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의 자기분석 - 당신의 천직을 찾아주는
우메다 사치코 지음, 박주영 옮김 / 알키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대학을 갓 졸업하고 취업을 알아 볼 때, 전공도,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도, 하고 싶었던 일도 진지하게 생각 해 보지 못했던 것 같다.  

첫 직업은 삼년이라는 시간을 보내고 난 후 난 그 일에 대해 급격히 만족도가 떨어지고다른 일을 찾고자 하는 나를 보게 되었다.그리고 과감하게 그 일을 그만두고 다시 공부를 시작..

그리고 졸업 무렵 하고 싶었던 일이 생겼다. 그렇게 전공을 살리고 하고 싶었던 일을 시작했는데, 처음 들어간 회사에서는 내가 원했던 일들을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몇 개월 되지 않아 이직을 했다. 이직을 한 회사는 내가 들어가고 싶었던 회사였고, 나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일에 만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그 일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설 때도 간혹 있었다.

어쩌면 안일한 삶을 살아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그 일 자체가 내가 좋아하기는 하지만 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두 아이를 낳고 육아에만 전념하고 있는 지금, 다시 사회 생활을 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다. 그렇지만, 전처럼 무턱대고 아무일이나 시작할 수는 없었다. 일단 아이들이 어리기에 일을 한다고 하더라도 아이들이 나를 필요로 할 때는 옆에 있어 주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기에 너무 많은 시간을 얽매여 있어야 하는 직장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하고 싶지는 않았다. 이런 저런 생각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이 뭘까? 다시 한번 생각을 해 보는 시간을 갖고 싶었다.

 

그렇기에 <최강의 자기분석>은 어쩌면 나를 조금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하게 했다.

 

이 책에서는 자신만의 특성을 찾고, 특성이 강점이 되게 하는 방법을 알려 주려고 한다.

책의 전체젖ㄱ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자기분석

'일로 살릴 수 있는 강점'을 찾는 자기분석

'잘하지 못해 참을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는 자기분석

'즐겁게 할 수 있는 일 x 강점을 살린 일'에 적합한 직업 고르기

각각의 자기분석은 저마다의 특화된 워크시트로 이루어져 있다. 31개의 워크시트를 순서대로 작성해 나간다면 당신만의 천직을 찾을 수있을 것이다.(p.7)

 

책장을 넘기며 책의 내용들을 읽어 내려가는데는 별반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러나 막상 워크시트지를 작성하려고 하니 머릿속에 생각들은 많아지고 정리는 잘 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진지하게 고민을 할 시간이 그동안 없었던 영향이 가장 큰 것 같다.

그 동안 무작정 이러이러한 일들을 하면 아이들에게도 엄마의 역할을 하면서 내 일을 할 수 있을거라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것들을 글로 풀어 쓰는 작업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내 스스로가 더 진지하게 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을 수 있었다.

워크시트를 마무리 할 무렵 찾게 되는 직업은 아무래도 그동안 내가 머릿속으로 그려왔던 일들 중의 하나가 될 거라는 생각은 든다.

아직 워크시트를 다 작성하지 못했다. 조금 더 천천히 여유있게 그리고 진지하게 내 모습을 그려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코몽2 두들북 - 물로 그리는 그림책 물로 그리는 그림책
아이즐북스 편집부 엮음 / 아이즐북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물로 그리는 그림책을 전부터 아이들에게 만나게 해 주고 싶었다. 아직 손에 힘이 부족한 두 녀석들 그림을 색칠하라면 정말 뚝딱 끝내버린다.  

색칠하는 게 재미가 없어서인지.. 아님 다른 무엇인가 더 중요한 게 있는 것인지..

한번도 접해 본 적이 없었던 물로 그리는 그림책..

두 아이가 모두 코코몽을 좋아해서 냉장고 나라의 사계절을 볼 수 있는 Doodle Book을 아이들이 좋아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한가득 담아 봤다.

 


붓을 처음 사용해 보는 작은 아이(17개월).. 워낙 물을 좋아해서 그런지 붓을 들고 쓱쓱 칠을 해 댄다. 물이 묻은 붓이 지나간 자리에 모양이 나오는 게 신기했던지..

책 이곳 저곳에 온통 물칠을 해 놨다..

코코몽을 좋아하는 아이여서 그림에 나타난 캐릭터 하나하나 누구인지를 물어보고, 답하면서 두들북을 활용했다.


요렇게 두 아이들이 사이좋게 두들북을 칠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니, 그 동안 아이들을 너무 방치했구나 싶은 생각에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책 한권과 붓 물만 있으면 조용하면서도 이렇게 자기들끼리 즐길 줄 아는데..

엄마의 무관심이 아이들을 외롭게 했구나 싶어 반성!!

 

두 아이가 신나게 물칠을 해 놓은 냉장고 나라의 사계절..

큰아이(41개월)와 본격적으로 책을 활용해 봤다.

싱싱나라의 봄부터 겨울까지 물로 그림을 그리고 나타난 그림을 보면서 코코몽 친구들 찾기를 했다.

캐릭터들 찾기부터, 무엇을 하고 있는지 행동을 이야기 할 수도 있고, 수도 셀 수 있었다.

그림만 그리고 끝나면 정말 많이 아쉬울 뻔 했는데..

책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어 아이들과 이야기 하기에도 좋았다.

 

한 삼일을 연달아 아이들이 이 책을 활용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작은 아이는 이 책을 들고 오면서 붓에 물을 넣어 달라고 하고, 혼자 앉아 그림을 칠하고 있다.

큰아이는 혼자 붓에 물을 넣는 것을 알려 주었더니 동생 재우는 시간에 혼자 붓에 물을 받아 그림을 그리고 있다.

여러번 활용을 해서 그런지 책이 물을 먹어 종이가 우둘두둘 해지긴 했지만,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한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붓을 사용할 때 물의 양이 조절이 되지 않아 주변이 물바다가 될 수도 있다는 것..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하는 책..

어린이집에 다녀 오면 또 이 책부터 찾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의 스트레스
오은영 지음 / 웅진리빙하우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두 아이의 엄마로 살아가면서 아이들을 잘 먹이고, 잘 놀아주고도 싶었다. 그리고 집안일에 나만의 시간도 갖고 싶었다. 그렇게 하고자 하니 욕심에 비해 할 수 있는 것들은 정해져 있었다. 그래서 아마 스트레스를 받았던 거 같다. 계획했던 대로 되지 않아 엄마가 받는 스트레스로 아이들은 본인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엄마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도 있겠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다.  

두 아이가 엄마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잘 놀 때도 있는데, 큰아이는 꼭 엄마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함께 역할놀이를 하길 원하는 큰아이.. 그러나 큰아이와 함께 역할놀이를 하는 것이 영 어색하기만 하고, 작은 아이가 배제된 상황에서 두 아이를 곁눈질 하게 되어 온전히 한 아이에게 집중을 할 수가 없다. 

아이 자체를 인정해 주지 못하고, 어른들의 기준에 맞추려고 부단히도 노력했던 시간들.. 아이는 조금씩 변화하긴 했지만,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을까?

아이에 대해 신경을 쓴다고 하지만 정작 뒤돌아보면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춰지는 내 아이의 모습에 신경을 썼던 것 같다.

아이를 유심히 들여다 볼 여유를 갖지 못했다고 해야할까? 그래서 아직도 아이가 보내는 신호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

그렇기에 두 아이들은 엄마와의 의사소통 부재로 또 한번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겠지?

어느 순간부터 너무나 열심히, 아이가 정말 말하고자 하는 것을 듣지 않고 있었다. 결승점이 어디인지를 잃어버린 마라토너처럼 자신이 어디로 향해 가고 있는지, 무엇을 위해서 뛰고 있는지를 잊고 그저 정신없이 달리고만 있었다. 부모는 달리느라 아이의 생각, 아이의 느낌, 아이의 주장, 아이의 목소리에 마음을 열고 귀 기울여 들을 틈이 없었다. 그런데, 모든 문제는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요즘 부모들은 어찌 보면 완벽하리만큼 부모라는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지만 그 역할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가 철저히 빠져 있었다. (p.7)

 

어쩌면 내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내 모습을 그리고 있는 듯이 느껴졌던 부분이다. 아이를 위해 부모의 역할을 한다고 하고 있지만 정작 내 자신도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잊고 있었던 거 같단 생각이 들었다.

정말 내 아이들을 위하는 내 행동들이 아이들을 위한 것일까?

 

책장을 넘기면서 이렇게 많은 부분들에 밑줄을 긋고 싶었던 책도 많지 않다. 현상만을 보고 아이를 파악했던 일들, 정작 아이가 말하고 싶어했던 본질은 읽지 못한 엄마였다.

그 동안 보아왔던 육아서의 내용들을 흉내내며 나름 진지하게 엄마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고 생각을 했다. 그렇지만, 그 육아서의 내용들을 겉으로만 이해하고 받아들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는 내내 어쩌면 내 아이의 손을 잡고 저자를 찾아가는 일이 생기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내가 내 아이를 위하는 방법이 조금은 어긋나고 있었음을 알아챌 수 있었다. 본질을 외면하고 있었던 엄마의 역할..

이젠 아이의 본질을 볼 수 있고, 아이가 손을 내밀 때 손을 잡아 줄 수 있는 엄마가 되기 위한 노력을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달이 오던 날 네버랜드 자연 그림책 5
한병호 그림, 김용안 글, 한성용 감수 / 시공주니어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시공주니어 네버랜드 도서는 집에 몇 권 있는데.. 자연 그림책은 처음 접했다.  

너무나 귀여운 모습의 수달..

수달을 처음 접했던 것은 '마당을 나온 암탉' 영화에서였다. 어쩜 작가의 원작에 없었던 수달이 영화에서 제 몫을 톡톡히 해 내는 것을 보며 많이 웃었던 기억이 있는데..

수달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지만, 수달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 영화의 영향이 컸던 거 같다.

그래서 수달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었다. 그리고, 아이에게도 알려주고 싶었다.

 

엄마 수달과 아기 수달이 있는 그림의 책장을 넘기니 쓰러져 있는 엄마 수달과 아기 수달 그림이 보이고, 자동차에서 내려 뛰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5월 10일

또 수달이 차에 치여 센터에 들어왔다.

 

로 시작되는 그림책..

그 동안 접했던 그림책과는 다르게 일기로 되어 있다.  죽은 어미 곁을 떠나지 못하고 있던 수달..

왠지 맘이 짠해졌다.

 

5월 12일

센터 주변은 봄꽃으로 환한데, 새끼 수달은 구석에서 웅크리고만 있다.

 

엄마를 잃은 슬픔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는 새끼 수달의 모습..

엄마라는 울타리가 자식들에게는 커다란 버팀목이라는 것을  상기하게 해 주었다.

 한 달이 지나고 수달은 귀여운 장난꾸러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십개월 후 자연으로 돌아가기까지의 새끼 수달 '초롱이'가 건강해져가고, 물고기 잡는 것을 배워 가는 모습도 볼 수가 있다.

글과 그림을 통해 수달이라는 동물을 알아갈 수 있게 해 주는 그림책..

지식그림책과는 또 다른 느낌을 준다.

 

아직 아이가 보기에는 쉽지 않은 듯 느껴지지만..

수달의 초롱초롱한 눈망울만큼이나 맑은 눈으로 책을 들고와 읽어 달라고 하는 아이들..

 

가끔 운전을 하다 보면 길가에 동물들이 차에 치여 죽은 것을 볼 수가 있었다. 차마 눈 뜨고는 볼 수 없던 모습..

어쩌면 엄마 수달도 도로 옆을 지나다가 차에 치인 것이 아니었을까?

사람이 편하자고 사람을 위한 길을 내었는데, 그로 인해 동물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듯한 생각이 들었다.

외국에서는 길을 낼 때 자연을 훼손하지 않게끔 한다는데.. 우리는 너무 안일하게 우리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게 아닌가 마음이 좀 아팠다.

 

이 책을 읽은 아이는..

아직 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지 말이 없다..

조금 더 크면 어떤 말을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싫어! 싫어! 쿵! 생활습관 그림책 1
이경은 글, 김유리 그림 / 드림피그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치약 묻은 칫솔, 목욕타올, 밥을 푼 숟가락, 그리고 고개를 젓고 있는 다람쥐의 모습이 그려진 책 표지..

창을 들고 있는 세균, 그리고 좁은 공간으로 들어가고 있는 정체 모를 동물...

"범 먹기 싫어! 이 닦기 싫어! 씻기 싫어!

엄마도 싫고, 아빠도 싫어!"

꼬마 다람쥐 피터가 '싫어싫어병'에 걸려서

엄마, 아빠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에요.

혹시 여러분도  '싫어싫어병'에 걸린 건 아니겠죠?

지금도 쿵괴물이 '싫어싫어병'에 걸린 친구들을 찾아다니고 있대요.

 

제목만 접했을 때는 쿵괴물을 생각지도 못했는데.. 어쩜 '싫어싫어병'과 '쿵괴물'을 생각했을까?

꼬마 다람쥐 피터처럼 다섯살 난 큰아이도 '싫어싫어병'에 걸렸다. 엄마, 아빠가 말을 하면 싫다고 말하는 아이와 그 소리 듣는 걸 너무 싫어하는 엄마, 아빠..

미운말을 사용하면 안돼!라고 말은 하지만, 그 순간 뿐 나아지지가 않는데..

그 또래 아이들이 대부분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데 위로를 살짝 받기도 했지만, 그래도 부정적인 언어보다는 긍정적인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해 줬으면 바라는 것은 엄마의 욕심일까?

 

이 책은 두 아이가 다 좋아한다. 세살배기 울 공주님은 이제 말을 배우는 중이라, 칫솔, 밥, 숟기락, 다람쥐 같은 단어들을 접하게 해 주니까 놀아준다는 생각을 해서 그런지 그림 속에 사물들을 하나하나 짚으며 이거? 이거? 하는 재미에 푹 빠져 있다.

큰 아이 때는 그림책을 보여 줄 땐 글자 위주로 책을 읽어 줬는데..

작은 아이는 글을 읽어 주는 것 보다는 그림을 보면서 사물을 보고, 이름을 이야기 해 주면서, 그림을 조금씩 이야기 해 주게 된다.

큰아이 때는 너무나 어렵게만 느껴졌던 그림읽기를 작은아이와 조금씩 하는 느낌이랄까?

다섯살 작은 아이는 다람쥐 피터처럼 "싫어싫어병"에 걸린 거 같다고 하자, 아니라고 한다.

아이의 입에서 '싫어' 소리가 나오면 '싫어싫어병'에 걸린 다람쥐 피터 이야기 알아?

하면서 이 책을 읽어 주고, 아니면 그 말을 할때마다 '싫어싫어병'에 걸린 친구들만 찾아 괴롭히는 '쿵괴물'이 그 병에 걸린 친구들을 찾고 있다는데, 우리집에 오면 어쩌지? 하고 몇 번 말해 줬더니..

'쿵괴물'이 오는 것은 싫다고 말을 하더니 전보다는 '싫어'라는 말을 덜 사용하는 것 같다.

겁이 많아서 그런지 괴물을 무서워하는 아이..

그래서 아이를 재울 때 잠 안 자면 '도깨비'가 와서 함께 놀자고 할지 모른다고 했었는데..

이젠 '도깨비' 대신 '쿵괴물'이 올지도 모른다는 말을 종종 하게 된다.

물론, 아이가 무서움에 잠이 들기를 바라는 것은 아닌데, 잘 시간에 자야 한다는 생각에..

 

그래서 요즘은 두 아이들은 잠자리에 들기 전 책을 읽고, 우유를 한 잔씩 마시고 누워 노래를 몇 곡 부른 다음 '쿵괴물'이 오기 전에 잠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