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컨슈머 - 소비하지 않는 소비자들이 온다
J. B. 매키넌 지음, 김하현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책의 장르나 내용에 대한 예상이 틀렸다. “소비하지 않는 소비자들이 온다”는 부제 때문이기도 했는데, 애초에 짐작하기로는 현실 경제에서 소비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경제학, 혹은 경영학 차원에서 분석한 내용일 줄 알았다. 물론 그런 내용이 전혀 없는 건 아니었지만, 이 책은 디컨슈머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우리더러 디컨슈머가 되어야 한다는 일종의 당위를 어필하는 사회학에 가까운 책이었다.

 

그리고 살짝 당황했던 또 하나의 포인트는 이 책을 낸 출판사가 “문학동네”라는 것. 내가 아는 그 “문학동네”가 맞는 건가? 뭐 “문학동네”에서 늘 문학만 내라는 법은 없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야 발견한 출판사명을 보고 살짝 웃었다.




 

 

앞서 말했던 것처럼 이 책은 “당위”를 주장한다. 우리는 지금 하는 것처럼 소비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지나치게 많이 소비하고 있어서, 더 이상 지구의 환경과 자원이 버틸 수 없을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뭐 이 부분은 직관적으로도 쉽게 짐작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문제는 오늘날 대다수의 사회가 선택한 경제구조가 이런 과소비를 바탕으로 쌓아올려져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소비가 GDP(물론 이 의심스러운 계산수치는 여러 비판을 받고 있다)를 올린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심지어 누가 남의 집 유리창을 깨고, 지나가던 사람을 칼로 찌르고, 키우던 반려동물을 잔혹하게 죽인다고 해도 GDP는 올라간다. 그 때마다 우리는 새 유리창을 사고, 치료에 필요한 도구들을 구입하고, 새로운 동물을 살 테니까.

 

저자 역시 이런 우려들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동의한다. 분명 디컨슈머가 늘어나면 경제는 침체될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고, 그들의 삶의 질이 떨어질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그게 꼭 나쁘기만 하지는 않을 거라고 저자는 전망한다. 물론 경제의 성장률은 지금보다 떨어지겠지만, 사실 인류 역사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성장률은 거의 0에 수렴했었다. 우리는 그래도 살 수 있었다는 말이다.

 

뿐만 아니라 소비에 중독된 채 불태워버리던 시간이, 이제는 좀 다른 일들을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잇고, 우리의 생활에 여유를 더해줄 수도 있다. 물론 이런 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볼 여지도 있지만.

 



 

어지간히 소비에 중독되어 있는 우리는, 당장 이 책의 조언처럼 소비를 줄인다면 꽤나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열 개가 넘는 화장품을 화장대에 놓고 쓰고 있다면, 옷장에 다 들어가지도 않을 정도로 많은 옷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늘 입을 게 없다고 푸념을 하고 있다면, 한 번만 보고 책장에 꽂아둔 책들이 20권이 넘어간다면 더더욱 그럴 것이다.

 

물론 이런 개인적인 불편함을 넘어 역시 관건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축으로 하는 현대 자본주의의 “신성한 권위”를 부정할 수 있는가 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나는 이 책의 제안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지지와 동참을 이끌어내기엔 불가능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의 탐욕은 이상적인 계획을 쉽게 좌절시킨다는 게 그동안의 역사가 아니었는가. 탐욕을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여기는 천박한 사상이 지배하고 있는 세상에서, 과연 무엇인가 달라질 여지가 있을까.

 

아마도 곧 다가올 기후위기도, 우리나라의 치명적인 인구감소도, 전 세계적인 청년층의 박탈감과 일탈도, 우리는 막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티핑 포인트를 넘어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 와서, 어쩔 수 없이 이제까지의 삶을 방식을 바꿔야만 하는 때가 온다면, 어쩌면 그 때는 디컨슈머로서 살 수 있게 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