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사전 - 그 맛있는 디저트는 어디에서 왔을까?
나가이 후미에 지음, 이노우에 아야 그림, 김수정 옮김 / 윌스타일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개인적으로 디저트류를 딱히 좋아하지는 않는다. 보통 디저트라고 불리는 것들은 설탕 범벅인지라, 건강을 생각해서도, 또 지나치게 단 걸 먹으면 기분이 나빠지는(?) 편이라 딱히 먹고 싶다는 생각 자체가 들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손에 든 건, 역시나 조금 쉬어가려는 독서 타임이었기 때문.


책은 주로 유럽 지역에서 전해지는 100가지 디저트류를 차곡차곡 설명해 담아낸다. 제목에 사전이라고 붙어 있긴 하지만, 가나다순으로(혹은 ABC순으로) 정리된 건 아니고, 시대에 따라 구분을 지어두었다. 디저트류라는 게 어디 누가 몇 년도에 만들었다는 식으로 정확히 정의되지 않은 게 많아서, 나름 알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최대한 정리해두었다고 한다. 크게 중세, 근세, 근대, 현대의 항목 아래, 다양한 디저트류가 소개되어 있다.


각 항목은 그 디저트의 유래,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나아가 관련되어 알고 있으면 좋을 만한 다양한 상식, 역사적 지식 같은 것들이 담겨 있다. 그리고 이 책의 가치를 더욱 올려주는 건, 직접 손으로 그린 삽화들. 전체 항목의 4/5 정도는 그림작가가 그린 그 디저트의 삽화가 포함되어 있다.





대체로 서양의 디저트는 빵류인 것 같다. 이름도 생소한 온갖 디저트의 설명을 읽다보면, 식사를 하고서 또 이렇게 잔뜩 밀가루를 목으로 넘기고 싶을까 하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또 설명을 한참 읽다 보면 이건 무슨 맛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긴 한다. 기본 재료가 대부분 밀과 꿀, 설탕, 버터에, 다양한 추가재료가 더해지는 식인데, 참 화려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푸딩류에 관한 설명이 가장 이색적이었는데, 원래 푸딩은 영국의 선상 요리로, 오랜 항해를 하는 과정에서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남은 빵 부스러기에 고기 비계(?), 달걀물 등을 섞어 쩌낸 게 그 시초라고 한다. 재료가 꽤나 신기하다. 언젠가 영국 전통 요리 중 하나인 블랙푸딩이라는 걸 본 적이 있는데, 우리의 선지와 비슷하게 돼지 피에 이것저것을 섞어만드는 거라고 하니...


몇몇 디저트에는 흥미로운 유래가 전해진다. 예를 들면 한 귀족의 파티를 앞두고 주방에서 대판 싸워 파티시에가 그만두는 사건이 벌어졌고, 이 난감한 상황에 한 젊은 하녀가 자신의 할머니가 해 주셨다는 디저트를 만들었는데 엄청난 호응을 받았다고 한다. 귀족은 그 하녀의 이름을 이 새 디저트에 붙여주었는데, 그녀의 이름이 마들렌이었다나.


또, 파리의 주식거래소 근처에서 장사를 하던 한 파티시에가 젊은 금융가들이 편하게 먹을 수 있는 매력적인 디저트를 고민하던 중, 이왕이면 금괴 모양으로 만든 간식이라면 그 동네에서 더 호응을 얻을 거라고 생각하고 구어낸 디저트가 있다. 바로 휘낭시에인데, 그 생김새를 생각해 보면 여전히 금괴 모양인 것 같기도 하다.





큰 고민 없이 차분하게 재미로 읽어볼 만한 책. 디저트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옆에 끼고 하나씩 찾아다니며 도장깨기를 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4-06-11 01: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ㅎㅎ 저도 건강때문에 디저트류는 먹지 않지만 사진만 봐도 군침이 도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