의혹에도 당시 시행된 DNA검사에서 일치했다는 이유로 모든 의혹을 불식시키고 그렇게 사건이 종결되었던 그 사건을 다시 한번 조사해 보고 싶은 세이지는 손자를 끌어들여 함께 재수사에 착수한다.
이런 재수사를 통해 하나둘씩 밝혀지는 진실은 사형수 두 사람이 진범이 아닐 수도 있다는 확신이었다.
그리고 함께 수사를 돕던 손자와 손자의 친구를 통해 인터넷으로 이 모든 과정을 업로드하면서 언론을 포함 세간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다.
이 책은 그런 세이지와 손자 및 그를 돕는 주변 사람들이 사형수가 아닌 진짜 범인이면서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은밀하게 음지에서 살아남은 범인 찾기 과정에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두 명의 소녀들이 납치되어 폭행당한 채 사망한 사건이 어떻게 범인을 특정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실수나 선입견이 끼어들 여지는 없었는지 모든 과정을 다시 한번 재조사하는 과정을 그야말로 흥미진진하면서도 설득력 있게 그려놓아서 책에서 손을 놓기 힘들었다.
이런 과정에서 당연히 공권력의 저항이 있을 수밖에 없었지만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 역시 이미 끝난 사건이라는 이유로 다른 혐의점이 드러나도 재수사를 하기는커녕 오히려 세이지와 팀이 하는 일에 색안경을 끼고 방해하기 일쑤였다.
어쩌면 이들의 조사를 통해 그들이 잡아들인 범인이 진범이 아니라 누명을 쓰고 억울하게 옥살이를 했다는 게 밝혀질 경우의 파장을 고려하고 그게 자신들의 안위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종종 범인이 아님에도 억울하게 누명을 써 옥살이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들이 아무리 자신은 죄가 없다 억울하다고 하소연해도 애당초 경찰들이 그들을 주목한 이유가 전과 기록이 있거나 자신의 무죄를 입증할 만한 능력이 안되는 사람일 때가 대부분인 걸 보면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새삼 떠오른다.
오래된 사건에서 당시에는 무시했던 작은 단서를 쫓아 범인에게 한 발짝씩 다가가는 과정을 흥미진진하면서도 늘어짐 없이 그리고 설득력 있게 그려낸 TIGER
가독성도 좋았고 스토리 흡인력도 좋았던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