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까운 미래, 한 가게에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가 전시되어 있다. “에이에프”라고 불리는 로봇들은 주로 아이들을 위해 봉사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어느 날 드디어 햇볕이 잔뜩 내리쬐는 쇼윈도에 배치되어 가게 밖 풍경을 눈에 담고 있던 클라라는 조시라는 이름의 소녀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바라던 대로 조시네 집으로 가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조시는 아팠다. 작품 속 정확히 어떤 병인지 묘사되지는 않지만, 점점 쇠약해져 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였다. 그리고 클라라는 그런 조시를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자 했다. 그게 심지어 자신의 일부를 내어주는 일이라고 하더라도. 그리고, 기적이 일어난다. 인공지능이 만들어 낸 기적이라니... 이 모순적인 상황.





시작은 클라라가 경외하는 태양에게 하는 기도였다. 마치 인간들이 신을 섬기듯, 클라라는 자신에게 힘을 주는(태양열을 이용해 작동하는 듯하다) 태양을 경배한다. 인공지능에게도 마음이라는 것이 있을까? 작품 속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클라라는 그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대답을 한다. 마음은 노력으로 가질 수 있는 걸까.


클라라가 태양을 대하는 모습만 보면, 이미 마음과 비슷한 걸 갖고 있는 것만 같다. 클라라는 이미 프로그램 된 수준을 넘어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숭배라는 의식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클라라는 조시를 정말로 사랑했다. 단지 자신의 주인을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다한다는 수준을 넘어 자기희생의 단계까지 이른다. 정말로 그런 일이 가능하냐의 문제를 미뤄놓고, 우선 그런 일이 가능하다면, 우리는 그 인공지능에게 마음이라는 게 있다고 해야 할까?


어쩌면 작가는 이런 구성을 통해 인공지능과 기계에 대한 무엇이 아니라, 인간성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은근 자기 자신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식으로 제3자의 눈을 통해 조명할 때야 비로소 뭔가 보인달까.





작품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클라라에게 이입하게 된다. 어린아이와 같은 경이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폼이 퍽 귀여우면서도, 군데군데 클라라가 기계임을 보여주는 설정들도 함께 등장하는데 그게 또 약간 짠하다.(이 모든 감정도 클라라를 단순한 기계 이상으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면 클라라는 조시가 남자친구인 릭과 함께 있을 때 창가의 단추의자에 앉아 (마치 가구에 불과한 것처럼) 밖을 쳐다보고 있고, 저녁이면 불 꺼진 주방에 남아 냉장고가 내는 “편안한” 웅웅거림을 들으며 그 옆에 서 있다.(좋은 묘사다)


특히 책의 마지막 장면이 퍽 서글프다. 처음에는 조시와 같은 나이 또래였던 클라라였지만, 조시는 자라고 있었고 클라라는 제자리였다. 클라라는 언제와 같은 “마음”일 수 있지만, 사람의 마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상황을 더욱 “비극적”으로 만드는 건, 클라라의 그 “한결같음”이다. 단순히 어린 아이의 변덕이라고만 치부할 수도 없는 게, 우리 모두가 그렇게 하곤 하니까. 어린 시절을 함께 했던 ‘물건들’은 자라면서 점차 자리를 다른 것들에 내어주기 마련이다. 그런데 클라라는 “물건”이었을까?


확실히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다운 묘사력이 인상적이다. 생각해 보니 이 작가의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었던 영화 “네버 렛 미 고”도 굉장히 인상적으로 봤던 기억이 있다(몇 안 되는 추천 영화 중 하나다). 그렇다고 너무 난해하거나 그런 문장들도 아니니, 기회가 된다면 꼭 손에 들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사회는 정의로운 권력을 경험할 기회를 놓쳐버리고

과정의 공정성에만 매달렸고,

그러면서 능력과 지위를 분리시킬 조건을 만들지 못했다.

지위가 곧 능력이, 능력이 곧 지위가 되는 사회에서는

민주주의가 실현되기 어렵다.

- 하승우, 『신분피라미드사회』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서 : 은혜를 시험하는 자리
필립 얀시 지음, 윤종석 옮김 / IVP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서란 오늘날 참 인기 없는 덕목이다.(사실 요새 어디 “덕”이라고 불리는 것들 중 인기가 있는 게 존재하긴 하는지 의문이긴 하다) 내가 한 대 맞으면, 상대방의 팔 하나는 부러뜨리지 못하더라도 당연하게 받아치는 장면을 기대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는 장면을 보고는 ‘고구마를 (물 없이) 먹는 것 같다’며 투덜댄다.


문제는 이런 식으로 풀리는 일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복수는 또 다른 복수를 낳는다. 분명 자신이 먼저 시작한 일이라도 그렇다. 오늘날 일어나는 끔찍한 사태들의 배경을 보면, 가해자와 피해자의 자리가 뒤바뀐 역사적 경험이 있던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복수(혹은 이 책의 용어로 “비용서”)는 아주 질긴 잡초와 같아서, 그 씨앗이 한 개라도 뿌려진 곳에서는 어느 새 들판 전체를 뒤덮어버리곤 한다.





이 책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원리로서 용서를 말한다. 하지만 그 용서는 결코 쉽지 않다. 저자는 단순히 책상에 앉아서 성경 구절을 이리저리 짜맞추면서 용서라는 그림을 만들어 가지 않는다. 책 곳곳에 삽입되어 있는 실제 사람들의 경험은 역설적으로 우리가 얼마나 용서를 하는 것이 어려운지를 잘 보여준다.


술 취한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경험한 딸에게, 수년 후 비로소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 아버지의 미안하다는 말을 듣고 모든 것을 용서해야만 한다고 쉽게 충고할 수 있을까? 지난 세기 인류가 저지른 가장 끔찍한 범죄 중 하나였던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서 살아나온 생존자에게, 우리는 히틀러를 용서하라고 권고할 수 있을까?


물론 어려운 일이다. 만약 용서가 쉬운 일이었다면, 애초에 이런 책이 나올 필요도 없었으리라. 하지만 우리에게는 진정한 용서가 꼭 필요하다. 용서는 우리에게 “탈출구”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102).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는 뜻이다. 반대로 “용서하지 않을 때 나는 과거의 감옥에 갇히며, 변화의 잠재력은 완전히 차단”되어 버린다(104).


여기에서 우리에게는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꼭 필요하지만, 쉽게 할 수 없는 이 결단을 위해, 우리에게는 은혜가 필요하다. 용서는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은 사람이 하는, 할 수 있는 반응이다.





책은 그렇게, 용서의 필요성과 비용서의 악영향,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라는 주제를 반복해서 제시한다. 생각해 보면 우리가 애초부터 몰랐던 것은 아니다. 언제나 문제는 우리가 무엇이 좋은지를 모르는 것보다는, 좋은 줄 알면서도 그대로 행하지 않는 데 있으니까. 그 때문에 용서란 정교한 이론을 가르치고 배우는 식이 아니라, 좀 더 강렬한 정서적 감응, 혹은 저자가 말하는 은혜의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


이런 면에서도 좋은 책이다.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럽게 용서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고, 무엇이 내가 용서를 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인지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종종 죽음이 임박해서 용서를 시도하는 인물들을 볼 수 있다. 그리고는 비로소 편안한 얼굴로 눈을 감는 식이다. 용서를 해야만 얻을 수 있는 평안이라면, 좀 더 일찍 했더라면 어땠을까. 인생은 생각보다 사소한 것 때문에 정말로 중요한 것을 놓치는 일의 연속인 것 같다. 우리의 삶이 언제라도 금세 꺼질 수 있는 촛불과 같다는 걸 기억한다면, 살아있는 동안 좀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누릴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