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동이 거룩한지 세속적인지 결정하는 것은
그가 무엇을 하는냐가 아니라
왜 그것을 하느냐이다.
- A.W. 토저

 

It is not what a man does that determines
whether his work is sacred or secular
it is why he does it.
– A.W. Toz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천년을 흐르는 사랑 - The Fountai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중세 말 적들로부터 스페인의 여왕 이자벨을 지켜내기 위해 분투하는 기사 토마스. 여왕은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신세계에 있는 생명의 나무를 찾을 것을 명령하고, 토마스는 여왕을 위해 먼 길을 떠난다.

 

     한편 현대의 어느 연구실에서는 의사인 토미가 사랑하는 아내 이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밤낮으로 신약개발에 몰두한다. 첫눈을 맞으러 밖으로 나가자는 아내의 청을 거절한 것도 다 바로 그 때문. 그러나 이지는 조금씩 쇠약해져가고 있다.

 

     이 모든 배경들과 함께 줄기차게 등장하는 민머리의 사내 톰. 선승(禪僧)의 복장으로 나무 한 그루만 있는 손바닥만한 별에 서 있는 그는, 오랫동안 자신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는 이유를 찾기 위해 생명의 나무와 함께 시발라 성운으로의 여행을 계속한다.

  

 

 

 

2. 감상평 。。。。。。。                    

 

     윤회론적 세계관의 배경 위에 어떤 인물이 과거와 더 먼 과거의 삶의 일부를 떠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괴로워하다 마침내 공(空)으로 돌아가 괴로움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는 설정은 그냥 불교적 가르침을 담아내려고 하는 모습이다.(어떤 분은 중세와 우주 부분을 각각 영화 속 소설과 주인공 토미의 상상으로 보라고도 하지만, 영화 속 등장하는 대사들은 꼭 그런 식으로 봐야만 하는 필연적인 이유를 제공해주고 있지는 않다.) 시간과 공간이 달라짐에도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사랑 이야기라는 내용 자체야 어느 정도 멜로적 느낌을 줄 수도 있겠는데, 감독은 앞서의 주제의식에 더 치중을 하려 했던 듯 사랑 자체보다는 해탈에 이르는 길이 좀 더 강조되는 듯한 느낌이다.

 

     특히 지금으로부터 미래의 어떤 시대로 설정되는 이야기에서는 거의 길을 잃고 있다. 가부좌를 틀거나 몸에 힘을 뺀 채 자유자재로 공중부양을 하는 모습은 동양 고대 종교(혹은 뉴에이지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는지도 모르겠다)에 대한 서양인의 어설픈 동경(?)과 같은 시선이 엿보인다. 서양인들이 보기에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이쪽에서 보기엔 그냥 얼치기 흉내 정도로밖에는..

 

 

 

     전반적으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기 위한 색상의 사용이 눈에 띤다. 금색과 흰색. 분위기가 이러니 각각의 이야기들을 연결시켜주는 고리는 매우 모호한 ‘사랑’이라는 카드뿐이고, 각각의 이야기는 내적으로 충분한 개연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종반부로 가면서 영화 속 등장했던 모든 소재들이 뒤섞이면서 결국은 아무 것도 아닌 것(空)이라는 식으로 급히 이야기가 맺어지고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뭔가를 전체를 꿰뚫는 이야기를 담아내려고 한다면, 먼저 각각의 이야기를 좀 더 탄탄하게 만들 필요가 있었다.

 

     서양인들이 보기엔 윤회라는 세계관은 꽤나 신기했을 것이다.(그게 이지와 토미의 상상 속에서든 아니든) 시공간을 초월한 사랑(홍보문구에는 이렇게 써 있다)이 아름다울 수도 있다. 하지만 각각의 사랑이 충분히 공감을 얻지 못하는 형태라면 전체적인 그림의 매력도 줄어드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화의 진정한 반대는 폭력입니다.

그러므로 평화를 원하는 자는 전쟁뿐 아니라

폭력도 추방해야 합니다.

만일 공개적 전쟁은 없으나 여전히 폭력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평화가 아닙니다.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서방 세계에 대한 경고』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 아이러니하게도,

하나님은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시지만

여전히 우리를 원하시는 반면,

우리는 절대적으로 하나님을 필요로 하지만

대개는 하나님을 진정으로 원하지 않는다.

 

- 프랜시스 챈

 

The irony is that

while God doesn’t need us but still wants us,

we desperately need God but don’t really want Him

most of the time.
– Francis Ch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1구역 - Area 51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줄거리 。。。。。。。                  

 

     오래 전부터 외계인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중이라는 소문이 난무하는 네바다 주의 미공군기지, 속칭 51구역. 정부는 외계인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라는 여론의 압박에 네 명의 방송관계자들을 기지 안으로 초대하기로 결정한다. 이윽고 열리는 기지. 안내를 맡은 마틴 대령은 적당한 신무기를 공개하는 선에서 여론을 잠재우려고 하지만, 비상사태는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

 

 

 

2. 감상평 。。。。。。。                    

 

     그냥 웃음부터 나오는 영화다. 즐겁고 흥겨운 웃음이 아니라 어이가 없어서 나오다가 어느 순간에는 좀 안타깝기까지 한 그런 웃음이다. 소재 자체는 통속적인 대중영화로서는 알맞은 것이었지만 문제는 그걸 구현해 낼 수 있는 기술과 능력. 영화는 이 부분에서 0점에 가까웠다. 수천억을 들인 헐리우드의 메이져 제작사가 만든 블록버스터와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작품들이야 애초부터 많지 않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이건 영화 관련 학과 졸업생들이 졸업작품으로 기획하고 만들었다고 해도 믿을 수 있을 것 같은 수준이니까.

 

     넉넉지 못한 제작비가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허술한 영상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 큰 공군기지에 채 한 개 소대도 되지 않는 병력밖에 없다는 것도, 움직일 때마다 여기저기 주름이 잡혀 옷임이 뻔히 드러나는 피부를 가진 외계인도 우리나라에선 80년대 말, 90년대 초에나 통용되던 전형적인 어린이 영화에나 나오던 모습들. 확실히 요즘은 저예산으로 SF물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시대인 듯하지만, 이건 좀 너무했다. 애초부터 극장 상영을 염두하고 만든 영화라기보다는 케이블 채널이나 비디오 시장을 노린 B급 외계인물로 보이는데, 그나마 어설픈 리얼리티로 인해 어린이들이 보기에는 또 쉽지 않다.

 

 

 

     기술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시나리오도 만만찮은 문제를 잔뜩 지니고 있다. 인물들은 모조리 따로따로 생각하고 움직이고 있으며, 이는 외계인들조차도 마찬가지다. 누구도 영화가 어디로 흘러가는지, 이 영화의 주제가 무엇인지는 고민하지 않는 것처럼 그저 어디선가 본 듯한 연기를 기계적으로 흉내 내고 있을 뿐이었다.

 

     또 하나의 길이 남을 명작(?)이 한 편 탄생한 느낌. 앞으로 어설픈 SF물을 보면서 ‘이거 완전 51구역 급’이라든지 ‘51구역에서 만든 영화 아냐’라는 식의 말들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된다. 물론 그것도 이 어설픈 영화가 어느 정도 이름이 알려진 후의 일이겠지만.(우선 이게 쉽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